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C 투자기업]야놀자 '놀 유니버스', FI 소송 총대 '눈치싸움' 치열지분율 1% 미만 소액주주 다수…"기업가치 저평가" 볼멘소리
이영아 기자공개 2025-02-12 08:46:47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1일 15시2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야놀자플랫폼'과 '인터파크트리플'의 통합법인 '놀 유니버스'를 두고 주주들 사이에서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합병 과정에서 책정된 기업가치가 기존 소액 주주들의 눈높이에 미치지 못하면서 생긴 갈등이다. 소액 주주를 중심으로 법정 소송을 준비하는 움직임도 보인다.소액주주들 사이에서 법정 소송에 돌입하려는 움직임은 작년부터 감지됐다. 다만 누가 총대를 멜지 눈치싸움을 벌이면서 답보상태가 이어지고 있다는 전언이다. 소송전에 투입될 리소스가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직접 총대를 메기보단 뒤따르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11일 벤처캐피탈(VC) 업계에 따르면 놀 유니버스 소액주주들은 합병비율 재산정을 위한 법적 소송을 검토하고 있다. 우리벤처파트너스, DSC인베스트먼트, 한국투자파트너스, KB인베스트먼트,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등 주주들이 관련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https://image.thebell.co.kr/news/photo/2025/02/11/20250211142606044.jpg)
놀 유니버스는 야놀자플랫폼과 인터파크트리플을 합병해 지난해 12월 출범했다. 야놀자는 지난해 10월 단순·물적분할을 통해 야놀자 클라우드를 존속회사로 하고 야놀자 플랫폼을 분할해 신설했다. 지난 2022년 4월부터 야놀자 자회사로 편입된 인터파크의 경우 같은해 6월 여행전문 플랫폼 트리플과 합병, 인터파크트리플로 운영을 해왔다가 이번에 놀 유니버스로 거듭나게 됐다.
트리플 투자사가 소송전의 주축이 되고 있다. 인터파크 합병 이전 트리플은 2018년 시리즈A 라운드를 통해 네이버와 아주IB투자, 한국투자파트너스, KB인베스트먼트로부터 120억원 투자를 받았다. 이후 2021년 시리즈B 라운드를 진행하며 300억원을 투자받았다. 해당 라운드에는 기존 투자사인 한국투자파트너스, KB인베스트먼트, 아주IB투자와 신규 투자사 우리벤처파트너스(KTB네트워크),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DSC인베스트먼트, 키움인베스트먼트 등이 주요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소액주주들은 합병과정에서 인터파크트리플 기업가치가 저평가됐다고 주장한다. 야놀자는 야놀자플랫폼과 인터파크트리플의 합병 비율을 각각 기업가치 기준 6대 1로 제시했다. 야놀자플랫폼은 약 2조5000억원, 인터파크트리플은 4200억원으로 몸값을 메겼다.
또 다른 관계자는 "기존에도 야놀자 주주들은 인터파크트리플 투자자들에 기업가치(밸류에이션) 정보를 제대로 공유하지 않았다"며 "기존 투자자를 팽하는 느낌이라 불만이 쌓인 하우스가 상당했는데 합병과정에서도 소통이 원활하지 않자 불만이 터진 것"이라고 했다.
한 주주는 "야놀자플랫폼과 인터파크트리플 합병에 반대하며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하고자 했으며 행사 단가를 협의하고 있었다"면서 "지분 1% 미만 소액주주이지만 펀드 위탁운용사로서 수탁자 의무와 책임을 다하기 위해 단가 협의에 최선을 다하는 중"이라고 했다.
다만 소액주주들간 눈치싸움은 이어지는 모양새다. 한 주주는 "(소송 중간에) 일부 하우스가 포기할까봐 선뜻 나서진 못하고 눈치를 보는 분위기는 있다"면서 "주주들 지분이 1% 미만이기 때문에 큰 리소스 투입을 꺼리는 분위기"라고 언급했다.
그는 "소송에 성공하게 되면 혜택은 모든 주주에게 돌아가는데 총대를 멘 곳만 시장의 주목을 받을까 부담도 크다"고 말했다.
또 다른 주주는 "소송에 참여할지 여부를 내부 논의하는 중"이라며 "다만 지분율이 크지 않기 때문에 주도적으로 나서긴 부담스러운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한 주주는 "소송이 진행되더라도 주도하는 입장은 아니고 대세에 따라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법정 소송전이 장기화할 경우 놀 유니버스 입장에서도 큰 부담이다. 회사 측은 주주 간 소통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상태다.
놀 유니버스 관계자는 "인터파크트리플과 야놀자플랫폼의 기업가치는 외부평가기관이 향후 5개년 사업계획에 기초한 현금흐름을 추정해 현금흐름할인법(DCF)에 따라 평가했다"면서 "각 법인의 기업가치를 평가한 것을 기초로 합병비율을 산정했다"고 해명했다. 이어 " 일부 주주들의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소통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VC 투자기업]야놀자 '놀 유니버스', FI 소송 총대 '눈치싸움' 치열
- [LP Radar]'혁신성장' 놓친 성장금융…모펀드 경쟁 치열해진다
- [2025 VC 로드맵]김경찬 대표 “딥테크·창업초기·지역 중점 공략”
- [VC 투자기업]'매출 급증' 웨이비스, 올해도 성장 이어간다
- KCGI대체운용, 경기 광주 물류센터 준공…엑시트 모색
- [급성장 커버드콜 ETF]미래에셋운용, 시장 확대 '촉매' 역할
- [한투운용 ETF 질주]3연임 성공 배재규, '격전지' 퇴직연금 본격 강화
- [WM 풍향계]하나증권, 강남권 새 전략거점 마련 분주
- [매니저 프로파일]글로벌 롱숏 루키의 등장, 정재우 이사
- 현대차증권, S&T 헤드 스카우트…NH 출신 김영노
이영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VC 투자기업]야놀자 '놀 유니버스', FI 소송 총대 '눈치싸움' 치열
- [thebell note]액셀러레이터의 생존법 '듀얼 라이선스'
- 리걸테크 '로앤프리', 거래내역 정리 '로앤픽' 론칭
- [2025 VC 로드맵]박희덕 트랜스링크인베 대표 "글로벌 빌드업 돕겠다"
- 소셜벤처 카페 '히즈빈스', 연내 20개 매장 출점 확대
- VC협회, 차기 CVC협의회장사에 CJ인베 '물망'
- ['딥시크 쇼크' VC 긴급 서베이]"AI 스타트업 투자 확대할 것"…에이전트·데이터 주목
- ['딥시크 쇼크' VC 긴급 서베이]"독자모델 개발 스타트업 부재"…업스테이지 '회의감'
- [VC 투자기업]'로폼' 아미쿠스렉스, 고소장 자동작성 서비스 확장
- 샘 올트먼 "한국 스타트업과 협력 강화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