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마린솔루션 IPO]'문전성시' IR "자료 구하기도 어렵다"설명회 참석 못한 국내 기관 상당수, "해외 우선한 것 같다" 불만
안준호 기자공개 2024-04-16 07:15:49
이 기사는 2024년 04월 15일 10시1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수요예측 일정을 시작한 HD현대마린솔루션 공모에 국내 중소 기관투자가들의 불만이 집중되고 있다. 올해 최대 규모 딜이 될 가능성이 높지만 기업설명회(IR) 과정에 초대받지 못한 투자자들이 상당수 존재하기 때문이다.공모 규모가 큰 ‘빅딜’의 경우 해외 기관투자자와의 소통에 더 집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안정적인 물량 소화를 위해 미리 별도 배정분을 구분하는 일도 흔하다. 다만 이번 HD현대마린솔루션의 경우 설명자료(IR book)를 구하기도 쉽지 않아 불만이 증폭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15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HD마린솔루션과 상장 주관사단은 오는 16일부터 공모가 확정을 위한 기관 수요예측을 시작한다. 수요예측 이전 홍콩, 싱가포르 등지에서 해외 기관을 먼저 만난 뒤 지난주부터는 국내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IR 일정을 진행했다.
HD현대마린솔루션은 주당 7만3300~8만3400원의 공모가 밴드를 제시했다. 밴드 상단 기준 공모 규모는 약 7423억원, 예상 시가총액은 3조7071억원에 달한다. 2022년 LG에너지솔루션 상장 이후 공모 규모만 고려하면 가장 큰 딜에 해당한다. 공모주 시장 상황도 나쁘진 않기 때문에 국내외 기관들의 관심도 큰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현재까지 국내 기관 투자자들 사이에선 IR 진행 과정에 대한 불만도 제기되고 있다. 관심이 큰 만큼 설명회에 참석하고자 하는 수요도 많지만 초대장을 받은 곳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수요예측이 임박한 만큼 IR북을 구하는 곳도 많지만 발행사 측의 ‘보안’이 철저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다수 국내 기관이 해당 자금을 운용하는 담당자의 의견을 내부적으로 검토한 뒤 수요예측 참여 규모를 결정한다. 운용자산(AUM) 규모가 큰 곳의 경우 자체 밸류에이션과 투자의견을 담은 보고서도 작성한다. 설명회에 참석해 재무 정보와 성장 전략을 청취하지 않는다면 수요예측 참여에도 지장이 생기는 이유다.
한 공모주 펀드 담당자는 “국내 IR은 제한적으로 진행하고 관련 자료도 구하기 어려워서 중소형 운용사들이 경우 불만을 가진 사람들이 많다”며 “원래도 대형 IPO는 옥석을 가려 IR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번 공모의 경우 유독 초청받은 곳이 적은 것 같다”고 전했다.
이전에도 조달 규모가 큰 빅딜들은 해외 기관 중심으로 IR을 진행하는 것이 관행이었다. 특히 국내 대형 그룹사 계열 IPO들이 그랬다. 워낙 공모 규모가 크다 보니 자금력을 갖춘 기관에 좀 더 비중을 둘 수밖에 없다. 특히 외국계 증권사가 주관사에 합류한 경우 이런 성향이 더욱 강하다는 설명이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이렇게 규모가 큰 기업은 기존 그룹사 커버리지를 담당하는 부서, 해외 영업을 담당하는 곳 등이 IR 일정을 컨트롤 하는 일이 많다”며 “이런 경우 증권사 브로커들이 운용사 등에 IR 참여 의사를 묻게 된다”고 설명했다. 실제 현재 HD현대마린솔루션 역시 대행사가 아닌 브로커들을 통해 국내 IR 초청이 이뤄지고 있다.
그간의 관행을 고려해도 불만은 상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에코프로머티리얼즈 등 대형 공모 역시 참석을 못한 곳이 일부 있었으나 불만을 제기하는 곳은 없었다”며 “HD현대마린솔루션의 경우 배정 경쟁이 역사상 가장 치열했던 LG에너지솔루션보다도 불만이 큰 편”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안준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주류 스마트오더 점검]규제가 낳은 시장, 혼술 열풍과 함께 성장
- 美 진출 올리브영, 실리콘투와 현지 출점 협업 논의
- 첫단추 꿴 'K패션' 상장, 에이유브랜즈 후속 주자는
- '공개매수' 나선 컬리…"주주가치 제고 목적"
- 청담글로벌 자회사 바이오비쥬, '중복상장' 영향은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주주제안 상정' 이마트, 달라진 소통 의지 눈길
- [thebell note]백종원 없는 더본코리아
- [캐시플로 모니터]악재 겹쳤던 모두투어, 현금흐름도 '둔화'
- [와이즈플래닛컴퍼니는 지금]유망 기업 초기 투자, 마케팅 솔루션과 '시너지'
- [와이즈플래닛컴퍼니는 지금]희비 엇갈렸던 커머스 IPO, 공모 전략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