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 할인율 영향 점검]MG손보, 가용자본 급감에 적정성 비율 50%마저 하회경과조치 적용해도 킥스비율 44%...보험부채 순금융손실 2035억원 '치명타'
강용규 기자공개 2024-11-18 13:06:37
[편집자주]
국내 보험사의 지급여력비율이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주요 요인으로는 할인율 인하가 꼽힌다. 금융당국은 보험사의 보험부채 산출이 경제적 실질에 부합하도록 할인율 산출 기준 현실화를 진행 중이다. 통상적으로 할인율이 떨어지면 보험부채 평가액이 커지고 자본은 줄어 지급여력비율이 하락한다. 금융당국의 할인율 현실화 방안을 들여다보고 이에 따른 회사별 지급여력 변동 영향 등을 점검해 본다.
이 기사는 2024년 11월 14일 07시07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MG손해보험(MG손보)은 부실금융기관 판정을 받고 예금보험공사(예보)의 경영관리를 받고 있다. 예보는 MG손보의 매각을 추진 중이며 한때 메리츠화재로의 매각이 유력하게 점쳐졌으나 현재 절차가 잠정 중단된 상태다.매각이 지연되는 사이 MG손보는 자본적정성 지표인 지급여력비율이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올 상반기 말 기준으로는 50%를 하회했다. 보험부채 할인율 인하에 따른 보험부채 증가분이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을 갉아먹으며 가용자본 급감의 주요 원인이 됐다.
◇영업성과 있었지만…보험부채 증가에 무너진 지급여력비율
MG손보는 2024년 상반기 말 기준 지급여력비율(K-ICS비율, 킥스비율)이 경과조치 적용 전 기준 36.53%를 기록했다. 전년 말 대비 27.49%p(포인트) 하락했다.
경과조치를 적용해도 상반기 말 킥스비율은 44.42%에 그친다. 감독 당국의 경영개선 적기시정조치 권고 기준인 100%는 물론이고 요구 기준인 50%마저 하회했다. 경과조치 기간에는 적기시정조치가 적용되지 않는 만큼 실질적 제재가 가해지지는 않으나 MG손보의 자본적정성이 그만큼 위험하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
경과조치 전 기준으로 상반기 말 가용자본(지급여력금액)은 3572억원, 요구자본(지급여력기준금액)은 9778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전년 말보다 가용자본이 39.2% 감소하면서 자본적정성 악화의 주요 원인이 됐다. 요구자본 부담도 6.5% 늘어났다.
이 기간 가용자본의 변화를 살펴보면 순자산의 하위 항목 중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이 2217억원에서 -324억원으로 2541억원 감소해 가용자본 감소분인 2304억원을 뛰어넘었다. MG손보 측에서는 올들어 시행된 보험부채 할인율 인하 제도가 기타포괄손익누계액 감소의 주 원인이라는 설명을 내놓았다.
보험부채 할인율이 낮아지면 보험사의 보험부채 평가액이 증가하고 이는 기타포괄손익누계액 계정에 마이너스(-) 순금융손익으로 기록된다. 상반기 MG손보의 보험부채 순금융손익은 -2035억원으로 기타포괄손익누계액 감소분의 80%가량을 차지했다. 이외에 금리 변동에 따른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자산(FVOCI)의 평가손실도 415억원이 누적됐다.
상반기 MG손보는 순이익 88억원을 내 전년 동기대비 흑자전환했다. 이를 바탕으로 이익잉여금을 작년 말 -2160억원에서 올 상반기 말 -2070억원으로 소폭 늘렸다.
같은 기간 조정준비금도 2994억원에서 3164억원으로 늘어난 것으로 볼 때 보험계약마진(CSM) 잔액도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이런 영업 측면의 성과가 보험부채 할인율 인하의 부정적 영향을 상쇄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요구자본에도 영향 미친 할인율 인하…경과조치로 부담 완화
보험부채 할인율 인하는 상반기 MG손보의 요구자본 부담이 커진 원인이기도 하다. 보험부채 평가액 증가로 인해 기본요구자본상 생명장기손해보험위험액이 작년 말 7843억원에서 올 상반기 말 8357억원으로 514억원 늘었다. 요구자본 증가분 598억원의 대부분이 여기에서 비롯한 셈이다.
같은 기간 시장위험액도 2135억원에서 2244억원으로 109억원 늘었다. 이는 금리 하락에 따른 효과다. 금리가 낮아져 보유자산의 총량이 증가했으나 그만큼 시장위험에 노출된 자산의 규모도 늘어났기 때문이다.
MG손보는 경과조치를 통해 생명장기손해보험위험액을 7001억원까지 줄여 관리하고 있다. 경과조치로 인해 위험액의 하위 항목 중 해지위험이 2525억원에서 181억원으로, 사업비위험이 1442억원에서 235억원으로 각각 급감하고 57억원의 대재해위험이 사라진다.
시장위험액 역시 경과조치가 적용되면 1341억원까지 줄어든다. 이는 하위 항목 가운데 568억원의 금리위험액이 사라지고 주식위험액이 2042억원에서 1361억원으로 감소하기 때문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결국 예상대로…다올증권 황준호 대표 연임 가닥
- [유증&디테일]뉴로메카, CB 조달 3개월만에 DN솔루션즈 자금 수혈
- [이사회 모니터]'SKC 재무통' 유지한 아이에스시 대표, 보드멤버 진입
- 하나운용 청사진, 하나금융 연금사업 '엔진' 맡는다
- [HMM 밸류업 점검]대규모 주주환원 예고, 정례화 '2030년'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기반 확실한' 김동관 부회장, 김동원·김동선 입지는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지주사 전환위한 숙제 '한화오션' 지분 정리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지배구조 개편 가늠자 한화에너지 IPO '구주매출'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넘어야 할 산 '중복상장' 논란
- [i-point]제이엘케이, 신경외과 전문의 서울대병원 고은정 교수 영입
강용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생명, 이사진 3명 교체...위원회 개편은 최소화
- DB손보, 당국 출신 사외이사 대체영입...내부통제 공백 없다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흥국화재, 신종자본증권 기대 효과 '제한적'인 이유
- [IBK기업은행 인사 풍향계]IBK연금보험 새 대표에 임문택 부행장, 변동성 관리 과제
- [KB금융 CEO 인사이트]정문철 KB라이프 대표 "질적 성장으로 고객 선택 받겠다"
- 조용일 현대해상 부회장이 남긴 말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한화생명, 뚜렷한 신종자본증권 선호 경향 이유는
- [이사회 분석]미래에셋생명, 현 이사진 1년 더...안정성 확보에 중점
- 흥국생명 새 대표에 KB손보 출신 김대현, 영업강화 '특명'
- 메트라이프, 300%대 고배당에도 자본관리 '이상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