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 Radar]군공, 메디트 매각대금 유입 임박 '2배 수익 예상'2019년 UCK 조성 프로젝트 펀드 출자, "300억 투자해 600억 회수"
김경태 기자공개 2023-03-07 08:18:19
이 기사는 2023년 03월 06일 09시5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군인공제회(이하 군공)가 조단위 빅딜인 메디트 경영권 거래 덕분에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군공은 UCK파트너스(옛 유니슨캐피탈코리아)가 메디트를 인수하던 때 조성한 프로젝트 펀드에 출자했다. MBK파트너스의 거래종결(딜클로징)이 이뤄지면 투자원금의 2배를 회수하게 된다. 내부 유동성 확보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6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군공은 UCK가 2019년 메디트 인수를 위해 만든 프로젝트 펀드에 300억원을 출자했다. 이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는 "총 600억원을 회수해 투자원금과 비교해 2배를 받게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앞서 UCK는 2019년 메디트를 3200억원에 인수했다. 당시 전체 투자금 3200억원 중 블라인드펀드로 1000억원, 인수금융으로 600억원을 조달했다. 나머지 1600억원은 2호 블라인드 펀드의 출자자(LP) 등이 참여한 프로젝트 펀드를 만들어 충당했다. 군공은 이 프로젝트 펀드에 참여했다.

메디트는 UCK가 경영권을 확보한 뒤 실적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2019년 매출은 722억원, 영업이익은 361억원이다. 2021년 매출은 1906억원, 영업이익은 1032억원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는 367억원에서 1049억원으로 늘었다.
호실적을 이어간 덕분에 중간 회수도 순조롭게 진행됐다. 메디트는 2021년 3월 256억원을 배당했다. 매각 작업을 앞둔 작년 4월에는 NH투자증권을 단독 주선사로 선정한 뒤 리파이낸싱을 진행했다. 주선금액은 4200억원이다. 자본재조정(리캡)을 통해 LP들은 투자 원금 회수 걱정을 끝냈다.
IB업계에 따르면 군공은 투자 이후 배당과 리캡 등 중간 회수를 통해 500억원 가량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자인 MBK파트너스가 이달 내로 거래를 마무리하면 추가로 100억원 정도를 수령한다는 전언이다.
총 회수액이 투자원금 대비 2배에 달하는 셈이다. 인수자인 MBK파트너스는 이달 말 딜클로징을 할 예정이다. 프로젝트 펀드 청산 후 나머지 자금이 유입되면 군공 내부의 유동성 확보에 보탬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메디트 회수로 성과를 거둔 군공이 올해 대체투자분야에서 활발한 행보를 보일지도 주목된다. 군공은 2021년 5월 이상희 부이사장이 CIO로 취임한 이후에도 대체투자에 큰 관심을 두고 추가 투자와 포트폴리오 자산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지난달 28일에는 사모대체 블라인드 펀드 위탁사 선정을 마무리했다. 사모투자(PE)와 벤처캐피탈(VC) 분야에서 각각 9곳씩 선정했다. 출자액은 각각 1200억원, 800억원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 코리안리, 보험계약마진 증가… 킥스비율도 우상향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정책자금대출 경쟁 붙은 지주계, 앞서가는 하나저축
- 현대캐피탈, 본업 경쟁력으로 손익 방어…사옥 매각익 반영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신한금융, 더존비즈온과 'ERP 뱅킹' 야심찬 청사진
- [저축은행 위험 관리 점검]페퍼저축, 2년간 대출채권 1조 매각…올해 건전성 회복 기대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쉼 없는 공장가동' 삼성메디슨, 소니오 정상화는 '요원'
- [Company Watch]삼성D, 코닝 주식 매각 '복잡해진 셈법'
- LK삼양, 신제품·신성장동력 힘 가시화 '반전 집중'
- SK, SK마리타임 합병 관련 조세심판 기각
- [삼성 빅딜 리부트]여유 없는 매도자 상황 노린 '영리한' M&A
- [삼성 빅딜 리부트]국내는 좁다…8년만 대형 M&A도 '크로스보더'
- [미국 로비활동 점검]삼성SDI 미국법인, 인하우스 조직 '분주'
- 크레센도, HPSP 리캡 'LP 중간회수·제값받기' 포석
- [IR Briefing]'저점 확인' 카카오, 비핵심사업 정리·슈퍼앱 진화 초점
- 하만에 오디오사업 판 마시모, 매각대금 '주가 부양' 투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