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 모니터]엔씨소프트, 인건비가 매출액의 절반 넘었다51.8% 기록, 매출 급감에 인건비 증가 겹쳐…경쟁사들은 20~30% 수준
원충희 기자공개 2024-07-18 09:33:20
[편집자주]
이익을 확대하려면 수익(매출)을 늘리거나 비용을 줄여야 한다. 이 중 경기침체 국면에선 많은 기업이 비용을 줄이는 쪽을 택한다. 시장 수요가 줄어 수익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바로 이때 '돈을 관리함으로써 돈을 버는' 최고재무책임자(CFO)의 역할이 중요해진다. THE CFO가 기업의 비용 규모와 변화, 특이점 등을 짚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7월 11일 14시16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엔씨소프트의 올 1분기 매출 대비 인건비가 50%를 돌파했다. 인건비 자체는 전년보다 소폭 감소했으나 매출이 더 급감한 탓이다. 국내 주요 게임사들의 인건비율이 20~30%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고정비 부담이 상당히 커졌다.여타 게임사들도 인건비율이 점진적인 상향세를 보이고 있다. 상당수는 인건비 증가와 함께 매출이 부진한 영향을 받았다.
◇엔씨소프트 인건비율 3년간 21.8%→47.3% 급등
현재 게임시장은 '3N-SK2'가 선두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전통 게임강호인 3N(넥슨, 엔씨소프트, 넷마블)과 신흥강자인 SK2(스마일게이트, 크래프톤, 카카오게임즈)를 통칭하는 말이다. 이 가운데 넥슨은 일본 상장사이며 스마일게이트는 비상장사다.
이들을 제외한 국내 상장 게임사 4곳의 인건비율을 조사한 결과, 엔씨소프트가 올 1분기 연결기준 51.8%를 기록했다. 매출액의 절반 이상이 인건비란 뜻이다. 실제로 올 1분기 엔씨소프트 매출은 3979억원, 인건비는 2060억원이다.

경쟁 게임사들의 인건비율이 20~30% 수준인 점과 비교할 시 상당히 높은 편이다. 엔씨소프트의 인건비율은 2021년만 해도 21.8%였으나 2022년 34%로 오르더니 작년에는 47.3%로 치솟았다. 2022년에는 인건비가 8754억원으로 전년(5044억원)대비 73.5% 급증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2조3088억원에서 2조5718억원으로 증가하는데 그쳤다. 인건비 자체가 늘어난데 반해 매출 증가는 소폭이라 인건비율이 급등했다.
작년과 올해 1분기 인건비율 급상승은 이와 다른 행보다. 지난해 인건비는 8421억원으로 2022년(8754억원)보다 소폭 줄었지만 매출이 2조5718억원에서 1조7798억원으로 급감하면서 비율이 치솟았다. 올 1분기 역시 3979억원으로 전년 동기(4788억원)보다 감소했다.
인건비 등 비용절감을 위해 엔씨소프트는 분사 작업을 단행하고 있다. 박병무 엔씨소프트 대표는 지난 5월10일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을 통해 "권고사직 이후 분사를 통해 본사 인원을 올해 말까지 4000명대 중반으로 줄여나가겠다"고 말한 바 있다. 최근 권고사직을 진행한 데 이어 분사 계획까지 진행하면서 인원 감축을 이행 중이다.
◇넷마블, 30%대에 이른 인건비 조금씩 절감 중
넷마블은 매출 감소에 따라 인건비도 조금씩 줄이고 있다. 2021년 22.5%였던 인건비율은 2023년 29.7%로 올랐으며 올 1분기는 30.7%에 이르렀다. 다만 작년 1분기(31.1%)에 비하면 개선된 수준이다. 매출이 5854억원으로 전년 1분기(6026억원)보다 줄었지만 인건비도 1875억원에서 1795억원으로 감소했다.
크래프톤은 다소 들쑥날쑥한 스타일이다. 연결기준 인건비는 2021년 5120억원(매출 대비 27.2%)에서 2022년 3012억원(16.2%)로 줄었다가 2023년 4549억원(23.8%)로 다시 늘었다. 올 1분기는 1635억원(24.6%)로 전년 동기 1108억원(20.6%)보다 증가했다.
카카오게임즈는 인건비 부담이 해마다 상승 중이다. 2021년 1538억원으로 매출 대비 15.2%였으나 2022년 2326억원(20.3%), 지난해 2413억원(23.5%)으로 증가했다. 올 1분기에는 633억원(25.7%)으로 작년 같은 기간(572억원, 23%)보다 늘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오르비텍, 방사성폐기물 처리 신기술 도입
- 대우건설, 해외시장 진출 '박차'
- [Company Watch]온타이드, 매출절반 차지하는 해외법인 부진 지속
- [ESS 키 플레이어]한중엔시에스 '국내 유일 수랭식 공급' 가치 부각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빗썸, 비언바운드 법인 청산…해외사업 '고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투자 대폭 늘렸는데도 '무차입 기조' 유지
- [i-point]서진시스템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APEX 톺아보기]삼성전자, 반도체 줄고 디스플레이 2배 급증
- [캐시플로 모니터]삼성전자, 하만 회사채 만기 도래 '늘어난 환차손'
- [R&D회계 톺아보기]"결국은 기술" 연구개발비 30조 돌파한 삼성전자
-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의 오너십
- [Board Change]CJ대한통운, 해외건설협회 전·현직 회장 '배턴 터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메리츠금융, 대손충당금 부담은 어느 정도
- [Board Change]넷마블 이사회 떠난 '친한파' 텐센트 피아오얀리
- [Board Change]카카오, CFO 이사회 합류…다시 세워지는 위상
- [Board Change]삼성카드, 새로운 사내이사 코스로 떠오른 '디지털'
- [Board Change]삼성증권, 이사회 합류한 박경희 부사장…WM 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