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한국정보인증, 다우기술 지배력 강화 지렛대⑥'공공성' 목적 탄생 불구 사기업 지배구조 지킴이 역할로
최현서 기자공개 2024-12-26 08:05:45
[편집자주]
해킹의 고도화로 개인정보를 비롯해 기업, 정부의 기밀 유출 위협이 커진 시절이다. 특히 이들 정보는 개인뿐 아니라 우리 경제, 안보와 직결된다. 사이버보안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다만 국내 보안시장의 성장은 여전히 더디다. 과거 벤처 열풍을 타고 탄생한 보안기업 경우 실적이 주춤하거나 주가가 저평가된 곳들이 대부분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저마다의 기술력 강화뿐만 아니라 신사업에도 적극 나서는 모양새다. 국내 주요 보안기업들의 현실과 미래를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12월 19일 10:33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정보인증은 민관 주주 10곳이 모여 각각 10%씩 지분을 갖고 있던 '주인없는 기업'이었다. 당시 공공성을 강조하던 정부의 의도 하에 만들어진 지배구조였다. 2011년까지 10년간 유지됐던 동등한 지배구조를 주주 중 하나였던 다우기술이 깼다. 다른 주주들의 보유 지분을 매집하기 시작한 것이다.지분 매집 목적에는 전자결제사업과 보안사업 강화가 있었다. 다만 이제는 한국정보인증의 그룹에서 역할이 단순 사업적인 게 아니다. 지주사와 다른 계열사를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우기술의 한국정보인증 지분 확보가 지속되고 있는 배경이다.
◇떠나는 초기 투자자, 커지는 다움기술 영향력
한국정보인증 출범은 컨소시엄을 통해 이뤄졌다. 1999년 7월 삼성SDS, SK텔레콤, 다우기술 등을 비롯한 기업과 한국무선국관리사업단(KCA), 한국전기통신공사(KT) 등 당시 정부기관이 참여했다.
총 출자자는 10곳이었다. 초기 자본금은 200억원으로 각 투자자들이 10%(40만주) 지분을 나눠 가졌다. 동시에 이사 지명권도 확보했다.
공평하게 지분을 나누고 이사 지명권까지 부여한 표면적인 이유는 '공인인증기관의 난립 방지'였다. 전자서명 사업에 관심 있는 기업들을 한데 모이게 했다. 당시 공인인증 사업의 '공공성' 논란이 컸다는 점도 직접적인 배경이 됐다.
공인인증 기관 등장 전인 1990년대 중반 관련 기술을 연구하던 암호학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진위를 보증하는 기관의 공공성' 여부가 화두였다. 공공성을 확보한 당국이 신원, 문서 보증을 해야 한다는 연구진과 그럴 필요가 없다는 나머지로 나뉘었다.
공공성을 옹호하는 연구원들이 정부의 힘을 얻어 세운 게 지금의 한국정보인증이다. 정부는 '어느 업종에게도 치우치지 않는 공정한 공인인증 발급'이라는 목표를 확고하게 다지게 됐다. 그렇게 한국정보인증은 모든 주주가 똑같은 지배력을 가진 주인없는 기업으로 출발했다.
정작 10년간 공평한 지분으로 유지됐던 한국정보인증 지배력은 2010년에 깨졌다. 주주 중 하나였던 다우기술이 그 해 말 기준 20.72%(446만7500주)의 지분을 확보했다.
다우기술이 한국정보인증 주식을 취득한 이유는 2009년 추진했던 휴대폰, ARS를 통한 전자결제사업 강화 목적이다. 1990년대 전자상거래 산업과 함께 전자결제산업도 커졌다. 이때까지만 해도 관련 산업에 진출하지 않았던 다우기술은 2009년 스마트폰 보급이 확산되자 방향을 틀었다. 모바일 중심 전자상거래 시장이 보편화될 것이라는 예상과 함께 휴대폰 기반 전자결제사업을 시작했다.
결제사업을 먹거리로 추가하면서 보안 사업도 신규로 추진하기로 했다. 금전 거래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안 사업 육성이 필수였다. 다우기술은 주요 주주로 있던 한국정보인증의 지배력을 높이기로 했다. 공인인증 시장 내 지배적인 사업자였다는 점을 높게 샀다. 추가적인 지분 확보를 통해 한국정보인증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활용하는 전략을 세웠다.
