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3년 05월 23일 07:49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최근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들의 최대 관심사는 단연 새마을금고중앙회에 대한 검찰 수사다. 검찰은 새마을금고중앙회의 부동산 PF 관련 부서에 이어 PEF 투자를 전담하는 기업금융부도 수사 대상에 올렸다. 이 과정에서 해당 부서들이 압수수색을 받았다는 소식도 들려온다.불법 대출 혐의가 있는 부동산 PF 관련 부서와 달리 기업금융부는 어떤 문제가 검찰 수사의 발단이 됐는지 정확하게 알려진 부분이 없다. 관련 업계 여기저기에서 기업금융부의 내부 비리를 검찰이 전방위로 조사하고 있다는 말들만 흘러나올 뿐이다.
PEF 운용사들은 새마을금고중앙회 기업금융부 수사 결과에 촉각을 세울 수 밖에 없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국내 PEF 시장에서 대표적인 기관출자자(LP)로 꼽힌다. 특히 단일 대상에 투자하는 프로젝트펀드 조성에서 지니는 영향력은 절대적이다.
프로젝트펀드는 결성 규모가 수천억원을 넘어설 경우 대형 PEF 운용사가 활용하는 사례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 시장 내에서 충분한 인지도를 확보하지 못한 중소형 PEF 운용사들이 주로 결성한다. 프로젝트펀드로 트랙레코드를 쌓은 이후 블라인드펀드 조성에 도전하는 것이 국내 PEF 운용사의 일반적인 성장 궤도다.
이 때문에 중소형 PEF 운용사들 사이에서는 이번 수사로 새마을금고중앙회의 출자가 위축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새마을금고중앙회를 핵심 LP로 삼으려 계획했던 일부 투자 건들은 지레 포기하는 사례도 생겨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국내 PEF 시장은 지난해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빙하기’라 불릴 만큼 전례 없는 위기를 맞았다. 올해 들어 금리가 안정되면서 시장에 온기가 도는 듯 싶었지만 이번 수사로 또 다른 변수를 만난 형국이다. 현 상황이라면 새마을금고중앙회발 리스크로 또 다시 PEF 시장에 한파가 찾아올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기업금융투자부에 비리가 있다면 이는 당연히 검찰의 수사를 통해 분명하게 밝혀져야만 한다. 수사 결과에 이견이 있다고 해도 이는 향후 법원에서 가리면 될 내용이다.
다만 수사 절차 만큼은 가능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뤄지길 바란다. 이번 수사의 파급력은 새마을금고중앙회 뿐만 아니라 PEF 운용사들 전반에 광범위하게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피플&오피니언
감병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글로벌 인지도' 센트로이드, 블라인드펀드 해외 LP 접촉 분주
- '수익성 정체' BS온, 투자원금 회수 가능할까
- IMM인베, 이피에스솔루션 '하수도 BTL 부문' 분할 매각
- [LP 출자사업 기상도]성장금융, 기술혁신펀드 글로벌 분야 숏리스트 4곳 선정
- [LP 출자사업 기상도]산재보험 역대 최대 PEF 출자, 실질 경쟁 강도는 '여전'
- [M&A가 만든 거부들]'스타일난다 신화' 김소희, 부동산 '큰 손'으로 제2의 인생
- 뜨거워진 KC환경 인수전, '환경산업 강자' VL인베도 참전
- '국민연금보다 치열' 우본 하반기 출자, 대형 PE 전원 참전
- [M&A가 만든 거부들]한샘 창업주 조창걸, 필생사업 태재학원 운영에 전념
- 'SK와 다른 길' 노앤파트너스, 론디안왓슨 지분 더 들고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