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0년 12월 18일 07시5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자동차, 2차전지 산업 발 그린뉴딜 열기가 전선업계로 옮겨가고 있다. 해상풍력 발전이 그린뉴딜 핵심 산업으로 떠오르면서 해저케이블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국내 전선업계 1위 LS전선이 대표 수혜 기업이다. 아직 실적에 반영되지 않은 해저케이블 수주 잔고만 1조원에 달한다고 하니 변수가 없으면 내년 큰 폭의 성장이 점쳐진다.수개월 전만 해도 LS그룹은 국내 그린뉴딜 열풍을 보며 마냥 웃을 수 없는 처지였다. 그룹사 LS엠트론이 2018년 동박 사업부를 사모펀드 KKR에 매각한 기억 탓이다. KKR은 3000억원에 인수한 동박 사업부를 이듬해 1조2000억원에 SKC에 매각했다. 1년 4개월 만에 무려 4배 뛰었다.
당시 LS그룹은 재무건정성을 위해 주요 사업부 매각이 불가피했다. 다만 '알짜'를 지나치게 싸게 팔았다는 평가에서 자유롭지 않다. 동박이 2차전지 핵심 소재로 주목 받으면서 SKC 주가가 올해 80% 오르자 KKR의 매각가 1조2000억원마저 싸보일 정도다. SKC 시가총액은 최근 약 3조5000억원까지 커져 ㈜LS(약 2조4000억원)를 크게 따돌렸다.
LS그룹이 안타까움을 남긴 딜은 M&A에 국한되지 않는다. 전기차 부품 자회사 LS EV 코리아 기업공개(IPO) 계획이 올해 3월 철회됐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이 막 시작돼 정상적인 수요예측이 불가능했다. 이후 코로나19가 일상이 되고 '따상(공모가 두배로 시초가 형성 뒤 상한가 기록)'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IPO 호황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독히도 운이 없었다.
돌이켜 보면 LS그룹은 유독 IPO 시장에서 고전했다. 2010년대 초중반 기대를 모은 LS전선 IPO는 자회사 리스크 등에 노출되며 흐지부지 됐다. 2016년 전략을 바꿔 자회사 LS전선아시아를 상장시켰으나 수요예측 흥행에 실패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2017년에는 LS오토모티브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했다가 돌연 지분매각으로 방향을 틀면서 거래소와 주관사 원성을 샀다.
LS그룹이 거듭한 시행착오를 곱씹어보면 매번 운이 없었다고 치부하긴 어렵다. 산업 현장 성과를 생각하면 자본시장 내 행보는 더욱 아쉬움이 남는다. LS전선은 해저케이블 뿐만 아니라 전기차 부품 시장에서도 두각을 드러낼 채비를 마쳤다. LS일렉트릭은 신재생에너지를 취급하는 융합사업부 흑자 전환을 눈앞에 두고 있다. 최근의 주가 상승 만으로 만족하기엔 잠재력이 크다.
다시 시험대에 오를 날은 머지 않았다. 재무적투자자(FI)가 3년째 묶여 있는 LS EV 코리아는 IPO 재도전이 불가피하다. 작년 FI를 유치한 LS알스코도 전기차용 알루미늄 전선을 내세워 수년내 IPO에 나서야 한다. 전기차 시장 성장성을 의심할 여지가 없는 만큼 철저한 준비가 뒤따르면 성공적인 딜이 될 수 있다. LS그룹이 쌓은 그린뉴딜 관련 실적과 역량을 자본시장에서도 꽃피울 수 있길 바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동남아 3대 법인 '엇갈린 희비' 출자 전략 영향은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해외 법인장 인사 '성과주의 도입' 효과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신한카자흐, 2년 연속 '퀀텀점프' 성장 지속가능성 입증
- [thebell note]김기홍 JB금융 회장 '연봉킹 등극' 함의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명확해진 M&A 원칙, 힘실릴 계열사는 어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신한베트남은행, 한국계 해외법인 '압도적 1위' 지켰다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밸류업 재시동 트리거 '비은행 경쟁력'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NH농협, '보험 전문가' 후보군 꾸렸지만 선임은 아직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40년 커리어' 마지막 과업, 금융시장 '부채→자본 중심' 재편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JB금융, 사외이사 후보군 '자문기관 위주' 전면 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