다른 주주들이 엑시트를 고려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대다수 주주들이 인증 사업과 연관성이 낮은 곳들이었다. 2010년 한국정보인증 지분을 갖고 있던 일진홀딩스가 대표적이다. 당시 일진홀딩스의 주 사업은 전선과 전력 시스템이었다. IT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었다.
2011년 일진홀딩스와 한화손해보험이 다우기술에 지분을 매도했다. 같은 해 SK텔레콤의 한국정보인증 주식을 양수한 SK플래닛은 2012년 지분을 매각했다. 2015년에는 KT가, 2020년엔 LG전자가 한국정보인증 주식을 정리했다. 일련의 과정을 거쳐 다우기술 지분은 42.78%까지 올랐다. 이에 따라 한국정보인증은 다우그룹 계열사로 편입됐다.
◇후계자 경영권 강화로 귀결되는 주식 취득
올해 5월 31일 삼성SDS마저 떠나며 남은 초기 투자자는 KCA 뿐이다. 지난해 말 기준 4.79%(200만주)의 지분을 갖고 있으나 지분을 매각하기 위한 주관사 선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2019년부터 쌓인 손실 규모는 87억원이 넘을 정도로 재정 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이다.
KCA가 지분을 매각한다면 초기 투자자 중 남는 주주는 다우기술 뿐이다. 삼성SDS의 보유 주식(4.79%)까지 흡수한 다우기술의 지분은 올 3분기 기준 43.88%(1862만1207주), 임원 등을 포함한 특수관계인 지분율은 53.13%(2255만803주)다. 이 비율이 절반을 넘는 건 한국정보인증 창립 이후 처음이다.
삼성SDS 지분 흡수 이전에도 이미 지배력은 충분히 확보한 상황이었다. 2022년 1월부터 지난해 4월까지 장내 매수를 통해 지분을 35.68%(1490만7834주)에서 39.79%(1662만1207주)까지 늘렸다. 올해 초까지 특수관계인 지분은 49.18%였다. 사실상 적대적 M&A는 어려운 수준까지 끌어올린 상태였다.
다우기술이 꾸준히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는 이유는 한국정보인증이 그룹 내 지배구조 '연결 고리'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정보인증은 '키움프라이빗에쿼티' 지분 40%(400만주)를 갖고 있다. 키움프라이빗에쿼티는 김익래 전 다움키움그룹 회장의 아들 김동준 씨가 이끌고 있다. 다우기술를 통해 간접적으로 키움프라이빗에쿼티의 지배력을 강화하는 효과를 보는 셈이다.
그로 인해 다우기술은 한국정보인증 지분을 추가로 더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KCA가 주관사 선정을 마치는대로 다우기술이 해당 지분을 흡수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2024 이사회 평가]티웨이항공, 소위원회 6개 설치…이사회 경영 강화
- [레버리지&커버리지 분석]SK가스, 재무지표 악화…우수한 펀더멘털로 극복
- [ESG 등급 분석]'트리플 A+' SK케미칼, 이사회 경영 강화로 지배구조 개선
- [대한항공 밸류업 점검]'친환경' 항공기 도입·SAF 활용…'환경'에 방점 찍었다
- [대한항공 밸류업 점검]배당성향 6년 동안 10배 증가
- [제주항공 밸류업 점검]'산재한' 걸림돌에도 목표는 'PBR 3배'
- 이승환 에어인천 대표이사 교체 배경은
- 롯데온, '럭셔리 쇼룸' 오픈 성과…F&B·인테리어로 '확장'
- [사무관리사 경영분석]시장 파이 '1000조' 돌파, 성장세 '눈길'
- ETF 힘주는 NH아문디, 대표이사도 '운용맨' 교체
최현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다우기술은 지금] IT로 내디딘 첫 발, 금융으로 발걸음 이동
- 가비아, 후이즈 인수 잔금 조기납부 '공정위 벽 넘을까'
- [2024 이사회 평가]'활동성 우수' KT스카이라이프, 평가체계·실적 '발목'
- [2024 이사회 평가]LG헬로비전, 균형 잡힌 이사회 '약점'은 경영성과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한국정보인증, 다우기술 지배력 강화 지렛대
- KT, 구조조정 잔류 인원 143개 지역 파견 '판관비 부담'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한국정보인증, 조태묵 체제 원년 '핵심 먹거리 강화' 초점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한국정보인증, '25년 인연' 삼성SDS와 결별
- SK쉴더스, 시큐레이어 인수 '보안관제·공공' 강화 포석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한국정보인증, 주력사업 힘 보태고 이종사업 발 넓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