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카드, 본업 선전 했지만…외부 변수에 실적 '뚝' 순익 감소율, 업계 최고…케이뱅크 관련 파생상품 이익 급감
이기욱 기자공개 2024-04-09 12:56:47
이 기사는 2024년 04월 08일 13시3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BC카드(비씨카드)가 영업 부문 선전에도 지난해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회원사 이탈 등 악재에도 본업과 신사업 양 부분에서 매출을 늘리는데 성공했지만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비용 증가를 만회하기 역부족이었다. 계열사 케이뱅크 관련 파생상품 평가 변수도 실적에 악영향을 미쳤다.◇주요 회원사 이탈에도 매출 3.4% 늘어…수익 다변화 성과
8일 업계에 따르면 BC카드는 지난해 총 728억원의 순이익을 시현했다. 전년(1458억원) 대비 50.1% 감소한 수치다. 고금리 장기화 악재로 대부분의 카드사들이 전년 대비 실적 악화를 겪었지만 BC카드는 그 중에서도 가장 큰 감소율을 기록했다. 다음으로 감소율이 높은 우리카드(-45.7%)보다 4.4%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 자체는 악조건 속에서도 선전했다. 지난해 BC카드의 전체 수익은 4조269억원으로 전년(3조8963억원) 대비 3.4% 늘어났다. 주요 회원사 우리카드의 이탈로 본업인 전표 매입업무 수익이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도 있었으나 지난해 3조236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3조1887억원) 대비 소폭 증가시키는데 성공했다.
수익원은 점차 다변화되는 중이다. 지난해 전체 수익에서 매입업무 수익이 차지하는 비중은 80.4%로 전년(81.8%) 대비 1.4%포인트 축소됐다. 2021년(88.1%)과 비교하면 7.7%포인트 줄어들었다.
일반 대출 등 금융수익 비중이 2022년 1.8%(704억원)에서 지난해 2.7%(1096억원)로 가장 많이 확대됐다. 2021년(0.9%)부터 꾸준히 증가 흐름을 이어나가는 중이다. 자체카드수수료 수익과 부가사업수수료 수익도 각각 전년 대비 4.8%, 11.8%씩 늘어났다.
하지만 본업 선전과 수익다변화 노력도 이자비용 증가 악재를 보완하지 못했다. 지난해 BC카드의 총 이자비용은 556억원으로 전년(271억원) 대비 두 배 이상 늘어났다. 프로세싱 업무 특성상 타 카드사에 비해 외부 조달 규모가 작아 이자비용 증가액은 크지 않지만 증가율은 105.2%로 카드사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케이뱅크 투자자에 동반매각청구권 부여…파생상품 부채 소폭 감소
BC카드의 계열사 케이뱅크 관련 변수도 실적에 큰 영향을 미쳤다. BC카드는 케이뱅크의 지분 33.7%를 갖고 있는 최대주주다. BC카드는 2021년 케이뱅크 유상증자를 진행하면서 참여 투자자들에게 동반매각청구권(Drag-Along Right)을 부여한 바 있다.
케이뱅크가 합의한 조건에 상장되지 못할 경우 재무적투자자(FI)들은 BC카드에 지분 매각을 요구할 수 있다. 때문에 BC카드는 매년 케이뱅크의 평가 가치와 동반매각청구권 행사 가격, 이자율 등을 고려해 파생상품 부채를 계산한다. 부채 규모 변화에 따라 파생상품 평가 손익도 실적에 반영된다.
지난해말 기준 BC카드의 케이뱅크 동반매각청구권 파생상품 부채는 133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말(1349억원) 대비 16억원 줄어든 수치다. 평가 손익도 16억원 인식됐다. 평가 손익이 발생하기는 했지만 그 규모가 전년(234억원) 대비 93.2% 줄어들었다. 2022년에는 파생상품 부채가 1583억원에서 1349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결과적으로 전체 영업외 수익이 277억원에서 98억원으로 64.6% 감소했고 영업외 손익 역시 255억원에서 72억원으로 71.8% 줄어들었다.
건전성 악화로 인해 충당금 전입액도 크게 늘었다. 지난해말 기준 BC카드의 연체율은 1.53%로 전년말(0.94%) 대비 0.59%포인트 상승했다. 충당금 전입액은 411억원에서 784억원으로 90.8% 증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빛과전자, 국제 전시회 참여 "미국 시장 확대"
- [탈한한령 훈풍 부는 콘텐츠기업들]잠잠한 듯했는데…JYP엔터의 중국 굴기 '반격 노린다'
- [LGU+를 움직이는 사람들]권준혁 NW부문장, 효율화 vs 통신품질 '균형' 숙제
- [저축은행경영분석]PF 늘린 한투저축, 순익 2위 등극…사후관리 '자신감'
- [저축은행경영분석]'PF 후폭풍' OK저축, 대손상각 규모만 3637억
- [여전사경영분석]IBK캐피탈, 지분법 손실에 순익 '뒷걸음'…올해 GP 역량 강화
- 우리은행, 폴란드에 주목하는 이유
- [Policy Radar]금감원, MBK발 사모펀드 전방위 점검...LBO 방식 손볼까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우리금융캐피탈, 잠재 위험 대비 수입차 고액여신 집중 관리
- [NPL 경영분석]하나F&I, 전략적 채권 회수 지연…순익 감소, 부채비율 상승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HLB생과 투톱 남상우·한용해, HLB 합병해도 '핵심인력'
- HLB, 합병 '재무실익' 글쎄 '리보세라닙' 가치 손상 관건
- HLB·HLB생명과학 합병, 리보세라닙 CRL 충격 극복 강수
- [한미약품그룹 리빌딩]지주 첫 CEO 김재교 부회장, '오픈이노베이션' 직접 챙긴다
- 톡신 후발 종근당, 분명한 균주출처 강점 '상업화' 목전
- '해외베팅' 동방메디컬, 전략적 인수 '가족회사' 활용법 고심
- 자본잠식 해소한 에이비온, 핵심은 법차손 규제
- [이사회 모니터|바이젠셀]새주인 '가은' 체제 확립, 정리 못한 보령 지분 '이사직 유지'
- 에이비온의 넥스트 'ABN202', 미국 개발 '합작사' 추진
- [제약사 넥스트 오너십]삼진제약, 공동경영에도 불균등 지분…외부세력 양날의 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