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리더들의 시간]글로벌 협력 속도전…유정준 SK 부회장의 숨은 역할⑤'북미 대외 협력 총괄' 직함만 남아…한 발 뒤에서 네트워킹 활동에 주력
이호준 기자공개 2023-10-27 07:34:55
[편집자주]
올 한해 유난히 찬 바람이 거세게 불었던 SK, 그리고 그 집단의 정점엔 '임원'이 있다. 대기업의 '별'이라 불리는 임원의 세계는 기본적으로 회사의 생존 문제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숫자로 평가되는 곳이다. 다만 때로는 성과보다는 기업이 어떻게 보이느냐가 중요해 '안정'과 '쇄신'이라는 휘황찬란한 구호가 결과를 만들어 낼 수도 있다. 경기 침체기의 한복판, SK는 어떤 결정을 내릴까. 파이낸셜 스토리 수립은 물론 그룹의 안위를 책임지고 계획하는 SK 고위 임원들의 지난 시간을 더벨이 조명해 본다.
이 기사는 2023년 10월 24일 10시5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유정준 SK그룹 부회장을 향한 화려한 수식어는 숱하다. 하지만 '해외사업 전문가'처럼 그를 잘 보여주는 말도 없다. SK E&S를 이끌었던 지난 10년간 글로벌 에너지솔루션 관련 사업들을 갈고닦으며 도시가스 회사를 에너지 사업자로 변모시켰다.하지만 이제는 위상도 역할도 살짝 다르다. 쌓아둔 직함을 뒤로 하고 '북미 대외 협력 총괄' 하나 남겼다. 부회장의 역할도 전면에 나서기보다는 국제 행사에 홀로 참석하며 한 발 뒤에서 에너지 사업에 대한 SK의 메시지를 전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글로벌 사업가' 위상 확대…SK그룹의 '얼굴 역할'도
유 부회장의 커리어에 변화가 찾아온 것은 지난해부터다. 추형욱 사장과 공동으로 맡던 SK E&S 대표직을 내려놨다. 10년 만의 일이라 이목을 끌었다. 당시 회사의 미국 에너지솔루션 사업을 맡는 패스키(Passkey) 대표는 맡는다고 했으나 이마저도 올 초 물러났다.
그에게 남은 직함은 이제 SK그룹 '북미 대외 협력 총괄'이다. 다만 SK E&S를 떠났지만, 유 부회장은 아직 에너지 분야에 대한 전문성까지 내려놓지 않았다. 오히려 과거와 달리 활동 반경이 SK그룹의 해외 에너지 사업 전반으로 넓어졌단 평가가 나온다.
예컨대 패스키 대표이던 올 초, SK E&S의 전기차 충전 자회사 에버차지의 미 휴스턴 공항 충전소 개소식에 참석했다. 그러나 패스키 대표에서 내려온 올 6월엔 지주회사인 SK㈜의 급속 충전기 자회사 SK시그넷 신공장 준공식을 위해 텍사스를 찾았다.

이뿐만 아니다. 유 부회장은 올 5월 독일에서 열린 국제교통포럼(ITF) 교통장관회의에 참석, '기후변화와 투자'에 대해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지난달엔 '한미동맹'을 주제로 열린 뉴욕의 한 시상식과 파리에서 마련된 '아프리카 비즈니스 서밋'에 SK 대표로 갔다.
'글로벌 사업가'라는 위상만큼 그룹이 펼치고 있는 해외 비즈니스와 연관된 지역·영역 전반에서 목소리를 내는 것으로 보인다. 또 유 부회장은 현재 부산 엑스포 유치를 위한 WE(World Expo) TF의 현지지원팀장을 맡아 회원국들을 만나고 있다.
◇'보조' 역할이지만…에너지 산업 내 존재감 '상당'
물론 계열사 경영에는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유 부회장은 보조적 역할을 하는 게 사실이다. SK그룹을 대표해 글로벌 이해관계자와 이야기하는 창구에 가깝다.
이 때문에 실질적인 성과를 매기기는 어려운 위치다. 보폭 자체는 과거에 비해 넓어졌지만, 재생에너지·전기차 충전 시장과 네트워킹 형성에 초점을 둔 활동에서 보듯 사업 진행률이 높지 않고 체류 자체에 의미를 둔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는 점에서다.
다만 유 부회장이 수행하는 역할은 상당히 큰 의미를 차지한다는 게 대체적인 내부 평가다. SK E&S에선 손을 뗐지만, 에너지 산업에 25년간 몸담은 경력을 지니면서도 최태원 회장의 신임과 함께 대외 업무를 하는 인물이 드물기 때문이다.

SK㈜ 최고재무책임자(CFO)와 SK그룹 글로벌성장(G&G)추진단장, SK E&S 대표 등 요직을 거친 유 부회장은 지난 2020년 말 박정호 부회장(1963년생)과 함께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1962년생으로 그룹에서 부회장 직함을 단 인물 중 서진우 부회장(1961년생) 다음으로 가장 연배가 높다. 최 회장과 조대식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은 1960년생이다.
재계 관계자는 "여전히 최 회장과의 신뢰가 두터운 것으로 알려졌지만 에너지 업계의 세대교체의 흐름에서 자유롭진 않아 보인다"라고 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키움증권 리테일 훼손 우려…이틀새 시총 2400억 증발
- 더본코리아, '노랑통닭' 인수 포기 배경은
- [i-point]탑런에이피솔루션, LG디스플레이 장비 공급 업체 등록
- [트럼프 제재 나비효과 '레드테크']한국 울리는 적색경보, 차이나리스크 확산
- [i-point]티사이언티픽, 파트너스 데이 성료…"사업 확장 속도"
- [i-point]빛과전자, 국제 전시회 참여 "미국 시장 확대"
- [탈한한령 훈풍 부는 콘텐츠기업들]잠잠한 듯했는데…JYP엔터의 중국 굴기 '반격 노린다'
- [LGU+를 움직이는 사람들]권준혁 NW부문장, 효율화 vs 통신품질 '균형' 숙제
- [저축은행경영분석]PF 늘린 한투저축, 순익 2위 등극…사후관리 '자신감'
- [저축은행경영분석]'PF 후폭풍' OK저축, 대손상각 규모만 3637억
이호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아주스틸, 420억 손상차손…PMI 통해 자산 재평가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단기금융상품 '두배 늘린' KG스틸, 유동성 확보 총력
- CJ대한통운, 신사업 ‘더운반’ 조직개편 착수
- ㈜LS, 배당 확대 시동…2030년까지 30%↑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제철소 4.25조 조달 '안갯속'…계열사 ‘책임 분담’ 주목
- 고려아연, 경영권 수성…MBK와 장기전 돌입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미 일관 제철소 '승부수' 현대제철, 강관 동반 '미지수'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현대제철 첫 해외생산 '루이지애나'...무게중심은 여전히 국내
- 포스코퓨처엠 '흔든' UBS 보고서 "집중이 성장 막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