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성해진 유한양행 항암라인업, 신규 모달리티 적극 도입 저분자화합물에서 ADC·TPD로 확장, M&A는 신중한 접근
정새임 기자공개 2024-07-03 10:13:24
이 기사는 2024년 07월 02일 08시0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열홍 유한양행 R&D 총괄 사장이 부임한 뒤 항암 신약 파이프라인이 다채로워지고 있다. 그간 면역항암제 물질에 집중했다면 최근에는 기술 발전의 트렌드에 발맞춰 모달리티를 다양화하는데 집중한다. 기술 내재화를 위한 인수합병(M&A)도 검토 중이지만 이보다는 도입전략이 활발하다.◇항암 파이프라인 강화, 초점은 '신규 모달리티' 확보
유한양행은 1일 유빅스테라퓨틱스와 신약물질 기술도입(L/I) 계약을 체결했다. 유빅스테라퓨틱스가 개발 중인 표적단백질분해(TPD) 신약 물질 'UBX-103'을 유한양행에 도입하는 계약이다.
김 사장이 R&D 총괄로 온 뒤 3번째 이뤄진 기술도입이다. 모두 항암제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차이점도 있다. 앞서 도입한 2건이 저분자화합물인 것과 달리 UBX-103은 표적단백질분해(TPD)라는 신규 모달리티라는 점에서다

UBX-103은 유빅스테라퓨틱스의 자체개발 TPD 플랫폼 '디그래듀서'를 활용해 발굴한 물질이다. 저분자화합물이 특정 단백질 기능을 억제해 질병을 치료하는 기전이라면 TPD는 아예 표적 단백질을 분해해 제거한다. 치료 효과를 높이고 내성 발생을 늦추는 신기술이다.
유한양행은 올해 초부터 항체약물접합체(ADC)를 비롯해 TPD와 같은 새 모달리티를 인수 후보군으로 강조해왔다. 글로벌로 나갈 수 있는 유망한 항암 신약 물질을 확보해야 한다는 판단이다.
올해 1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JPM)에서 더벨과 만난 김 사장은 "온콜로지 등 유한양행이 강한 분야에 집중하겠다"며 "ADC와 TPD 기반의 새로운 모달리티를 주로 보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이후 약 6개월 만에 TPD 기술도입이 이뤄졌다. 선급금 50억원, 전 세계 개발 및 판매 마일스톤 등 총 계약 규모 1500억원으로 금액이 크진 않지만 TPD 개발을 유한양행이 이끌게 됐다는 점에서 이전 계약과 남다른 의미를 지닌다.
과거에도 업테라 등 바이오텍과 TPD 공동개발 협업을 추진한 적 있지만 본격적으로 TPD 파이프라인을 도입해 임상을 추진하는건 이번이 처음이다.
◇기술 내재화 위한 M&A도 유효…첫 대상 두고 고민
한동안 뜸했던 유한양행의 기술도입은 김 사장 휘하에서 보다 활발해진 모습이다. 혈액종양내과 전문의로서 전문분야인 항암 쪽 파이프라인을 강화하는 움직임이 뚜렷하다.
다만 M&A에는 아직 신중한 입장이다. 유한양행은 JPM에서 새 모달리티 기술을 내재화한다는 목표를 제시하며 그 방법으로 M&A를 언급했다. 전통제약사 특유의 보수적인 문화가 강했던 유한양행에서 M&A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는 공식입장은 꽤나 파격적인 행보로 여겨졌다.
이후 아직까지 유한양행의 M&A 소식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프로젠, 이뮨온시아 등 일부 바이오텍은 최대주주로서 경영에 참여하고 있지만 전략적투자자(SI)로 참여하거나 기존 최대주주의 파산과 같은 예외적 상황이었다.
과거 SI로 투자한 바이오텍이 수십곳에 달하고 대부분 엑시트하지 않아 최대한 신중하게 M&A를 검토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현금성자산은 2400억원 정도로 충분하나 회사의 첫 M&A인 만큼 부담도 적지 않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ADC, TPD 등 신규 모달리티를 확보하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며 "M&A는 다방면으로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LP Radar]산은, 상반기 혁신성장펀드 위탁운용사 7곳 최종 선정
- 씨앤씨인터내셔널, ‘코스모프로프 월드와이드 볼로냐 2025’ 참가 성료
- 이창환 얼라인 대표, 코웨이 자료 놓고 "FCF냐 OCF냐"
- 밸런스히어로, 눈에 띄는 성장세 IPO '청신호'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대표 하우스' 타임폴리오 물만났다…'국장' 집중 모드
- 한국증권, GWM-PB라운지 '투트랙' 전략
- 수수료 전쟁 ETF, 결국 당국 '중재'나서나
- 메테우스운용, '김정현 운용부문장' 새 대표 낙점
- "리빙트러스트 발족, 하나금융 유언대용신탁 명망 잇는다"
- JB운용, '머큐어 앰배서더 홍대' 인수 눈앞
정새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60주년 맞은 휴온스, 윤성태 회장 복귀 "해외 사업 챙긴다"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삼양 바이오 새 수장 김경진 사장 "CDMO 글로벌 확장"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루닛의 새 조력자 이준표 SBVA 대표, '카이스트' 인연
- [이뮨온시아 IPO]자사주 활용한 신주모집 효과, 유한양행 '통 큰 결정'
- 조영제 신약 '인벤테라' 기술성평가 신청, IPO 첫발
- 에스테틱 진출 리메드, '클레오' 브랜드 각인 총력
- AITRICS의 문진 플랫폼 브이닥, 종합병원서 병·의원으로
- 한미약품의 '머크식 경영모델' 대주주위 그리고 외부의장
- AI신약에 속도 제이인츠바이오 'JIN-NOVA', 첫 성과 도출
- [HLB '리보세라닙' 미국 진출기]혼란 무마 나선 진양곤 회장 "일정·회계 변동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