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링업 리포트]'흑자 전환' 유신, 설립 이래 현금성자산 최다700억 첫 돌파, 순현금 기조 지속…점유율 순위 3년 만에 반등
고진영 기자공개 2021-06-01 14:11:14
이 기사는 2021년 05월 28일 14시4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잦은 손실로 고전해온 유신이 흑자 기조를 되찾았다. 그간 빈번한 적자에도 불구하고 새어나가는 돈을 최소화하면서 순현금 상태를 유지했는데 지난해는 십년 만에 가장 많은 당기순이익을 냈다. 덕분에 올해 현금성자산 역시 역대 최고 수준을 쌓았다. 외형 확대와 함께 시장 점유율 역시 반등에 성공했다.◇현금성자산 700억 돌파…실적 턴어라운드 영향
유신은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현금 및 현금성자산(단기기타금융자산 포함)이 749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543억원)과 비교하면 38% 가량 늘었는데 설립 이래 700억원을 넘은 것은 처음이다.
현금의 증가에는 지난해 당기순이익을 거두는 데 성공한 점이 영향을 미쳤다. 유신은 그간 당기순손익이 마이너스(-)와 플러스(+)를 반복하며 수익성 유지 측면에서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왔다.

실제로 2011년부터 10년 동안 햇수의 절반은 손해를 봤다. 2018년과 2019년에도 연속 2년간 순손실을 냈으나 지난해는 순이익 30억원을 기록해 턴어라운드를 이뤄냈다. 큰 규모는 아니지만 2011년 첫 당기순손실을 경험한 이후 최고 수치라는 점에서 의미있는 성과다.
올해 1분기 말의 경우에도 당기순이익으로 전년(3억5000억원)보다 크게 개선된 17억원을 거뒀다. 이미 지난해 연간 순이익의 절반 이상을 거둔 셈이다. 영업이익률이 2.3%를 나타내 2010년 이후 가장 양호한 수치를 보이면서 순이익 증가에 보탬이 됐다. 근 10년 동안 영업이익률이 1%를 상회한 적이 없었으나 다시 2%대로 올라왔다.
현금이 늘어난 덕분에 올해도 순현금 기조가 이어졌다. 3월 말 기준으로 총차입금(288억원, 리스부채 포함)에서 현금성자산을 뺀 유신의 순차입금은 마이너스 461억원이다. 그간 들쑥날쑥한 실적으로 현금 유입에는 변동성이 컸지만 보수적인 차입기조를 고수하면서 순차입금은 마이너스를 유지하고 있다. 1995년부터 27년째 순현금 상태다.
◇3년 만의 점유율 반등…3위 '재탈환'
유신은 외형 역시 가파른 회복세를 보이는 중이다. 지난해는 매출이 2123억원으로 전년보다 27.4% 늘었다. 올해 1분기에도 작년 같은 기간(469억) 대비 35.6% 많은 635억원을 거두면서 증가세가 계속됐다.

이에 따라 매출을 기준으로 한 시장 점유율 역시 3위권으로 복귀한 상태다. 애초 유신은 설립 당시만 해도 업계의 맏형 역할을 했다. 1966년 '유신특수설계공단'으로 탄생한 이후 경부고속도로 등 굵직한 사업을 따내며 승승장구를 이어갔다.
그러나 국내 건설 인프라와 산업 기반이 점차 갖춰지면서 유신의 성장도 벽에 부딪혔다. 사회간접자본(SOC) 물량 축소의 직격탄을 맞은 탓이다. 급기야 2006년 도화엔지니어링이 유신을 제치고 업계 1위를 차지했다. 이명박 정부 초반에는 4대강 사업을 비롯한 토목 일감이 늘어나면서 잠시 호황을 맛보기도 했으나 다시 선두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이었다.
2009~2010년 2300억원 수준까지 반짝 올랐던 매출은 엔지니어링산업이 전반적으로 위축된 2011년 1800억원대로 급강하했다. 이때 유신은 창립 이래 처음으로 당기순손실을 내는 위기까지 맞았다. 외형이 받쳐주지 않는 상황에서 원가와 판관비 부담을 견디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듬해인 2012년에는 업계의 판도 역시 지각변동이 시작됐다. 엔지니어링 시장은 도화엔지니어링, 삼안, 유신으로 이어지는 삼각 구도를 오래 유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2위였던 삼안은 워크아웃에 들어갔고 유신은 과거보다 매출이 급격히 쪼그라들면서 상위권의 견고한 벽에 균열이 생겼다.
반면 4~6위권이던 한국종합기술과 건화는 소폭이나마 매출 증가를 이뤄냈다. 결국 2012년 한국종합기술이 4위에서 2위로 뛰어오르면서 업계는 도화엔지니어링-한국종합기술-유신이 한 쪽씩 담당하는 트라이앵글로 재편됐다.
유신이 그대로 3위를 유지하긴 했지만 곧 건화가 턱끝 추격을 시작했다. 유신과 3~4%포인트 이상의 격차를 보이며 5위에 머물러 있었는데 2012년 둘의 점유율 차이는 1%포인트 이하로 좁혀졌다. 결국 엎치락뒤치락 끝에 2017년 유신이 건화에 밀려난 이후로는 3년 내리 4위에 머물렀다.
그 뒤로 매년 점유율이 한 자릿수에서 지지부진했으나 지난해는 10%대를 회복하면서 건화를 제치고 3위 탈환에 성공했다. 지난해 감사보고서를 토대로 업계 매출 상위 10개 회사의 점유율을 유추해본 결과 유신은 점유율 10.1%를 차지했다. 건화가 9.5%로 그 뒤를 따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오르비텍, 방사성폐기물 처리 신기술 도입
- 대우건설, 해외시장 진출 '박차'
- [Company Watch]온타이드, 매출절반 차지하는 해외법인 부진 지속
- [ESS 키 플레이어]한중엔시에스 '국내 유일 수랭식 공급' 가치 부각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빗썸, 비언바운드 법인 청산…해외사업 '고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투자 대폭 늘렸는데도 '무차입 기조' 유지
- [i-point]서진시스템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고진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자비용 분석]이마트 삼킨 이자비용, 5000억이 전부일까
- [레버리지&커버리지 분석]IPO자금 들어온 엠앤씨솔루션…보유현금 왜 줄었나
- [재무전략 분석]'긴축 모드' LG헬로비전, 1000억대 추가 손상 배경은
- [상장사 배당 10년]포스코홀딩스, 18년 전으로 돌아온 배당규모 사정은
- [the 강한기업]'고생 끝에 낙' 오는 DN오토모티브
- [유동성 풍향계]'승승장구' 올리브영, 6000억대 사옥 인수 체력은
- 삼성전자의 주주환원은 현명할까
- [CFO는 지금]순항하는 삼천리, 순현금 4000억대 회복
- [상장사 배당 10년]정의선 회장, 취임 후 현대차그룹서 '5200억' 받았다
- [CFO는 지금]'임시 자본잠식' 효성화학…관건은 현금흐름 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