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M&A]사외이사 면면에 묻어나는 한화의 고민후보 5명 중 조선업 전문가 단 1명… 시너지·내부통제·리스크관리 중점
강용규 기자공개 2023-05-10 07:18:51
이 기사는 2023년 05월 08일 18시5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화오션으로 새롭게 출발할 대우조선해양의 새 이사진이 윤곽을 드러냈다. 눈길이 가는 지점은 새롭게 선임될 사외이사 5명 중 조선업 전문가가 단 1명뿐이라는 점이다.업계에서는 인수 뒤 통합작업(PMI)에 무게가 실린 인선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동시에 과거 대우조선해양의 경영에서 나타난 분식회계나 드릴십 리스크 등의 오점을 경계하는 모습도 나타난다.
대우조선해양은 8일 이사회를 열고 23일 개최할 임시주주총회에 상정할 안건들을 의결했다. 임시주총을 통해 사명이 '한화오션'으로 변경된다. 이와 함께 9명의 등기이사들(사내이사 3명, 기타비상무이사 1명, 사외이사 5명)이 임기 2년으로 새롭게 선임된다. 기존 등기이사 7명(사내이사 3명, 사외이사 4명)은 모두 물러난다.
새 등기이사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먼저 대표이사 부회장으로 승진 내정된 권혁웅 ㈜한화 지원부문 총괄사장 등 사내이사 3명은 모두 조선업 관련 경험이 없다. 기타비상무이사 후보로 추천된 김동관 ㈜한화 전략부문 대표이사 부회장 역시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한화그룹은 사내이사진의 부족한 전문성을 사외이사로 보강하는 선택을 하지 않았다. 새 사외이사 후보 5명 중 조선 분야 전문가는 이신형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뿐이다. 이마저도 현업 인사라기보다는 학계 인사에 가깝다.
나머지 4명 중 2명은 현낙희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부교수와 조지 P. 부시(George Prescott Bush) 로펌 마이클베스트(Michael Best & Friedrich LLP) 파트너변호사 등 법률 전문가다. 다른 2명은 김재익 전 KDB인프라자산운용 대표이사와 김봉환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 등 재무·회계 분야의 전문가다.
업계 관계자는 "한화로서는 기존 대우조선해양의 실무 임원들을 최대한 안고 가면서 이들에게 현업을 의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신임 등기이사 인선은 인수 뒤 통합작업과 이후 한화오션의 경영정상화를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화그룹은 사세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인수합병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왔다. 삼성그룹과의 방산-화학 빅딜이 대표적 사례다. 당시에도 한화그룹은 등기이사들을 통해 인수 뒤 통합작업에 힘쓰고 기존 실무 전문가들의 고용을 최대한 승계하면서 이들에 현업을 맡긴 바 있다.
현재 조선업계는 인재 풀이 말라붙었다. 지난해 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케이조선·대한조선 등 4개 조선사가 핵심인력의 부당 유인행위를 이유로 HD현대중공업을 공정위에 제소했을 정도다.
한화로서는 경쟁회사 인재 영입은 말 그대로 '꿈도 못 꾸는' 상황이다. 오히려 기존 대우조선해양의 실무 전문가들을 최대한 지켜내야 한화오션의 사업을 이어갈 수 있다. 이신형 교수는 이들의 목소리를 이사회에서 대변하는 역할을 맡을 것으로 전망된다.
게다가 한화는 방산부문(특수선사업)만을 보고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한 것이 아니다. 한화그룹의 각종 에너지사업과 대우조선해양의 상선부문이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판단도 인수 결정의 기저에 깔려 있다.
조지 P. 부시 변호사는 마이클베스트에서 석유 및 가스와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성장 전망과 관련한 자문역을 맡고 있다. 인수 뒤 통합작업에서 부시 변호사의 역량이 필요하게 될 공산이 크다.
현낙희 교수와 김봉환 교수는 각각 법률 전문가와 회계 전문가다. 이들은 한화오션의 사외이사 후보이자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이기도 하다. 두 교수가 안게 될 내부통제 과제는 결코 가볍지 않다. 대우조선해양은 2012~2014년 총 5조7000억원에 이르는 대규모의 분식회계로 전직 임원들이 실형을 선고받은 전례가 있다.
조선업계에서는 김재익 전 대표의 사외이사 후보 선임을 놓고 한화오션의 향후 수주전략이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짜여질 것을 상징한다고 보는 시선이 많다. 이는 김 전 대표가 산업은행에서 리스크관리부문장을 지낸 인물이기 때문이다.
조선업은 수주로부터 인도에 이르는 건조기간이 상선의 경우 짧아도 1년 이상, 길면 3년 이상이다. 해양플랜트는 5년을 넘는 경우도 있다. 이 기간 중 발주처가 파산하거나 프로젝트가 좌초하면 작업 중이던 일감이 악성재고로 남아 실적 리스크가 된다.
대우조선해양은 한때 재고 드릴십을 5척 떠안았다. 이른바 '떨이 매각'을 통해 건조비용의 일부나마 회수하고 있지만 아직도 1척의 재고가 남아 있다. 김 전 대표는 한화오션 체제에서 이와 같은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데 힘쓸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승계 키워드 '내부 거래'…4세 경영도 준비
- [Company Watch]테크 전략의 핵심 하이브IM, 적자에도 '5000억 밸류'
- [i-point]신성이엔지,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기술 공개
- [윤석열 대통령 탄핵]금융지주, 불확실성 해소로 밸류업 탄력받나
- [윤석열 대통령 탄핵]원화, 단기 강세 흐름…변동성 확대 '촉각'
- [윤석열 대통령 탄핵]동력 잃은 금융 정책…백지화 가능성도
- [여전사경영분석]롯데캐피탈, 총자산 다시 늘었다…수익성도 방어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자산 84% 수도권 쏠림…M&A 구조조정 대상 '속출'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신한캐피탈, 한도 관리 세분화…PF 중심 고위험 자산 초점
- 63주년 맞은 캠코, 후임 사장 임명은 안갯속
강용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보험사 CSM 점검]교보생명, 신계약 비슷한데 잔액은 증가…보수적 가정 빛났다
- [thebell note]관 출신 사외이사를 향한 시선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보험사 CSM 점검]삼성생명, 효율성 악화 만회한 '양적 영업성과'
- 신한라이프, 사외이사진 확대로 내부통제 역량 강화
- [보험사 CSM 점검]IFRS17 도입 2년, 계속되는 지표 '현실화' 조치
- 롯데손보, 예외모형으로 흑자 유지…기본자본 확충 필요성
- 캐롯손보, 가팔라진 적자 축소세…자본관리는 과제
- 한화손보, 사외이사진 세대교체...선임사외이사도 새로 추대
- 한화생명 GA 3사, 실적 든든한 축으로 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