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2월 14일 07시0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뒤 가장 주목받은 글로벌 기업인으로는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을 꼽을 수 있다. 그는 샘 올트먼 오픈AI CEO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연단에 섰다. '스타게이트'라는 역사에 남을 프로젝트를 발표했다.이런 행보는 손 회장의 이력을 살펴보면 특이한 일이 아니다. 그는 한국에서 태어나 일본에서 자랐다. 글로벌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는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지금 글로벌 AI 시장을 주도하는 엔비디아의 최대 투자자였던 때가 있었다. 중국에서 탄생해 가장 성공한 기업 중 하나인 알리바바를 키운 사나이다.
그런 손 회장이 이달 4일 전격적으로 방한했다. 그날은 올트먼이 한국을 찾아 국내 VC 관계자들과 반도체 기업 경영진을 만나는 게 최대 화제였던 날이다. 그의 방한 소식은 당일이 되어서야 알려졌다. 손 회장이 만남 사람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장소는 삼성서초사옥이었다.
손 회장이 이 회장을 만났을 때 부정적인 분위기도 있었다. 그는 손정의가 아니라 손 마사요시라며 작년 불거진 '네이버 라인 강탈'의 책임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그만큼 삼성전자가 손 회장의 접근을 조심해야 한다는 것이면서도 이 회장과의 회동이 갖는 의미를 깎아내리는 평가다.
손 회장 개인에 대한 평가와는 별개로 당시 만남에서 제대로 주목해야 할 대목은 따로 있다. 이 회장이 겪는 사법리스크 때문이다. 이 회장이 10년 가까이 겪은 사법리스크의 최대 분수령인 삼성물산 합병 관련 소송의 2심 판결이 이달 3일에 있었고 전부 무죄를 받았다.
그러자마자 손 회장이 올트먼, 소프트뱅크가 최대주주인 '팹리스의 팹리스' ARM의 CEO를 대동하고 이 회장을 만났다.
이 지점에서 반론이 제기된다. 손 회장이 삼성전자라는 기업이 필요해서 찾았을 뿐 이 회장과 삼성전자를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다. 그 입장도 일견 타당하게 볼 수 있지만 피상적이면서도 이상적인 측면이 있다.
'현실적으로' 손 회장과 올트먼 입장에서 삼성전자와 '빠르게' 협업하고 싶다면 누구와 얘기를 해야 할까. 다른 걸 떠나서 중국과 AI 전쟁을 치르는 미국 입장에서 '실리적으로' 중요한 문제다.
손정의뿐 아니라 마크 저커버그가, 글로벌 빅파마 CEO들이 삼성그룹 계열사와 사업을 할 때 누구와 만나왔는지, 얘기하길 원하는지를 보면 답이 나온다. 2심 판결이 나온 뒤 정치권, 그리고 '반(反)삼성' 진영에서조차 검찰의 기계적 상고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잇따르는 상황이 이를 뒷받침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옵트론텍, 600% 상회하던 부채비율 158%로
- [i-point]옵트론텍 "강모씨 파산신청 법원이 기각"
- [i-point]케이쓰리아이, 호남권 유일 4K 돔영상관 구축
- [i-point]제일엠앤에스, 최대 매출 달성에도 적자 전환
- 국세청, 코빗·업비트 세무조사 착수…코인 업계 '긴장'
- [Red & Blue]JR에너지 맞손잡은 유진테크놀로지, 장비사업 기대감
- 김동명 LG엔솔 사장 "트럼프 변수 대비한 기업이 승자"
- 엘앤에프, 미국 LFP 투자 본격 검토…CFO 현지 출장
- 최수안 엘앤에프 부회장 "미국 LFP 투자, 자금 조달 방식 검토"
- 이에이트, TYM에 디지털트윈 플랫폼 공급
김경태 산업2부 차장의 다른 기사 보기
-
- '메타 러브콜' 퓨리오사AI, '뜸 들인' LG 향방은
- 손정의는 이재용을 만난다
- '삼성·SK 눈치' 마이크론, GTC 2025서 DC 마케팅 '집중'
- 'KKR도 나섰다' HPSP 인수전, 세계 3대 PEF '집결'
- [Company Watch] 한미반도체, 거래처 다변화·주주가치제고 '분주'
- HPSP 인수전, 세계 1위 PEF '블랙스톤' 등판
- '이해진·젠슨 황 밀월' 네이버, GTC 2025 출격
- [Company Watch]LK삼양, 글로벌 유통망 개선·신사업 전환 속도
- HPSP, 예스티가 제기한 특허권리심판 '각하 판정'
- 엔비디아 GTC 2025, '딥시크' 등장에 시선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