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점찍은 한국포스증권, '최소 규모+만성 적자' 5년간 평균 연매출 60억…수수료·이자 수익 편중 구조
권순철 기자공개 2024-02-15 10:55:29
이 기사는 2024년 02월 07일 14시1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포스증권이 최근 증권사 인수를 고려하고 있는 우리금융지주의 타깃 중 한 곳으로 드러나면서 관심을 받고 있다. 온라인 펀드 판매를 주력으로 하는 한국포스증권은 국내 증권사 가운데에서도 덩치가 가장 작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5년간 연매출이 60억원으로 100억원 이상을 기록했던 때는 2022년이 유일하다.◇우리금융이 관심 갖는 '한국포스증권'…온라인 펀드 판매 전문 회사
한국포스증권은 2013년 펀드온라인코리아라는 이름을 걸고 증권업계에 처음 발을 내딛었다. 그 다음 해 집합투자증권(펀드)의 투자매매업 및 중개업을 인가받은 후 온라인 펀드 판매 사업에 주력했다. 최근에는 창립 10주년을 맞아 브랜드명을 '펀드슈퍼마켓'으로 바꾼 후 다양한 펀드 서비스의 출시에 집중하고 있다.
한국포스증권의 최대주주는 지분 52.1%를 보유한 한국증권금융이다. 2018년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당시 기존 최대주주였던 에셋플러스자산운용을 제치고 새롭게 지배력을 행사했다. 그외 주요주주로는 28.6%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주식회사 파운트가 있다.
한국포스증권은 온라인 펀드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만큼 금융당국으로부터 인가받은 업무도 투자매매업, 투자중개업, 신탁업에 한정되어 있다. 투자매매업과 중개업은 펀드를 대상으로 하며 인수업은 따로 포함되어 있지 않다. 2019년에는 개인형퇴직연금에 한해 신탁업을 인가받아 개인형 IRP 서비스를 출시하기도 했다.
우리금융은 한국포스증권이 인수 매물 대상 중 하나임을 밝히면서 해당 증권사를 인수할 경우 우리금융 자본비율에 영향이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한국포스증권의 지난해 3분기 기준 순자본비율(NCR)은 366%로 자본 완충력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년간 평균 매출 60억…만성 적자에 수수료·이자 수익 편중
우리금융은 규모에 상관없이 모든 잠재 매물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지만 한국포스증권의 경우 국내 증권사 중에서는 그 규모가 가장 작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포스증권이 거둔 연간 평균 매출은 60억원이다. 100억원을 넘겼던 시기는 2022년이 유일했다.
금융투자협회에 회원사로 등록된 국내 증권사 중에서 해당 기간 동안 한국포스증권보다 낮은 실적을 기록한 곳은 전무했다. 자기자본이 1조원대 미만인 중소형 증권사 중에서도 2022년 실적 규모가 가장 낮은 곳은 한국포스증권이었다.
한편 최근 5년간 실적 추이는 전반적으로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지난해 3분기 누적 기준으로 한국포스증권은 매출 98억원과 함께 영업적자 4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8% 늘어났고 영업적자는 약 20% 축소되었다.
매해 영업적자와 당기순손실을 기록했지만 2020년을 기점으로 그 규모가 축소되는 모습이 관측되었다. 2020년 한국포스증권은 83억원의 적자를 내면서 근 5년간 영업손실의 폭이 가장 컸다. 다만 2021년에는 74억원, 2022년 71억원으로 소폭 줄어들었다.
사업이 펀드 판매에 치중되어 있는 만큼 매출의 대부분이 수수료와 이자 수익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난해 3분기 누적 기준으로 한국포스증권이 거둔 수수료 수익과 이자 수익은 각각 48억7800만, 48억9500만원으로 전체 매출의 99%를 차지한다. 일각에서는 이와 같은 매출 구성이 기업금융(IB)이나 자산관리(WM) 영역을 확대하려는 우리금융에게는 고민거리로 다가올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윤석열 대통령 탄핵]'관세' 충격이 집어삼킨 한국물…그나마 불안 덜었다
- [윤석열 대통령 탄핵]채권시장 잠잠…홈플러스 여파 비우량채 '예의주시'
- [티맵모빌리티는 지금]우티 매각, B2C 대신 데이터 기반 B2B '승부수'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소액주주 늘어난 두나무, RSU 규정 보완 '숙제'
- [Company Watch]KMW, 자회사 기가테라라이팅 미운 오리? '유일한 희망'
- 에이비엘 이상훈 대표가 말한 GSK 딜 의미 '선급금 740억'
- 에이비엘바이오, GSK에 4조 기술이전 '사노피' 넘었다
- 아이엠지티, 기술성평가 앞두고 '이학종·손건호' 투톱 체제 전환
- 넥슨, '카잔'으로 오랜 숙원 푸나
- [i-point]DS단석, 영남 지역 산불 피해 지원 성금 5000만원 기부
권순철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투자매매업 본인가 승인 우투증권, 마수걸이 딜 잡았다
- [링크솔루션 IPO]기술특례 추진, 3D 프린팅 성공 사례 '정조준'
- [한화에너지 IPO]밸류 방향타 '지분법 이익'…㈜한화 주가 '예의주시'
- [인투셀 IPO]ADC 키워드 장악, '제2의 리가켐' 노린다
- [thebell League Table]깊어지는 시장 침체, 기회 거머쥔 삼성증권
- [thebell League Table]조단위 공모 빅딜 LG CNS가 지배했다
- [DN솔루션즈 IPO]'고평가 vs 적절' 밸류 놓고 갑론을박…몸값 논리에 시선집중
- [한화에너지 IPO]제안서 밸류 최대 8조…내년 빅딜 예고
- [DN솔루션즈 IPO]50% 배당성향 확약, 성장·배당주 쌍끌이 전략
- [IPO 모니터]'수요예측 흥행' 한국피아이엠, 해외기관 확약 '눈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