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크린텍, '반도체 물부족' 폐수 재이용으로 해결한다 일본 기술기업 지포스재팬과 공동 기술개발, 장치공급 협력 MOU 체결
김혜란 기자공개 2024-03-26 09:27:55
이 기사는 2024년 03월 26일 09시2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초순수 생산기술 국산화를 추진 중인 한성크린텍이 초고속 원심분리기 기술보유 업체인 일본 지포스재팬(G FORCE JAPAN)과 공동 기술개발에 나선다.26일 한성크린텍은 전일 일본 나고야 지포스재팬 본사에서 기술협력과 장치공급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MOU를 통해 한성크린텍은 각종 산업에서 발생되는 고농도 실리콘 폐수와 농축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초고속원심분리기 장치를 우선적으로 국내 시장에 공급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회수가 어려운 미립자 성분들을 분리하고, 각종 폐액을 고형화해 폐수를 재이용 함으로써 물 부족 문제를 개선할 수 있게 한다는 구상이다.
국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물론 대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TSMC 등 전 세계 반도체 회사가 물 부족 이슈를 겪고 있는데, 이를 일부 해소할 대안 중 하나가 돼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자원의 선순환 과정을 통해 지속가능한 순환경제 사이클을 만들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도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한성크린텍은 초순수 생산에 필요한 요소기술, 폐수재이용, 실리콘과 이차전지 폐액 등 재이용을 위한 기술개발도 추진 중이다. 초순수 전처리 공정에 필요한 활성탄 필터를 대나무 소재로 변경하는 활성탄 생산기술을 확보하고 성능을 추가로 검증 중에 있다.
박종운 한성크린텍 대표이사는 "초순수 생산기술이 필요한 첨단 산업분야에 국산화 기술을 속도감 있게 공급하겠다"며 "소재, 부품, 장비개발에 회사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MOU를 계기로 물 부족에 대비한 폐수재이용 및 자원재활용 기술확보 시기가 빨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김혜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ESS 키 플레이어]한중엔시에스 '국내 유일 수랭식 공급' 가치 부각
- [ESS 키 플레이어]훈풍 탄 서진시스템, '1조 클럽' 가입
- [i-point]위세아이텍, 대한소방공제회 사업 수주…데이터 기반 행정 고도화
- [i-point]감성코퍼레이션, 75억 규모 자사주 취득·소각
- [Red & Blue]유일에너테크, '레이저 노칭' 해외 시장 확장 집중
- [ESS 키 플레이어]상장 앞둔 에이스엔지니어링, 사상 첫 매출 6000억대 달성
- [i-point]서진시스템, 907억 규모 ESS 공급 계약 체결
- [Company Watch]에스티아이, 반도체 인프라 투자 '수혜' 기대감
- [Company Watch]'해외 확장' 디이엔티, 미국·캐나다 법인 신설
- [i-point]APS, 김영주 COO 선임…"사업 재편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