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은행 차기 리더는]해양수산분야 잔뼈 굵은 강철승 전 교수해양수산업 관련 약 30년 종사…낮은 금융 전문성과 높은 연령은 걸림돌
이재용 기자공개 2024-09-23 13:03:53
이 기사는 2024년 09월 19일 15시43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강철승 전 중앙대 교수(사진)의 은행장 도전은 이번이 세 번째다. 해양수산부 전신인 수산청 등에서 근무한 경험과 수산업에 대한 깊은 애정을 바탕으로 2020년, 2022년 두 차례 은행장 공모에 나섰지만 모두 고배를 마셨다.해양수산업계에 투신했다는 점은 높게 평가받지만 회계학을 전공했다는 것 이외 금융권 경력이 전무하다는 점과 후보자 중 유일한 70대로 장단을 맞춰야 할 노동진 수협중앙회 회장보다도 높은 연령은 불리한 요인이다.

수산청을 나온 뒤 선박안전기술공단의 전신인 어선협회 창설 초기에 입사해 10년간 근무하면서 경영학사와 석사, 박사를 취득했다. 1984년에는 중앙대에서 회계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를 땄다.
이후 명지전문대와 중앙대에서 시간강사를 지내고 1991년부터 2004년까지 전주대 경영학부 부교수를 역임했다. 경영학 박사 경력을 살려 한국경영교육학회 부회장, 중앙대 국제경영대학원 객원교수로도 활동했다.
2004년부터 중앙대 산업창업대학원 교수로 근무하면서 우리나라 수산업 발전과 어업인의 복지 향상을 위한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냈다. 해수부가 해체된 2008년에는 한국수산정책포럼을 출범, 대표직을 맡아 해수부 부활을 위한 여론 수렴 창구 역할을 했다.
박근혜 정부 인수위원회 활동에도 참여하면서 해수부 부활과 수산전문가 기용 등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근혜 정부 출범 후에는 해수부가 부활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해양수산업에 대한 오랜 경험과 인연을 토대로 2020년 수협은행장 2차 공모에 지원했지만 고배를 마셨다. 2022년에 재도전했으나 역시 선택받지 못했다. 은행장뿐 아니라 수협중앙회 대표이사, 한국수산회장 등 수협 및 관련 기관·단체 고위직에 앞서 8차례 응모했다가 번번이 낙마했다.
수협 안팎에선 해양수산업과 수협에 대한 깊은 애정은 높게 평가하지만 이번에도 선출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본다. 특히 은행장에 꼭 필요한 금융회사 경영 참여 경험이 전무하다는 점이 약점으로 꼽히고 있다.
1948년생으로 6명 후보자 중 유일한 70대이고 1954년생인 노동진 중앙회장보다도 연배가 높다는 점도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관측된다. 업무와 사업 등 여러 방면에서 중앙회의 동의와 협력을 구해야 하는 만큼 회장보다 많은 나이는 껄끄러운 요인이 될 수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이재용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대규모 유상증자 계획한 까닭은
- [영상]동양·ABL생명 품는 우리금융, 통합 후 유상증자 계획한 배경은
- 중대 사고 발생 금융사, 소비자보호 실태 조기 평가받는다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현대해상, 실질 손실흡수력 취약…보완자본 의존 과도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교보생명, 견조한 자본적정성…하방 압력 완화는 숙제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삼성화재, 자본의 양·질 모두 '무결점'
- [Sanction Radar]은행·증권 PD 15곳, '조단위' 공정위 과징금 처분 위기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손실흡수력 최상위 삼성생명, 8할이 Tier1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자본규제 '패러다임 시프트'
- [Sanction Radar]한화 금융그룹, '경영 취약성' 대거 적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