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기업 공급망 분석]LG전자, 모바일 파트너 '퀄컴'…전장 동맹사로 재등장②VS사업 확대 기조에 퀄컴 반도체 비중도↑, NXP 위주에서 일부 다변화
원충희 기자공개 2023-04-03 14:18:27
[편집자주]
코로나가 휩쓴 지난 3년간 전 세계 기업들의 주요 이슈는 공급망 안정화였다. 인적·물적 교류가 제한되면서 주요 원재료 및 부품 수급이 어려워졌고 그 와중에 미중 갈등으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진행 중이다. 엔데믹 이후 폭증한 수요가 금리인상과 러우 전쟁 등으로 다시 가라앉는 등 불확실성도 확대되면서 각 기업들은 주요 매입처 관리에 더 신중을 기하게 됐다. 국내 주요 전자·IT기업의 공급망 점검을 통해 이들의 사업전략과 시장 변화를 들여다봤다.
이 기사는 2023년 03월 31일 07시5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G전자의 주요 원재료·부품 매입처 명단에서 2020년 이후 사라진 퀄컴(Qualcomm)이 다시 등장했다. 퀄컴은 그간 모바일 사업을 담당하는 MC부문에 반도체 칩 공급자로 올라와 있었으나 스마트폰 사업을 접은 이후 리스트에서 빠졌다.퀄컴이 재등판한 곳은 자동차 전장부품 사업을 주관하는 VS부문이다. 그간 NXP로부터 차량용 텔레매틱스 및 인포테인먼트용 칩을 수급받았던 LG전자는 퀄컴 반도체 매입 비중이 늘었다. NXP 위주 공급망에 변화가 생긴 격이다.
◇모바일 사업 접은 후 퀄컴도 매입처 명단서 사라져
LG그룹은 1979년 대한전선 계열 대한반도체를 인수하며 반도체사업을 시작했다. 글로벌 D램 시장 6위까지 올라가는 저력을 보였으나 1998년 외환위기 당시 정부가 5대그룹 대상 빅딜을 추진하면서 눈물을 머금고 반도체 사업을 넘겨야 했다. LG반도체는 현대전자와 합병해 지금의 SK하이닉스가 된다.
다만 반도체 개발의 명맥은 LG전자 안에서 이어졌다. 스마트폰 사업을 하려면 두뇌 역할을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칩이 필요했는데 LG전자는 2014년 대만 TSMC와 손잡고 독자 칩 개발을 모색했다. AP 개발 프로젝트 '오딘'을 가동해 10월 '뉴클런'를 만들어 LG G3 등 일부 스마트폰에 탑재했다. 그러나 시장의 반응은 좋지 못했고 2017년 통신칩 생산을 포기했다.

하지만 MC부문의 적자가 수년째 지속되자 LG전자는 2021년 7월 모바일 사업을 중단하고 해당부문 청산에 들어갔다. MC부문은 2015년 2분기 이후 23분기 연속 영업적자를 기록하면서 자본금을 모두 소진했고 추가적으로 4조원가량이 더 들어간 채 마무리 됐다. 스마트폰 사업을 접으면서 퀄컴 AP 수요도 사라지자 2020년 이후부터는 LG전자의 주요 구매처 명단에 퀄컴도 보이지 않게 됐다.
◇퀄컴, VS부문 차량용 통신·AVN용 칩 수급처로 재등장
LG전자의 주요 공급망 리스트에 퀄컴이 다시 등장한 것은 2022년 사업보고서부터다. VS부문에 반도체 칩 수급처로 NXP와 함께 퀄컴이 이름을 올렸다. LG전자는 각 사업부문의 원재료 및 부품 수급처의 경우 전체 공급물량이 차지하는 비중이 일정 비율을 넘어선 곳만 이름을 공개한다. 지난해 LG전자 VS부문의 칩 매입규모 3221억원으로 퀄컴이 일정 비중을 넘어섰다는 의미다. VS부문 반도체 매입규모는 전년(2404억원)대비 34% 증가했다.
VS부문의 칩 수급용도는 텔레매틱스와 오디오 비주얼(AV)시스템,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AVN) 시스템이다. 텔레매틱스는 통신(telecommunication)과 정보과학(informatics)의 합성어로 차량과 인터넷을 연결하는 자동차 정보통신 장치를 뜻한다. 차량은 이동통신망과 위성확인시스템(GPS) 등 다양한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텔레매틱스는 이 데이터들을 분석해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LG전자의 VS부문 칩 최대 매입처는 차량용 반도체 글로벌 1인자 네덜란드 NXP다. LG전자는 2020년 NXP와 차세대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통합 솔루션 공동 개발 파트너십 계약을 맺은 바 있다.
퀄컴과도 2004년 손잡고 차량 내 무선인터넷 서비스(텔레매틱스) 기술을 개발했다. 2017년 자율주행차 부품 개발을 위해 '차세대 커넥티드카 솔루션 공동개발 협약식'을 맺기도 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플랫폼인 '웹OS 오토' 연구개발 관련 협력도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LG전자 전장용 반도체 공급망도 NXP 위주에서 퀄컴이 추가돼 일부 다변화를 이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에이비엘·컴퍼스, 기대보다 낮은 ORR에도 유의성 충족
- 애경산업, 대표 간담회 통해 매각 검토 공식화
- 지아이이노베이션 창업주 장명호, 4년만에 대표 복귀
- [달바글로벌 road to IPO]'콜옵션' 행사 위한 구주매출…'경영권 강화' 진행 중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하반기 출범' 안다글로리, 전략 다양화 개시
- 키움투자운용, 삼성운용 출신 '마케터' 영입한다
- 코웨이 주총 D-3, '표대결' 관전포인트는
- JB운용, '최원철 대표' 꽂힌 CR리츠 4곳 추진
- 삼성증권, '기관전용 PEF 사업' 채비 장기화
- TIGE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액티브, 환율 상승에 수익률 부진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APEX 톺아보기]삼성전자, 반도체 줄고 디스플레이 2배 급증
- [캐시플로 모니터]삼성전자, 하만 회사채 만기 도래 '늘어난 환차손'
- [R&D회계 톺아보기]"결국은 기술" 연구개발비 30조 돌파한 삼성전자
-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의 오너십
- [Board Change]CJ대한통운, 해외건설협회 전·현직 회장 '배턴 터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메리츠금융, 대손충당금 부담은 어느 정도
- [Board Change]넷마블 이사회 떠난 '친한파' 텐센트 피아오얀리
- [Board Change]카카오, CFO 이사회 합류…다시 세워지는 위상
- [Board Change]삼성카드, 새로운 사내이사 코스로 떠오른 '디지털'
- [Board Change]삼성증권, 이사회 합류한 박경희 부사장…WM 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