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Korea Wealth Management Awards]가치투자 베어링운용, 하락장서 탁월한 성과[올해의 주식형펀드 운용사]변동성 관리 능력 입증
윤종학 기자공개 2023-02-23 10:11:04
이 기사는 2023년 02월 22일 17시4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베어링자산운용이 주식형펀드 운용에 탁월한 성과를 보이며 위용을 뽐냈다. 가치투자 하우스의 강점을 살려 하락장에서도 변동성 관리 능력을 입증했다.22일 더벨과 더벨앤컴퍼니가 주최하고 금융위원회와 은행연합회, 금융투자협회, 생명보험협회,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 한국펀드평가, KIS자산평가가 후원한 ‘2023 Korea Wealth Management Awards’에서 베어링자산운용은 '올해의 주식형펀드 운용사'로 선정됐다.
베어링자산운용은 주식시장이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인 2022년 한해동안 배당주 운용전략으로 국내 주식형펀드 운용사 중 가장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를 받았다.

2022년은 주식형펀드 운용사들에게 유독 어려운 한해였다. 코스피 지수는 2998포인트로 시작해 연초 대비 25.4% 하락한 2236포인트로 마무리했고, 코스닥 지수는 1039포인트에서 678포인트로 34.7% 빠졌다.
특히 베어링자산운용의 '베어링고배당' 펀드는 긴 운용 경력과 안정적인 수익률로 대표적인 스테디셀러로 꼽힌다. 이 펀드는 자산의 70% 이상을 국내 주식시장에 투자한다. 배당수익률이 높고 내재가치가 우수한 고배당주를 엄선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다.
베어링자산운용의 변동성 관리 능력은 이미 오랜 기간 입증됐다. 베어링고배당 시리즈의 시초인 '베어링고배당증권투자회사'는 2002년 4월 설정돼 현재까지도 운용 중인 상품이다. 2000년대 초 IT버블, 2008년 금융위기, 2019년 코로나19 팬데믹 등 다양한 마켓 사이클 속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용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2월 초 기준으로 누적수익률은 약 580%에 이른다.
변동성 관리에 탁월한 성과를 낼 수 있던 요인은 꾸준히 지켜온 가치투자에 있다. 베어링자산운용은 단순히 배당규모만 보고 종목을 선별하지 않는다. 현재 현금흐름, 영업이익 등을 근거로 밸류에이션을 책정해 장기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가치주에 투자한다.
베어링자산운용의 수탁고 증가도 눈에 띄는 부문이다. 대부분 주식형펀드 하우스는 자금유출을 겪었다. 반면 베어링자산운용은 지난해 1000억원가량의 자금이 순유입되며 국내 주식형(액티브) 펀드 하우스 중 순자산 증가율 1위를 차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위세아이텍, 대한소방공제회 사업 수주…데이터 기반 행정 고도화
- [i-point]감성코퍼레이션, 75억 규모 자사주 취득·소각
- [thebell note]글로벌세아그룹의 민간외교
- [thebell interview]"왓타임, 중고시계 1등 플레이어 목표…일본 공략"
- [VC 투자기업]리코, 585억 시리즈C 투자 유치…업박스 고도화
- 오거스트벤처, 영화투자 강자 급부상 '비결은'
- [김화진칼럼]보험 사기
- [리걸테크 스타트업 점검]엘박스, 투자 혹한기 깨고 시리즈C 성료 임박
- [달바글로벌 road to IPO]구주매출 고사한 FI…'오버행 우려' 기우일까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13곳 몰린 재도약, 나우IB·교보증권 탈락 이변
윤종학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롯데칠성 해외사업 점검]외형성장 견인차 PCPPI, 체질 개선 과제
- 애경산업, 대표 간담회 통해 매각 검토 공식화
- [롯데칠성 해외사업 점검]'4조 매출' 시대 연 롯데칠성, 해외에서 길을 찾다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소통 방점' 롯데지주, 이동우 대표 '수익성 개선 집중' 강조
- [캐시플로 모니터]교촌에프앤비, 순익 급감에도 현금창출력 견고
- [캐시플로 모니터]동서, 현금흐름 순유출…투자·배당 전략변화 눈길
- [R&D회계 톺아보기]삼양사, 연구개발비 우상향…'스페셜티' 소재 방점
- [흥국에프엔비는 지금]'부부경영' 지배구조 굳건, 2세 승계 시동거나
- [R&D회계 톺아보기]웅진씽크빅, 지속된 연구개발비 감축…손상차손 부담 컸나
- [흥국에프엔비는 지금]'단기 중심' 부채구조 변화, 유동성 관리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