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인터, 인니에서 에너지 영토 확장한다 서울시 14배 크기 '붕아 광구' 원유·가스 분배계약...13억 배럴 규모
정명섭 기자공개 2023-07-25 17:01:13
이 기사는 2023년 07월 25일 11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미얀마에 이어 인도네시아에서 제2의 자원개발 신화를 쓴다.포스코인터내셔널은 25일 인도네시아 땅그랑시에서 인도네시아 정부기관, 국영 석유회사 페르타미나 훌루 에너지(PHE)와 붕아 광구의 '생산물 분배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PHE는 인도네시아 국영석유가스공사 페르타미나의 자회사로 인도네시아를 포함해 해외 석유가스 탐사와 생산을 담당하는 전문기업이다.
이날 행사에는 정탁 포스코인터내셔널 부회장과 이전혁 에너지부문장, 인도네시아 국영 에너지기업 페르타미나의 니케 위드야와티 회장, 페르타미나 훌루 에너지의 위코 미간토로 사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생산물 분배계약은 정부와 계약자 간의 협약으로 생산되는 원유와 가스의 일부를 계약자가 투자비 회수를 위해 먼저 가져간 뒤 나머지를 정부와 일정 비율로 나눠 가지는 방식이다.
이번 계약으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붕아 광구 운영권을 포함해 6년의 탐사기간과 30년의 개발·생산기간을 보장받았다.
정부와 계약자 간 생산물 분배 비율은 원유 60대 40, 가스는 55대 45로 확정했다. 전체 생산량의 25%는 인도네시아 현지에 의무 공급하게 된다. 계약자 간 참여 지분은 포스코인터내셔널과 PHE가 각각 50대 50이다.
붕아 광구는 인도네시아 자바섬 동부 해상에 있다. 총면적은 8500km²로 서울시의 14배 크기다. 수심은 50m 천해부터 500m 심해까지 포함하는 대형 광구다.
붕아 광구는 인근에서 대규모 천연가스를 생산하는 빠게룽 가스전과 동일한 특성이 있어 탐사 성공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붕아 광구에는 13억 배럴 규모의 천연가스가 매장된 것으로 추산된다.
이번 광구 프로젝트는 2021년부터 시작됐다. 포스코인터내셔널과 PHE가 붕아 광구를 공동 조사한 결과 천연가스 존재 가능성이 높은 지층을 발견했다. 이후 올해 2월 PHE와 함께 컨소시엄 낙찰자로 선정돼 탐사권을 확보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이번 생산물 분배계약 이후 빠르게 광구 탐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자카르타에 있는 신설법인에 본사 E&P사업 전문인력들을 파견해 2026년까지 3D 인공 지진파 탐사 등을 통해 광구의 유망성을 평가하고 2027년 탐사 시추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현재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미얀마 해상가스전과 호주의 육상가스전을 통해 천연가스를 생산·판매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해외 가스전의 추가 생산량 일부를 국내 도입해 국가 에너지 안보에 기여하고 자체 LNG사업과 시너지를 낸다는 계획이다. 직도입한 LNG 연료를 활용해 LNG벙커링사업, LNG복합발전소 운영 등과 연계하는 전략이다.
정 부회장은 "다년간의 해외 사업 노하우와 기술력, 그리고 임직원들의 뚝심으로 이번 계약을 성사시킬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새로운 에너지원을 지속 확보함으로써 친환경에너지 전문회사로의 도약은 물론 국가에너지 안보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정 부회장과 니케 위드야와티 PHE 회장은 CCS(탄소포집·저장) 업무협약을 별도로 맺기도 했다. 양사는 CCS와 블루수소·암모니아 사업 기회를 공동 발굴하고 추진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키움증권 리테일 훼손 우려…이틀새 시총 2400억 증발
- 더본코리아, '노랑통닭' 인수 포기 배경은
- [i-point]탑런에이피솔루션, LG디스플레이 장비 공급 업체 등록
- [트럼프 제재 나비효과 '레드테크']한국 울리는 적색경보, 차이나리스크 확산
- [i-point]티사이언티픽, 파트너스 데이 성료…"사업 확장 속도"
- [i-point]빛과전자, 국제 전시회 참여 "미국 시장 확대"
- [탈한한령 훈풍 부는 콘텐츠기업들]잠잠한 듯했는데…JYP엔터의 중국 굴기 '반격 노린다'
- [LGU+를 움직이는 사람들]권준혁 NW부문장, 효율화 vs 통신품질 '균형' 숙제
- [저축은행경영분석]PF 늘린 한투저축, 순익 2위 등극…사후관리 '자신감'
- [저축은행경영분석]'PF 후폭풍' OK저축, 대손상각 규모만 3637억
정명섭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트럼프발 관세전쟁 대응전략]SK온, 미 공장 '가동률 극대화' 플랜 가동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가성칼륨 강자 유니드, 1년만에 '수익성' 회복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첨단소재 전문가' 김양택 SK머티 대표, 한앤코 간다
- 박상규 SK이노 사장 "주가하락 원인, 캐즘-미 정권교체"
- 롯데케미칼, 레조낙 지분 매각…1.7조 확보
- '35년 OCI맨' 김유신 사장, 부회장 승진
- 잠재력 육성하는 금호석화 "2025년 모든 가능성을 기회로"
- [thebell note]다시 CFO의 시간
- 김기동 SK㈜ CFO "올해 '재무 안정화' 제일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