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금감원 정책기조]'일류감독'의 꿈…금감원 쇄신은 계속된다⑥디지털 전환 로드맵 단계적 추진…금융상황 반영해 유연한 감독정책 운영
김보겸 기자공개 2025-02-20 12:51:24
[편집자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임기 마지막까지 금융시장 선진화를 위한 드라이브를 걸었다. 올해 금융시장도 정치와 경제 불확실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변화에 내수부진에 따른 성장률 둔화가 겹치며 대내외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부동산 PF 위기와 가계부채는 우리 경제의 부실 뇌관으로 작용하고 있다. 금감원은 대규모 금융사고에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하는 등 강도 높은 대응을 예고하고 있다. 피감기관뿐 아니라 감독서비스의 질적 향상도 약속했다. 이복현호 금감원의 정책기조와 감독방향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8일 15시3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융감독원이 올해 업무계획에서 새로 추가한 키워드는 '쇄신'이다. 내부적으로는 감독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조직과 업무 방식을 개편하고 외부적으로는 금융회사에 대한 감독 방식을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변화시키겠다는 방침이다.이를 위해 금감원은 금융감독의 디지털 전환(DT)을 적극 추진하고 데이터 중심의 감독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디지털 기술 기반 업무수행 등을 위해 마련한 디지털 전환 로드맵을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며 "금융회사 입장에서도 자료 제출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디지털·IT 부문 신설로 금융환경 디지털화 대응
금감원은 금융환경의 디지털화와 맞물린 감독 역량 고도화를 강조해 왔다. 급변하는 디지털 및 IT 금융혁신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최근 감독수요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틈틈이 금감원 내부 개혁을 추진해 왔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조직 개편이 대표적이다. 지난해 말 금감원은 금융환경 변화에 맞춰 디지털·IT 부문을 신설했다. 금융시스템의 안정성과 IT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조치다. 이 부문 책임자로는 경제연구소와 신용평가사를 거친 데이터 전문가 이종오 부원장보가 임명됐다. 그는 2006년 금감원에 경력 입사한 뒤 여신금융총괄팀장, 중소금융감독국장 등을 역임했다. 팀원급으로 입사한 경력직 최초로 부원장보에 발탁됐다.
아울러 디지털 금융혁신을 주도할 디지털금융총괄국에는 금융 IT 분야에서 경험과 추진력을 겸비한 고참 부서장을 배치했다. IT검사국과 정보화전략국에는 해당 분야에서 업무 경험을 쌓아 온 경력직 및 공채 승진자를 기용하는 등 전문성을 강화했다. 기존에 기획·경영 및 전략감독 산하에서 분산 운영되던 조직을 통합해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하고 감독업무의 전문성을 한층 높였다는 평가다.
데이터 중심의 감독체계를 구축하고 업무 프로세스 디지털화도 추진했다. 금감원은 올해 중 은행 여신 마이크로데이터에 대한 자동수집 인프라를 구축하고 페이퍼리스 인허가·등록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제재공시 데이터 공유체계를 개선하는 등 감독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감독서비스의 질은 높이고 금융회사의 자료제출 부담은 줄이겠다는 취지다.
가상자산 조사시스템 역시 디지털화한다. 가상자산 가격과 거래량 등 정보를 금감원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고 일별로 특이종목은 모니터링하는 등 기능을 강화한다. 아울러 3월 대체거래소(ATS) 출범에 맞춰 복수시장 연계 불공정거래 감시시스템을 구축하고 상습전력자 DB 체계화 및 연계성 분석 기능을 강화하는 등 조사시스템도 개선한다.

◇무작정 제재보다…신속한 검사, 유연한 감독정책 운영 목표
금감원은 금융회사 검사의 신속성과 효율성도 개선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권역·부서·개인별 검사 총량과 검상처리 진행상황 관리를 강화한다. 보다 공정하고 합리적인 검사 및 제재 프로세스를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기관과 개인 간 제재 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재양정기준도 정비해 합리적 수준에서 제재 수위를 정하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광고기준 위반 등 자주 발생하는 금융소비자보호법 위반 사항에 대해서는 제재 양정 기준을 구체적으로 마련할 예정이다. 단순 절차적 위반과 허위·과장 광고 등 실체적 위반에 대해서는 양정 기준을 차등화하는 식이다. 이를 통해 예측 가능성을 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금융회사의 업무역량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도 시행한다. 약관심사 시스템을 자동화하고 보험사의 신고수리 및 변경 권고 사유 등을 타 보험사도 조회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 또한 분쟁처리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중소 서민금융업권을 대상으로 분쟁유형별 표준 회신문을 마련하고 '찾아가는 분쟁조정 간담회'를 운영해 분쟁처리 역량을 강화한다.
금융시장 상황을 반영해 유연한 감독정책을 운영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금융권 건전성과 유동성 여력을 강화하기 위해 스트레스 완충자본 규제 도입을 올 하반기로 연기하기로 한 게 대표적이다. 비거래적 외환포지션 시장리스크는 위험가중자산에서 제외하는 방안도 고려한다. 증권시장 안정펀드에 출자한 보험사의 지급여력(K-ICS) 비율 위험액을 경감하는 등 금융사 부담도 완화한다.
국내 기업의 대출 및 투자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치도 마련한다. 벤처투자 펀드의 위험가중치를 완화하고 국내 기업이 해외 신용평가기관에서 평가받은 등급을 위험가중치 산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비금융 지주회사는 주요 수익원과 재무적 특성 등 실질을 고려해 위험가중치를 적용하는 등 감독정책을 유연하게 운영할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여전사경영분석]메리츠캐피탈, 자산성장세 회복…수익성 과제 남아
- [저축은행경영분석]푸른저축, 반토막 순익 불구 과감한 '고배당' 속내는
- [컨콜 Q&A 리뷰]배당 건너뛴 한화생명…올해 세운 재원 확보 계획은
- [IR Briefing]삼성생명 "화재 지분 추가확보 계획 없다"
- [IR Briefing]삼성생명, 주주환원 계획에 붙은 '물음표'
- [보험경영분석]삼성생명, '2조 클럽' 재진입…본업 부진은 아쉬워
- [이사회 분석]IBK저축, 7인 이사진 체제 재구축…내부통제위 '재편'
- [보험경영분석]동양생명, 사상 최대 순익 대조되는 역대 최저 킥스비율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BNK금융, 달라진 자본운영 방침에 CET1비율 '신바람'
- [우리금융 내부통제 리뉴얼]표준 된 내부통제위, 윤리경영실로 한발 더 나갔다
김보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여전사경영분석]메리츠캐피탈, 자산성장세 회복…수익성 과제 남아
- [2025 금감원 정책기조]'일류감독'의 꿈…금감원 쇄신은 계속된다
- [2025 금감원 정책기조]금융업권 제도 정비…‘제2의 티메프’ 막는다
- [thebell note]'1등 삼성' 자존심 지킨 삼성카드, 전략 변화할까?
- [금융권 AI 빅뱅과 리스크]KB국민카드, AI 혁신 속 보안 강화…정보유출 악몽 씻는다
- '은행권 내부통제' 강조한 이복현…"단기 성과주의 용납 안 돼"
- [2025 금감원 정책기조]금감원의 3월 과제는 '불법공매도 차단, ATS 정착'
- [2025 금감원 정책기조]저축·인터넷은행에 당근 제시…취약계층 돈맥경화 물꼬 튼다
- [2025 금감원 정책기조]GA 과당경쟁 제동…금감원, 보험업권 불완전판매 정조준
- NH저축은행, 흑자전환 성공…"리테일 경쟁력 강화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