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O 워치]신격호의 유산 지키는 조력자, 롯데케미칼 조성택2015년 1월 최고재무책임자 부임, 삼성 빅딜 등 조단위 현금 유출에도 재무지표 안정적
박기수 기자공개 2020-01-02 11:14:24
이 기사는 2019년 12월 31일 10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롯데케미칼은 인수·합병(M&A)으로 국내 화학업계 선두 주자까지 성장한 롯데그룹의 대표 화학사다. 최근 주요 M&A로는 삼성그룹으로부터 약 3조원을 들여 사온 롯데첨단소재와 롯데정밀화학 등이 있다. 이외 미국 시장 진출, 국내 에너지사들과의 협업 등 적극적인 확장 정책을 펴고 있다.그럼에도 롯데케미칼의 재무 상황은 국내 화학업계 중에서도 비교적 매우 건전한 축에 속한다. 롯데케미칼의 올해 3분기 말 연결 기준 부채비율은 49.8%에 불과하다. 한 번 돈을 쓰면 기본 몇백억을 쓰는 기업치고는 재무 상황이 매우 우수한 셈이다.
롯데케미칼의 건전한 재무구조는 신격호 명예회장의 철학이라고 알려진다. IMF 위기 당시 신 명예회장은 무차입 경영의 중요성을 역설했고, 이후에도 롯데케미칼은 건전한 재무구조를 1순위로 삼았다는 후문이다. 이런 신 명예회장의 철학은 2020년을 눈앞에 둔 현재의 롯데케미칼에도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조성택 롯데케미칼 최고재무책임자(CFO, 사진)는 대표적인 조력자다.

조선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2015년부터 롯데케미칼의 CFO를 담당한 조성택 상무는 확장하는 롯데케미칼을 함께 이끌어온 주요 인물 중 하나였다. 허수영 전 부회장을 비롯해 김교현 사장과 현재 임병연 부사장을 보필하며 M&A나 자회사 출자 등 확장 정책과 안정적 재무 구조 유지 사이에서 조율자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2016년과 2017년은 롯데케미칼의 야심 찬 계획인 미국 사업이 본격화 한 시기다. 롯데케미칼은 미국 현지에 LC USA 법인을 세우고 2016년에만 약 1조2000억원의 자금을 투입했다. 2017년에도 2772억원의 유상증자를 결정하고 2244억원을 대여해주는 등 미국 사업에 대한 의지를 내비쳤다. 이외 실패로 돌아갔지만 2016년과 2017년에 각각 미국 액시올(Axiall)과 주롱아로마틱스(JAC) 인수전에 참여하기도 했다.
지난해는 롯데케미칼이 '한국 롯데'로 공식 분류된 상징적인 해다. 원래 일본계 회사였던 롯데물산이 최대주주였던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10월 롯데지주를 최대주주로 맞이했다. 지분 관계를 정리하는 과정에서도 조 상무의 역할이 중요했다는 후문이다.
올해는 롯데케미칼과 롯데첨단소재의 합병 이슈가 가장 큰 화두였다. 롯데케미칼은 올해 7월 말 롯데첨단소재의 잔여 지분 10%를 2795억원에 매입하고, 롯데첨단소재와의 합병을 결정했다. 이외 비핵심법인으로 분류된 영국 법인(LC UK)을 매각하기도 했다.
롯데케미칼은 2030년 매출 50조원, 글로벌 7위 화학사로 거듭난다는 '비전2030'을 얼마 전 공표했던 바 있다. 지난해 롯데케미칼의 연결 기준 매출이 약 16조5000억원이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무서운 속도의 성장을 약속한 셈이다. CFO로서의 조 상무의 역할도 그만큼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그가 CFO로 재직한 기간 중 롯데케미칼의 재무 상황은 큰 변화가 없다. 2015년부터 시작된 석유화학업계 초호황기의 수혜를 입어 조원 단위의 자금 유출에도 부채비율 등이 크게 높아지지 않은 모습이다. 롯데케미칼의 올해 3분기 말 순차입금비율과 차입금의존도는 5.8%, 22.5%에 불과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FSN 계열' 두허브, 마이원픽 월간 신규 가입자 급증
- 아트와 파이낸스는 대척점에 있을까
- [네패스그룹은 지금]승계 정공법 택한 오너일가, 상속세 '250억' 육박
- [강소 전선업체 리포트]대원전선, 실적 성장세 '견조' vs 운전자본·주가 '부진'
- [비상장 게임사 도전기]4년 만에 돌아온 라이온하트, '성공 DNA' 증명 분수령
- '퐁피두 키우기' 한화문화재단, 이성수 신임 대표 선임
- [Company Watch]KT밀리의서재, R&D 조직 개편…플랫폼 고도화·AI '집중'
- [Company Watch]'쉼 없는 공장가동' 삼성메디슨, 소니오 정상화는 '요원'
- 삼성 준감위, 이재용 소통 지속 '정치적 독립 초점'
- 대표 떠난 SK쉴더스, 임현수 CFO '대행 체제' 출범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재무전략 분석]포스코퓨처엠과 한화에어로 유증이 다른 이유
- [Financial Index/생명보험]가중부실자산비율 평균 0.19%, 하나생명 가장 높아
- [CFO & Credit]이현규 LG CNS 상무, 'AA0' 도약 조력자 역할 '충실'
- [Financial Index/생명보험]농협생명, '압도적' K-ICS…한화·KDB '아슬아슬'
- 현금 쌓고 확장하는 CATL, LG엔솔과 정반대 행보
- [더본코리아 재무 분석]백종원식 가맹 사업 중심 사업 모델의 '명암'
- [더본코리아 재무 분석]'2000억 현금 창고'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 [조선업 리포트]한화엔진, HSD 시절보다 높아진 이사회 전문성
- [유동성 풍향계]'유심 해킹 사태' SK텔레콤, 재무 완충력은
- [조선업 리포트]한화엔진, 한화의 '한 수'…적중한 인수 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