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금융권 연체 리스크]하나카드, 실적 선방 반작용…연체율 상승 속도 최고연체율 1.67%로 업계 최고…차주 신용도는 개선
이기욱 기자공개 2024-04-29 13:05:19
[편집자주]
올해 제2 금융권의 최대 화두는 건전성 관리다.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하며 차주들의 상환 능력이 급격히 저하되고 있다. 은행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신용 차주의 비중이 큰 카드사와 캐피탈사, 저축은행들이 본격적으로 연체 리스크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된다. 2금융권 각 금융사별 건전성 지표 흐름과 차주별 관리 현황 등을 심층 분석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4월 24일 16:04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하나카드의 연체율이 카드업계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다. 지난해 업황 악화 속에서도 순익 방어에 성공하며 업계 최하위를 벗어났지만 건전성 관리에서는 다소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비카드사업 양 부문에서 외형 성장을 이룬 반작용으로 분석된다.하나카드는 차주 신용도를 높이는 '사전적 관리'를 통해 잠재 리스크를 줄여나가는 모습이다. 장기연체 채권 정리가 향후 건전성 관리의 최대 과제가 될 전망이다.
◇1년새 0.69%포인트 상승…외형 확장으로 연체 채권도 늘어
지난해말 기준 하나카드의 연체율은 1.67%로 집계됐다. 이는 7개 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하나·우리카드) 중 가장 높은 수치다.
전년말 대비 증가폭도 가장 크다. 2022년말 연체율은 0.98%로 1년새 0.69%포인트 상승했다. 두 번째로 상승폭이 큰 곳은 롯데카드로 같은 기간 0.57%포인트 높아졌다.
1년간 연체율 변화 추이도 꾸준히 상승 곡선을 보이고 있다. 2022년말 0.98%였던 연체율은 1분기말 1.14%로 0.16%포인트 상승했고 2분기말과 3분기말에도 각각 전분기 대비 0.34%포인트, 0.18%포인트씩 높아졌다.
하나카드는 지난해 업황 악화 속에서도 영업을 확대하며 순익을 방어해냈다.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1710억원으로 전년(1920억원) 대비 10.9% 줄어들었지만 이자비용 증가율(87.5%) 등을 감안했을 때 하나금융그룹 안팎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우리카드(1110억원)을 제치고 업계 순익 '탈꼴찌'에도 성공했다.
지난해말 하나카드의 카드자산은 9조6675억원으로 전년말(9조379억원) 대비 7% 증가했다. 할부금융자산도 1조3579억원에서 1조5389억원으로 13.3% 늘어났고 대출 채권도 2101억원에서 3620억원으로 72.3% 증가했다. 카드·비카드사업 양 부문에서 외형 성장을 이뤘다.
업황 악화 속 외형 확장 정책은 건전성 부문에서 부정적 결과로 나타났다. 총 채권이 늘어난만큼 연체 채권 총액도 함께 증가했다. 지난해말 하나카드의 1개월 이상 연체채권 잔액은 2018억원으로 전년말(1084억원) 대비 86.1% 증가했다.
경쟁 카드사 중 증가율이 가장 높다. 두 번째로 높은 롯데카드(69.9%)와 16.2%포인트 차이난다. 장기 연체 채권 증가율 역시 높은 편이다. 3개월 이상 연체 채권은 476억원에서 1043억원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났다. 6개월 이상 연체 채권도 69억원에서 254억원으로 3.7배 증가했다.
총 채권 대비 3개월 이상 연체 채권의 비중은 0.86%로 나타났다. 전년말(0.43%) 대비 비중이 두 배 확대됐다.
◇카드자산, 1등급 차주 자산 비중 확대…일반대출도 70% 이상 유지
하나카드는 차주의 신용도를 높이는 사전적 관리를 통해 잠재 리스크를 줄여나가는 모습이다. 신용판매와 카드대출, 비카드사업 등 부문에 걸쳐 고신용 차주의 비중을 확대해 향후 추가 연체의 가능성을 낮추는 중이다.
하나카드는 감사보고서상 자체적으로 차주의 신용등급을 1~3등급으로 나누고 있다. 부도율을 근거로 개인과 기업, 소호(SOHO, 개인사업자) 등 차주 특성을 반영해 구분한다. 개인은 부도율 0.66%와 30.53%를 각각 2등급, 3등급 경계 구간으로 설정하고 있고 기업은 1.18%과 13.87%를 기준으로 나누고 있다. SOHO차주는 부도율 7.25% 이하가 1등급, 7.25% 이상 41.35% 미만이 2등급에 해당한다.
지난해말 기준 하나카드의 신용판매자산(상각 후 원가측정)은 6조6722억원으로 이중 1등급 차주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71.64%로 나타났다. 전년말(67.42%) 대비 4.22%포인트 확대됐다.
단기카드대출(현금서비스) 역시 마찬가지다. 2022년말에는 1등급의 비중이 2.82%에 불과했다. 총 4260억원 중에 120억원만이 1등급에 해당했다. 하지만 지난해말 그 비중이 9.8%로 급증했다. 총 자산은 3780억원으로 11.3% 줄어들었지만 1등급 차주 자산은 371억원으로 209.2% 늘어났다.
장기카드대출(카드론)의 경우 2022년말 1등급 차주 자산이 전무했지만 지난해말 1660억원으로 늘어났다. 전체 카드론 대비 비중은 5.88%다.
일반 대출도 1등급 자산 비중이 75.83%로 높게 유지되고 있다. 전년말(78.83%) 대비 소폭 축소됐지만 신용판매(71.64%) 보다도 오히려 1등급 비중이 크다. 2등급 비중은 20.36%에서 23.84%로 3.48%포인트 늘어났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2024 이사회 평가]화승엔터프라이즈, 준수한 '참여도'…경영성과 '발목'
- [2024 이사회 평가]현대홈쇼핑, 소위원회 다양성 '강점'‥실적 개선은 과제
- 오리엔트바이오, 탈모약 '경피제→주사제' 임상진입 총력
- '매출 1조' FRL코리아, 롯데쇼핑 '배당·지분법이익' 효자
- [광동헬스바이오의 새출발]생산 효율화 '집중 투자' 자금 마련 방안은
- [롯데관광개발은 지금]사업다각화 순항…여행·호텔, 양날개 펼쳐
- [Red & Blue]'고된 신고식' 치른 닷밀, 외형 성장 '자신'
- [Red & Blue]상장 1년 맞이한 케이엔에스, 주가부진 '아쉬움'
- 플리토 "AI발 데이터 수요 여전, 성장 자신"
- [Red & Blue]바닥 다진 유라클, AI 사업 기대 반등세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바이오로직스, '존림 체제' 유지에도 드러난 변화의지
- 동국제약, 포트폴리오 다변화 효과 벌크업…수익성 개선도
- 아리바이오, 치매신약만 있다? '저주파 기기' 가능성 확인
- 삼성바이오로직스, 10년만에 CFO 교체…전자출신 '유승호'
- 위기의 롯데, 의외의 확장 계열사 '의료'…보바스병원 주목
- 제테마 '더톡신주' 국내 허가, 이르면 내년 3월 시판
- 아시아 '광폭 행보' 프리시젼바이오, 목표는 내년 흑자전환
- 광동제약, 매출 늘어도 원가탓 '수익성 고심' 다각화 승부수
- [1203 비상계엄 후폭풍]혹한기에 정세불안까지 덮쳤지만, 바이오텍 IPO 일정 강행
- 셀비온 'Lu-177-DGUL' 환자늘어도 ORR 개선, 상업화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