[2023 Korea Wealth Management Awards]그룹 역량 총동원, KB금융 '더퍼스트' 이름값 해냈다[Wealth Manager of the year/대상]최우수 PB 전면 포진, VVIP 확보 '총력'
이돈섭 기자공개 2023-02-23 10:08:28
이 기사는 2023년 02월 22일 17시4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B금융그룹의 복합 점포 'Gold&Wise the First(이하 더퍼스트)'가 국내 대표 프리미엄 종합자산관리 센터로 자리매김했다. KB금융그룹이 가진 차별적 자산관리(WM) 역량을 총동원해 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주력한 결과 센터 자체 성과뿐 아니라 국내 WM 사업의 질을 한 단계 높였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향후 행보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22일 더벨과 더벨앤컴퍼니가 주최하고 금융위원회와 전국은행연합회, 금융투자협회, 생명보험협회,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 한국펀드평가, 키스채권평가가 후원한 '2023 Korea Wealth Management Awards''에서 KB금융그룹 '더퍼스트'가 대상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지난해 8월 은행과 증권 복합점포로 출범한 더퍼스트는 국내 자산관리 사업을 한층 업그레이드했다는 호평을 받았다.
더퍼스트는 KB금융그룹의 프리미엄 자산관리 브랜드 'Gold&Wise' 론칭 20주년을 맞아 프라이빗뱅크 브랜드 체계를 재정립, 프리미엄 종합자산관리 센터를 표방하고 있다. 국내 대표 부촌으로 꼽히는 지역 중 한 곳인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일대에 지하 2층~지상 7층 면적 260평으로 설립됐다. 국내 단일 자산관리 센터로는 규모가 가장 크다.
더퍼스트는 KB국민은행과 KB증권에서 최우수 PB들을 엄선해 센터 전면에 포진시키는 한편, 자산 30억원 이상 초고액자산가 고객 대상 자산관리 영업체계를 구축하고 IB 연계형 투자일임 및 OCIO 서비스 등 특화상품을 차별 공급하고 있다. 그룹 자산관리 역량을 더프스트에 결집해 이른바 'KB형 패밀리오피스' 서비스 제공에도 주력한다.
그 결과 출범 5개월여 만에 해당 센터의 관리자산은 출범 당시와 비교해 50% 이상 증가했고, 자산 30억원 이상 고객수 역시 큰폭으로 늘어나는 등 짧은 시간 내 괄목할 만한 외적 성장을 일궈냈다. 더퍼스트 평균 고객 수익률이 목표 수익률을 상당폭 웃도는 질적 성장도 이뤄내면서 금융업계 이목을 한번에 집중시키는 데 성공했다.

KB금융그룹 관계자는 "다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회사뿐 아니라 고객들로부터 인정받아온 PB들이 각 분야 전문가들과 팀을 이뤄 복합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센터와 비교해 가장 큰 경쟁력"이라며 "출범한지 6개월이 지났는데 이 기간 성장폭은 다른 자산관리 센터들과 비교해 가히 압도적"이라고 설명했다.
초고액자산가 대상 영업채널 대형화는 WM 업계 불가피한 트렌드다. 오랜 기간 저금리 기조가 이어져 오면서 유동성이 풍부해졌고 그 결과 자산 가격이 올라 자산가 계층이 광범위해진 데다, 기존 상속 증여 서비스 등에 이어 복합 자산관리 서비스 수요가 커지면서 금융그룹 차원의 대응이 불가피해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신한금융그룹과 하나금융그룹 등도 각각 VVIP 영업 채널인 PWM과 클럽원 등을 구축, 은행과 증권 복합점포 형식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도 비슷한 흐름이다. 은행이 가진 전국 영업망과 증권의 상품소싱 능력을 결합하고 각종 부가 서비스를 더해 점포를 대형화하는 것이 센터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로 평가되고 있다.
KB금융그룹은 WM그룹 등에서 매트릭스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면서 각 사업 분야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다. 더퍼스트 역시 각 계열사 협업을 통해 종합 자산관리 영역의 새장을 열겠다는 포부다. 최재영 KB국민은행 WM고객그룹 대표(사진 오른쪽)는 "대한민국 자산관리 비즈니스 성장과 발전을 위해 선도적인 역할에 충실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 [2025 서울모빌리티쇼]송호성 사장 "HMGMA 첫 생산, 내년 중반 하이브리드"
이돈섭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포스코퓨처엠에서 '-29%'…김원용 사외이사의 쓴웃음
- [thebell interview]"상법 개정안은 자본시장 리트머스 시험지"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판사 출신 김태희 사외이사, 에스엠 성장에 통큰 베팅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현대차 유진 오 사외이사, 연평균 5% 수익률 기록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연평균 2%…운용업계 대부 정찬형 사외이사 성적표
- [2025 theBoard Forum]"밸류업 핵심은 이사회…대주주-일반주주 이해 맞춰야"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포스코홀딩스 손성규 사외이사 상속 지분 포함 5배 수익
- 상법 개정안 논쟁의 순기능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LG생활건강 저점 판단…이태희 사외이사 베팅 결과는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들썩이는 방산주, 한국항공우주 사외이사 '일거양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