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美 조선소…한화오션 향한 전방위 지원 '눈길' 해상풍력·MRO 사업에도 중요한 발판…다음 후보는 '오스탈'
이호준 기자공개 2024-06-24 13:30:50
이 기사는 2024년 06월 21일 17시4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화오션이 글로벌 방산 시장 공략을 위한 큰 걸음을 뗐다. 미국 필리 조선소 인수로 현지 상선 및 특수선 수주를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기 때문이다.물론 필리 조선소를 회사가 원하는 방향에 맞게 개조하고 현지에서 기술력과 생산성을 인정받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그러나 한 가지는 확실히 보여줬다. 한화오션이 가는 길에는 언제나 그룹 차원의 든든한 지원이 뒷받침될 것이라는 점이다.
◇국내 최초 사례…해상풍력·MRO 사업에도 중요한 발판
한화그룹은 20일(현지시간) 미국 필라델피아에 있는 필리 조선소 지분 100%를 인수하는 계약을 맺었다. 인수에는 한화시스템과 한화오션이 참여했다. 미국 내에 자체 조선소를 보유하게 된 국내 최초의 사례로 인수금은 총 1억달러(약 1380억원)다.
미국 조선 시장은 꽤나 폐쇄적이다. 1920년 제정된 존스법에 따라 안보·보안 우려 등으로 미국에서 건조한 선박만 미국 내 운항을 허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조선사들은 미국 내 상선 및 특수선 수주를 위해서는 현지 조선소 확보가 필수적이다.

필리 조선소를 인수하면서 한화오션은 이러한 고민을 덜게 됐다. 특히 미국은 오랜 존스법의 영향으로 납기 지연 등의 문제가 불거진 상황으로 알려진다. 한화오션이 기술력과 생산성을 인정받게 되면 장기적으로 현지 상선 및 특수선 수주도 가능하단 평가다.
신사업 영역에서도 기회가 열리고 있다. 필리 조선소는 해양풍력 설치선과 해군 수송함의 수리·개조 사업 등의 건조 실적을 보유 중이다. 한화 편입을 계기로 해상풍력 사업과 함정 유지보수(MRO) 사업을 추진 중인 한화오션에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지난해 7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해상풍력 설치선 철강 절단식에 참석하기 위해 필리 조선소를 찾기도 했다"라며 "필리 조선소 인수를 계기로 앞으로 글로벌 해양 시장의 주역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룹 성장 차원에서 계열사 동원…다음 후보는 '오스탈'
한화오션의 발 빠른 사업 확대를 돕기 위해 한화그룹이 선택한 방법은 결국 인수합병(M&A)을 비롯한 대규모 투자로 보인다. 이는 M&A로 성장한 그룹의 성장 방식과 일맥상통한다. 이미 지난 몇 년 사이 계열사들도 나서 이를 지원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작년 한화임팩트는 그룹의 한화오션 인수 추진과 함께 한화엔진을 사들였다. 이달 14일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한화오션과 미국 액화천연가스(LNG) 개발사 넥스트디케이드 지분을 인수했고 이번엔 한화시스템이 한화오션과 함께 필리 조선소를 품에 안았다.

물론 한화오션만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 한화임팩트는 산하 가스터빈 개조기업 PSM, 한화시스템은 자사 시스템 관련 솔루션의 기술 역량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한화오션 지원으로 육해공 통합 방산 및 신재생 에너지 부문의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목표가 있다.
한화그룹에게 가장 필요한 다음 투자처는 호주 방산 조선업체 '오스탈(Austal)'이다. 오스탈은 미국 해군에 선박을 납품하는 방산업체다. 한화오션 특수선 사업의 경쟁력 확보는 물론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한화그룹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관측된다.
업계 관계자는 "한화오션은 지난해 미국 지주회사를 설립한 이후 해외 사업에 대한 논의를 신속하게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며 "필리 조선소 인수로 특수선 쪽에서 성과가 빠르게 나오려면 현지 정비·개조가 많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글랜우드PE, 3호 펀드 1조 규모로 내달 1차 클로징
- [i-point]미래아이앤지 "단순 세무조사 진행 중"
- [Deal Story]SK네트웍스, 렌터카 매각에도 공모채 투심 견조했다
- [Deal Story]세아제강, 3년물 회사채 흥행 이어갔다
- [Deal Story]LX인터, 복귀전서 1조 수요…언더금리 확보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그룹내 자금 에어로 투입, 투자자 달랠수 있을까
- '첫 선' 모태 과기부 AI 출자, 정시 서류탈락자 '북적'
- [윤석열 대통령 탄핵]UAE국부펀드, '토종 헤지펀드' 출자 속도낸다
- [thebell note]리브스메드, 한국의 포드될까
- IPO 개선안에 코벤·하이일드펀드 투자자 불만 고조
이호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note]장세욱의 싸움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손익 '엇박자'…영업흑자에도 순손실 300억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G스틸, 그룹내 '유동성 창출' 중심 부상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무관세' 종료 美시장…KG스틸USA, 실적유지 가능할까
- 아주스틸, 420억 손상차손…PMI 통해 자산 재평가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단기금융상품 '두배 늘린' KG스틸, 유동성 확보 총력
- CJ대한통운, 신사업 ‘더운반’ 조직개편 착수
- ㈜LS, 배당 확대 시동…2030년까지 30%↑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제철소 4.25조 조달 '안갯속'…계열사 ‘책임 분담’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