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l Story]'1년간 설득' UCK의 설빙 인수 '막전막후''긴 호흡' 창업자와 신뢰 구축, 공차 후광 속 성장전략 어필 '적중'
이영호 기자공개 2023-10-13 08:22:00
이 기사는 2023년 10월 12일 13시3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UCK파트너스(이하 UCK)가 또 한 번 식음료(F&B) 프랜차이즈 기업 인수에 성공했다. 소비자에게도 잘 알려진 디저트카페 운영사 ‘설빙’이 그 주인공이다. UCK는 꼬박 1년간 공을 들이며 끈질긴 설득 과정을 거친 끝에 설빙 경영권을 손에 쥘 수 있었다.12일 IB업계에 따르면 UCK는 이달 11일 설빙 인수를 마무리 지었다. 인수금액은 1305억원이다. 설빙 기업가치는 1450억원으로 책정됐고 UCK는 지분 90%를 매입했다.
인수 과정은 이번에도 지난했다. 설빙 대주주 접촉부터 딜 클로징까지 꼬박 1년이 걸렸다. 설빙은 지난해 초부터 M&A시장에 등장했다. 물밑에서 다수의 IB, 프라이빗에쿼티(PE) 관계자가 관심을 보였다. 복수 IB가 설빙 인수를 원매자들에 제안했다.
UCK가 설빙 측과 대화를 시작한 시점은 지난해 10월이었다. 태핑이 시작된지 상당기간이 지난 때였다. 이전 M&A와 마찬가지로 UCK는 긴 호흡으로 매도인과 접촉했다. 시간이 길어질수록 원매자가 감당해야 할 시간과 비용은 커진다. 인수 불발 위험도 상존한다. 그러나 투자기업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는 이점 역시 작용한다.
단순히 금전적으로 승부한 것은 아니었다. UCK보다 더 높은 인수가를 제안한 곳도 있었다는 후문이다. UCK는 성장전략을 집중 어필했다. 이미 ‘공차’라는 성공적인 트랙레코드가 있었기에 구체적 전략을 제시할 수 있었다. 테라로사(학산) 등 프랜차이즈 인수로 축적한 노하우는 PE업계 내에서도 독보적이라는 점을 앞세웠다.
성장전략에 초점을 맞춘 UCK 접근법은 통했다. 올해 5월경 UCK는 설빙 대주주와 인수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이후 8월 말 본계약, 이달 딜 클로징으로 이어졌다. 설빙 창업주는 10% 지분을 보유한 2대 주주로 남았다.
UCK가 유명 프랜차이즈를 새로 인수하면서 밸류에이션 제고 방안에도 관심이 쏠린다. 설빙 투자 논거로는 △점포 확장성 △글로벌 진출 △브랜드 인지도 △본사 기능 고도화 등이 꼽힌다.
설빙은 전국에 500여개 점포를 확보했다. 향후 5년간 1000개까지 점포를 늘리겠다는 게 UCK의 목표다. 점포 수가 두 배 늘어나면 실적 역시 두 배 상승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해외시장도 성장 포인트다. 이미 해외 10여개국에 설빙 점포를 운영 중이다. 해외사업 조직을 보강해 마스터 프랜차이즈 관리 역량, 해외 파트너 네트워크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경영효율화도 예고한 상황이다. UCK는 C레벨급 최고경영진을 물색 중이다. 임직원 보강과 함께 본사 기능과 관리 체계를 손 본다. 설빙 브랜드 인지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방안을 찾을 예정이다. 이를 위한 브랜딩, 마케팅 전략도 적극 구사할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윤석열 대통령 탄핵]UAE국부펀드, '토종 헤지펀드' 출자 속도낸다
- [thebell note]리브스메드, 한국의 포드될까
- IPO 개선안에 코벤·하이일드펀드 투자자 불만 고조
- [Red & Blue]'삼성전자 파트너' 미래반도체, 관세 유예 소식에 '활짝'
- [i-point]해성옵틱스, 삼성전기 ‘2025 상생협력데이’ 품질혁신 대상
- 중소기업중앙회, 액티브 운용사에 최종 자금 집행
- 교보증권, 변동성 장세에 채권 라인업 강화
- 미래에셋증권,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올인'
- 유안타증권, '보수적 기조' 유지…'랩'만 손봤다
- 유진증권, 자산배분 강조…"성장주 저점매수 기회"
이영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Red & Blue]'새 출발' 대한항공, 의욕 따라주지 않는 주가
- [대명소노 시대 티웨이항공]'적자탈출' 묘수 있을까
- [대명소노 시대 티웨이항공]새 이사회 키워드 '대한항공 출신'
- [대명소노 시대 티웨이항공]'일단 연임' 정홍근 대표, 대명소노와 '불편한 동거'
- [Company Watch]한진, 순손실로 돌아선 배경 '통상임금'
- '대차잔고 상위권' 에코프로비엠, 반전카드는?
- 한진칼 '주총장 등장' 호반, 일부 안건 '이의제기'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셈법 복잡해진' 글로비스, 사업다각화 기회 살릴까
- 공매도 재개 앞두고…UBS "국내 이차전지 섹터 팔아라"
- 'SK' 이름 떼는 SK렌터카 득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