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제약, 수익성 축소에도 과감한 신사업 "연내 수익화" 역대 최대 매출에도 베트남 법인 적자 영향, GMP 인증 관건
이기욱 기자공개 2025-02-07 07:59:03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6일 08시3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일제약이 신사업에 과감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주력 사업인 안과 영업의 선전으로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음에도 베트남 CMO(위탁생산) 법인에 대한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은 크게 줄었다.베트남 CMO 사업은 삼일제약의 미래로 평가 받는 신사업으로 연내 수익화를 목표로 한다. 현지 자금 조달을 위한 지급보증을 새롭게 체결하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베트남 법인은 삼일제약의 전폭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한국을 비롯한 미국, 유럽 등 주요국 GMP 인증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안과·CNS 선전에 11.9% 매출 증가, 영업이익은 97.3% 감소
삼일제약은 작년 연결 기준 219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는 2023년 1963억원 대비 11.9% 늘어난 수치로 역대 최대 매출이다.
안과영업본부와 CNS(중추신경계)영업본부의 선전이 호실적을 견인했다. 안과영업본부는 2023년 대비 34.4% 늘어난 672억원의 실적을 달성했고 CNS 영업본부는 365억원의 매출로 전년 대비 30.4%의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하지만 매출 확대에도 영업이익은 65억원에서 2억원으로 97.3%나 줄어들었다. 순익 역시 같은 기간 17억원 순이익에서 75억원 순손실로 적자 전환했다.
삼일제약이 미래 먹거리로 육성 중인 베트남 CMO 법인에 대한 투자가 주요 원인이 됐다. 삼일제약은 2018년 베트남 현지법인 'SAMIL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을 설립하고 CMO 사업 진출에 나섰다.
![](https://image.thebell.co.kr/news/photo/2025/02/06/20250206071452632_n.jpg)
2022년 1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cGMP(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및 EU-GMP수준의 글로벌 안과 CMO 공장을 준공했다. 작년 9월에는 베트남 의약품청(DAV)으로부터 GMP 인증을 받았다.
다만 아직 베트남 법인은 상업화가 이뤄지지 않아 비용만 발생하는 상황이다. 자회사의 손실이 삼일제약 연결 손익에도 영향을 미치는 이유다. 작년 3분기 기준 삼일제약의 별도 기준 영업이익은 89억원으로 전년 69억원 대비 29% 늘어났다.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반대로 43억원에서 30억원으로 30.2% 감소했다. 베트남 법인은 작년 3분기 67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채무보증 늘리며 현지 자금조달 지원, 주요국 GMP 인증 박차
영업이익 감소에도 삼일제약은 베트남 법인에 대한 투자를 이어나가고 있다. 최근에는 현지 법인에 대한 채무지급보증을 결의하며 현지 자금 조달 지원에 나섰다.
베트남 법인이 우리은행 호치민 지점에서 58억원의 차입금을 빌려오고 삼일제약이 이자포함 총 69억원의 채무를 보증하는 계약이다. 베트남법인에 대한 채무보증 규모는 기존 277억원에서 346억원으로 25% 늘어나게 됐다.
삼일제약은 올해 베트남 법인 상업화를 위한 막바지 작업을 진행한다. 미국 cGMP나 유럽 EU-GMP 등 주요국 인증까지 승인 받아 이르면 올해 말 또는 내년 초 주요 수출국 판매를 개시할 예정이다.
이미 작년 10월 대만 상장 제약사인 '포모사'와 CMO 계약을 공식 체결하는 등 사전 준비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삼일제약 베트남 법인은 포모사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안과용 의약품 'APP 13007'을 생산해 전 세계 주요 국가에 공급할 예정이다. 양 사는 향후 5년 동안 2천만달러, 약 27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삼일제약 관계자는 "현재 이미 GMP 승인을 얻기 위한 사전 테스트용 제품 생산은 이뤄지고 있다"며 "주요 수출국의 GMP 승인 그리고 주요 수출국에 판매가 이뤄지면 베트남 법인의 수익화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휴맥스모빌리티, 카셰어링 브랜드 '투루카' 할인 이벤트
- [i-point]크라우드웍스, 파리 'AI 행동 정상회의' 참석
- [i-point]시큐센, 양자내성 기반 상호인증·구간암호 솔루션 출시
- [2025 기대작 프리뷰]체급 커진 NHN, 북미 개척 닻 올린다
- 삼성·SK, 엔비디아 GTC 2025 발표 참여 '극명 대비'
- [Company Watch]'역대급 실적' 대한전선, 미래 먹거리 공략한다
- [게임사 기초체력 분석]'독보적 성장세' 시프트업, 확 늘어난 유동성
- [i-point]라온시큐어, 2024년 사상 최대 실적 달성
- [K-팬덤 플랫폼, 뉴 패러다임]SM엔터 '슈퍼앱'의 꿈, 카카오와 이룰까
- [2025 기대작 프리뷰]크래프톤, 'AI 게임' 새 지평 여나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interview]제테마 "해외확장 기반 인허가…늘어나는 활용법 주목"
- 삼일제약, 수익성 축소에도 과감한 신사업 "연내 수익화"
- 지씨셀의 이뮨셀엘씨, 간암 재발률 낮출 보조요법 '주목'
- 제테마, 국내 톡신주 경쟁에 가세…차별화는 '고급화'
- 일동제약, 3년만에 흑자 '비용감축·자산매각' 전략 통했다
- '상장 준비' 브렉소젠, 신약에 미용까지 '투트랙 전략'
- 동성제약 자사주 활용법, '신사업·설비투자' 실탄
- [2025 신풍제약 재도약]유제만 대표 "체질개선 시기 지나 이제는 결실의 시간"
- '마일스톤 대박' 삼성바이오에피스, 성장률·수익성 다잡다
- [2025 신풍제약 재도약]도약은 결국 신약…타깃은 뇌졸중, 전략은 액티라제 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