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의서재 IPO]'재수 조력자' 미래에셋증권, 흥행 위해 포기한 '두가지'수수료율 550→400bp+워런트 포기 '강수'…김진태 상무 휘하 ECM2팀, 흥행에 '올인'
윤진현 기자공개 2023-09-21 07:38:53
이 기사는 2023년 09월 19일 16:35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밀리의서재가 밴드 최상단인 2만3000원의 공모가액을 확정했다. 기관 투자자의 98%가 공모가 상단 및 상단 초과에 주문을 넣은 결과다.밀리의서재는 총 338억원의 공모자금을 확보했다. 콘텐츠, 출간 플랫폼 사업 등에 투자 계획을 밝혔다.
흥행의 이면엔 미래에셋증권의 포기한 두 가지가 있었다. 바로 수수료율과 워런트(신주인수권)였다. 공모가 밴드를 하향 조정한 대신 수수료율도 150bp가량 낮춰 일정 수준의 공모자금을 확보할 수 있게 했다. 더불어 워런트(신주인수권)를 신주 물량을 최대화했다. 수수료 수익이 줄어든 데다 부가 수익도 포기한 셈이다.
김진태 상무 비롯해 ECM2팀 일원이 흥행 조건에만 집중했다는 후문이다. 약 2년간 상장 파트너로 함께 한 만큼 두 번째 공모에선 시장 친화적인 공모 구조를 중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자 98%, 밴드 상단+최상단 '배팅'…공모자금 338억 유입 '전망'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밀리의서재는 18일부터 19일까지 일반 투자자 청약 단계에 돌입했다. 공모단가는 밴드 최상단인 2만3000원이다.
밀리의서재가 밝힌 수요예측 신청 가격 분포표상 이번 공모 과정엔 총 1915곳의 투자자가 참여했다. 투자자 특성별로 △집합 운용사 337곳 △연기금, 고유운용사, 은행 보험사 등 258곳 △투자매매·중개업자 24곳 △기타 1146곳 등이었다. 그리고 해외 기관투자자는 총 150곳으로 집계됐다.
이들 기관투자자는 대부분 희망공모가 밴드 상단(1093건)과 상단 초과(794건)에 주문을 넣었다. 사실상 전체 투자자 중 98.3%가 공모가 상단에 투자를 한 셈이다.
지난해 공모 첫 시도 당시와 완전히 다른 반응이다. 당시 밀리의서재는 공모가 밴드를 2만1500~2만5000원으로 제시한 바 있다. 밴드 하단 혹은 하단 미만에 기관투자자들의 주문이 몰리며 결국 상장 철회를 택했다.
이렇듯 공모가가 2만3000원으로 확정되면서 밀리의서재는 총 338억2100만원의 공모자금을 확보하게 됐다. 해당 자금은 운영 목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밀리의서재는 사업확대를 통해 콘텐츠와 출간플랫폼 사업에 총 218억5000만원을, 장르사업 진출을 위해 119억7200만원을 활용한다고 밝혔다.

밀리의서재의 상장 여정을 함께한 미래에셋증권에도 관심이 모인다. 밀리의서재는 2021년 6월 대표주관 계약을 체결한 후 두 차례의 공모 시도를 모두 함께 해왔다. 이번 딜은 미래에셋증권의 성주완 IPO본부장을 비롯해, 김진태 상무와 ECM2팀 일원이 담당했다.
미래에셋증권 측은 밀리의서재의 상장 완주를 위해 최선의 공모구조만을 위해 집중했다는 후문이다. 공모단가가 줄어든 점을 고려해 수수료율을 낮췄다. 회사로 유입되는 공모액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배려한 셈이다.
이번 공모 당시 밀리의서재는 미래에셋증권에 400bp의 수수료율을 반영해 14억원의 수수료를 확정했다. 앞선 공모 당시보다 수수료율을 150bp 낮춘 셈인데, 이에 따라 금액도 약 5억원 줄어들었다. 그 결과 공모로 유입되는 자금은 앞선 공모 시도 당시와 동일하게 338억원 수준으로 확정될 수 있었다.

다만 이번 증권신고서 상에선 해당 내용이 빠졌다. 발행 신주를 모두 투자자가 취득할 수 있도록 한 셈이다. 이에 미래에셋증권 측은 밀리의서재의 흥행을 위한 선택이라고 밝혔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지난해 공모 과정에서 구주매출 비중이 다소 크고 신주 발행이 적다는 점 등을 지적받은 바 있기에 공모구조를 짜면서 고민이 많았다"며 "두 번째 시도인 만큼 최대한 시장 친화적인 전략을 세우는 게 급선무였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롯데오토리스, '조달 타이밍·금리' 둘 다 잡았다
- [IPO 모니터]KG할리스, 주관사 선정 왜 늦어지나
- KB증권·노앤·신벤투, 리벨리온 펀딩 참여 '1700억 오버부킹'
- 본입찰 임박한 UTK 인수전, KKR 이탈에 원매자 '촉각'
- 정육각, 초록마을 결국 매각한다
- '공개매수 추진' MBK, 한국앤컴퍼니 경영 주도권 쥔다
- [Market Watch]만기집중 vs 수요 회복...발행사들 '눈치게임' 시작됐다
- [IB 풍향계]IPO 주관수수료 첫 40억대, 유안타증권 '함박웃음'
- [Bond Watch]잘나가는 LG전자, 채권 유통시장선 'AAA급' 대우
- CJ CGV, 믿을 구석은 리테일?…시장친화적 금리 제시
윤진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note]스팩, '공급 과잉'의 그림자
- [IB 풍향계]스팩상장 '뻥튀기' 의혹에 입 연 IB들 "구조적 착시"
- [IB 풍향계]DCM '보증수표' 교보증권, 연타석 흥행
- [IB 풍향계]한국물 ‘성수기’ 앞둔 IB들, 숨 가쁜 조달 채비
- [IPO 모니터]블루엠텍 공모가 상단 유력…특례여도 '끄떡없네'
- 롯데손보 후순위채 '일석삼조' 비결은
- [Market Watch]'문전성시' 스팩합병, 철회도 '최대'…허들 더 높아질까
- [파두 상장 후폭풍]'잠정실적 공개' 금감원 불호령에 상장준비 기업 '당혹'
- [Korean Paper]한국물 '큰 손' SK하이닉스, 갑진년 '첫 주자' 유력
- [CEO 성과평가]'연임 시험대’ 김신 SK증권 사장, '장기집권' 가능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