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인터, '명품이탈 불구' 해외패션 반등 가시화 코스메틱 역대 최대 매출, '톰보이 유상증자 단행' 반등 도모
변세영 기자공개 2024-05-10 07:43:19
이 기사는 2024년 05월 08일 17시3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이 명품브랜드 이탈 타격을 딛고 해외패션 부문에서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브루넬로 쿠치넬리 등 신명품 라인과 지난해(2023년) 하반기 론칭한 꾸레쥬 등 럭셔리 패션브랜드가 선방한 효과다.신세계인터내셔날에 따르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3094억원으로 전년대비 0.9% 감소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112억원으로 8.9%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2022년 4분기부터 전년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줄곧 역성장 곡선을 그려왔는데 5분기 만에 이를 깬 것이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지난해 셀린느가 직진출로 전환하면서 실적에 직격탄을 입었다. 수익성이 높은 럭셔리 브랜드가 이탈하면서 영업이익 타격이 커진 것이다. 화장품 사업이 약진했는데도 이익률 자체가 해외 고가 브랜드와 비교해 낮은 편이라 상쇄하는 데 어려움이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이 같은 위기를 뚫고 신세계인터내셔날은 브랜드 재편 작업에 매진했다. 지난해(2023년) 9월 론칭한 꾸레쥬와 올해 3월 선보인 더로우가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설명이다. 더로우는 ‘20대의 에르메스’라는 별칭을 얻을 만큼 온라인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이밖에 올 1분기 브루넬로 쿠치넬리(+22.2%), 어그(+23.2%), 릭오웬스(+23.1%) 등이 신명품 라인도 전년대비 매출액이 두 자릿수 성장률을 보였다.
효자인 코스메틱부문도 호조를 이어갔다. 코스메틱부문 매출액은 1043억원, 영업이익 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5%, 16.7% 증가했다. 이는 전분기를 통틀어 역대 최대 매출이다. 럭셔리 스킨케어가 약진했다. 럭셔리 브랜드 뽀아레는 전년대비 매출액이 63.1%, 스위스퍼펙션은 63.9%나 급증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3년 내 스위스퍼펙션의 소매 매출 1000억원을 넘겨 글로벌 메가 브랜드로 육성한다는 포부다.
다만 국내패션부문은 전년대비 매출이 역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여성복 시장 환경이 녹록지 않은 탓이다. 자회사인 ㈜신세계톰보이 브랜드 재편 시너지도 아직이다. 지난해 하반기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자체 여성복 브랜드 보브와 지컷 관련 유무형 자산이 포함된 영업권 일체를 ㈜신세계톰보이에 583억원에 양도했다. ㈜신세계톰보이가 전개하는 브랜드가 스튜디오톰보이, 보브, 지컷 등 총 3개가 된 것이다. 패션역량 강화와 투자 단행 측면에서 별도법인으로 빼는 게 효율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이러한 상황 속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자회사 ㈜신세계톰보이 유상증자에 77억원을 출자하기로 결정하는 등 전폭 지원에 나섰다. 이번 유증을 통해 차입금 상환 등 재무구조를 안정화함과 동시에 궁극적으로 여성복 라인을 공격적으로 키울 것으로 분석된다.
신세계인터내셔날 관계자는 “1분기에 해외패션과 코스메틱부문이 성장하면서 매출이 전년대비 두 자릿수 퍼센트 늘었다"면서 "자주도 적자를 많이 축소하며 수익성 개선을 이끌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Company Watch]온타이드, 매출절반 차지하는 해외법인 부진 지속
- [ESS 키 플레이어]한중엔시에스 '국내 유일 수랭식 공급' 가치 부각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빗썸, 비언바운드 법인 청산…해외사업 '고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투자 대폭 늘렸는데도 '무차입 기조' 유지
- [i-point]서진시스템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 한국소호은행, 소상공인 금융 혁신 이뤄낼 경쟁력 세가지
- [여전사경영분석]현대캐피탈, 친환경차 리스 중심 영업수익 확대…순익은 감소
변세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애경그룹 리밸런싱]매물로 나온 애경산업, 인수 후보군은
- 훨훨 나는 올리브영, 지분투자 성적표는
- [인스파이어 넥스트 스텝]카지노-비카지노 5:5, 리테일 경쟁력 ‘강화’
- [thebell note]글로벌세아그룹의 민간외교
- [인스파이어 넥스트 스텝]이사회 물갈이, 베인캐피탈 사내이사 '등판'
- [Company Watch]삼성웰스토리, 중국 의존도 낮추고 유럽에서 '새 활로'
- [인스파이어 넥스트 스텝]경영난 모회사, 손바뀜 후 투자재개 기대감↑
- [이사회 분석]롯데홈쇼핑의 건기식 도전, 합작법인 키맨은
- 윤상현 CJ ENM 대표 "턴어라운드 성공, 실적 개선 이어갈것"
- 한화갤러리아, ‘프리미엄 음료 베팅’ 글로벌 도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