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interview]"초개인화 AI 자산관리 시대, 하나은행이 주도하겠다"김영훈 자산관리그룹장 "표준화된 서비스 제공 목표"
이명관 기자공개 2024-01-18 07:58:06
이 기사는 2024년 01월 15일 13시3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하나은행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자산관리(WM) 사업에 힘을 싣고 있다. 챗GPT 열풍에 동참, 금융권 자산관리 분야에 적극 활용하고 있는 모습이다. 그렇게 개발된 것이 '아이웰스'다. 아이웰스는 기존 로보어드바이저 대비 차별화된 AI 자산관리 솔루션이다. 기존 로보어드바이저가 펀드 중심으로 서비스를 추천해주는 정도였다면 아이웰스는 개인의 투자 성향에 따라 모든 금융상품을 대상으로 컨설팅을 해주는 방식이다.김영훈 하나은행 자산관리그룹장(사진)은 15일 더벨과의 인터뷰에서 "AI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로 자리잡았고, 향후 자산관리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그런 차원에서 기존의 로보어드바이저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보다 고차원적인 툴이 필요한데, AI가 접목된 초개인화된 자산관리 솔루션이 대안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융권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로보어드바이저를 활용하고 있다. 개인의 투자성향을 기반으로 포트폴리오를 설계하는 기존의 로보어드바이저 방식부터 투자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달성을 최적화 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GBI(Goal Based Investing: 목적기반투자), 최근에는 개인이 원하는 대로 ETF 포트폴리오를 설계할 수 있는 '다이렉트인덱싱' 투자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는 개인의 자산을 입체적으로 분석하고, 그에 맞는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보기에는 자산관리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있다는 게 하나은행의 판단이었다. 하나은행이 새로운 형태의 자산관리 서비스를 개발하게 된 배경이 됐다.
김 부행장은 "아이웰스는 AI에 초개인화를 접목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며 "초개인화'란 '개인화'에서 더 나아가 개인의 구체적인 상황과 특성에 맞게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실제 아이웰스는 개인의 투자성향 뿐만 아니라 △투자스타일 △투자습관 △관심분야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추출된 개인의 투자 DNA에 따라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전통적인 로보어드바이저가 단순히 투자성향만을 기준으로 10개 미만의 포트폴리오를 제시했다면 아이웰스는 468개의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개인의 투자DNA에 최적화된 포트폴리오를 제시하고 관리가 가능하다.
그는 "초기의 모바일 자산관리가 단순히 상품별 계좌 명세를 조회하거나 비교 군과의 금융정보를 대조하는 등 흥미성 컨텐츠에 머물렀다면 아이웰스는 마치 전담직원을 통해 관리를 받는 것처럼 정교한 자산관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아이웰스는 고객의 자산구성, 자산추이, 만기 등 총 15가지 다양한 관점에서 전체 자산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고, 개인의 투자 DNA에 따라 어떤 자산을 늘리고 줄일지에 대한 AI의 맞춤형 코칭을 받을 수 있도록 고안됐다.
물론 아이웰스에게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은행 고객의 특성상 장기간 인연을 맺고 있는 고객들과는 접점에서 파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투자성향을 적절하게 읽어낼 수 있다. 하지만 100% 완벽하게 투자성향을 파악하는 데는 아직 한계가 있다. 다만 이 지점에서 오히려 보다 나은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게 김 부행장의 생각이다.
김 부행장은 "다른 기관에서 받아볼 수 있는 데이터의 기술적, 제도적 한계도 아직 존재한다"며 "데이터가 정교해지고 방대해질수록 고객에게 제공되는 솔루션의 완성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향후 김 부행장은 아이웰스를 통해 표준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목표다. 고액자산가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프라이빗뱅커(PB)의 경우 서비스 품질이 어느정도 예측가능하다. 아이웰스에 PB의 역할을 기대한다고 보면 된다. 김 부행장은 "표준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아이웰스가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PB가 아닌 다른 채널에서도 비슷한 품질의 서비스를 고객들이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이명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디앤오운용, 첫 딜 '상암 드림타워' 끝내 무산
- '이지스운용' 1대주주 지분 매각, 경영권 딜로 진화?
- 더제이운용, 채널 다양화 기조…아이엠증권 '눈길'
- [Product Tracker]NH프리미어블루 강추한 알테오젠 '쾌조의 스타트'
- 키움투자운용, 삼성운용 출신 '마케터' 영입한다
- 수수료 전쟁 ETF, 결국 당국 '중재'나서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단기채 '100% 변제'의 진실, 핵심은 기간
- 유안타증권, 해외상품 전문가 '100명' 육성한다
- 미래에셋운용, '고위험 ETF' 수수료 인하 검토 배경은
- 글로벌 최초 패시브형 상품…'노후' 솔루션 대안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