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m Making]카카오엔터 <나인 퍼즐>, 디즈니플러스 간다상반기 크랭크업, 연말에서 내년 초 공개 유력…영화사월광과 공동 제작
고진영 기자공개 2024-04-01 17:22:11
이 기사는 2024년 03월 28일 15시4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플랫폼 미정으로 알려졌던 드라마 <나인 퍼즐>이 디즈니플러스에 편성된 것으로 확인됐다. <수리남>을 연출한 윤종빈 감독의 대형 신작으로 기대를 모았던 작품이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직접 제작에 참여했으며 투자규모 역시 상당한 것으로 전해진다.28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제작하는 드라마 <나인 퍼즐>이 디즈니플러스 오리지널 시리즈로 방영된다. <나인 퍼즐>은 올 1월 크랭크인에 들어갔으며 5~6월경 촬영 마무리가 예상되고 있다. 애초 지난해 연말 촬영을 계획했다가 다소 미뤄졌다.
공개일은 확정되지 않았으나 크랭크업 일정을 감안하면 내년 초, 빨라도 올 연말 즈음 릴리즈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OTT 플랫폼에 오리지널 작품을 납품할 때는 후반 작업까지 마친 원본을 공개일 약 6개월 전에 전달해야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나인 퍼즐>은 2022년 넷플릭스 <수리남>을 제작한 윤종빈 감독의 신작이다. 윤 감독은 <용서받지 못한 자>로 데뷔, <군도: 민란의 시대>, <공작>, <범죄와의 전쟁: 나쁜 놈들 전성시대> 등이 대표작으로 꼽힌다. <검사외전>을 제작하기도 했다. 영화에만 주력하다가 <수리남>을 통해 처음으로 드라마 시리즈를 성공시켰다. <나인 퍼즐>이 두 번째 OTT 시리즈인 셈이다.
<나인 퍼즐>은 범죄 스릴러 장르로 살인사건을 다룬다. 살인사건의 유일한 목격자이자 용의자였던 '이나'가 10년 후 프로파일러가 되어 자신을 용의자로 의심하는 경찰 '한샘'과 함께 숨겨진 진실을 파헤치는 이야기를 그린다.
출연진을 보면 이나 역할은 배우 김다미, 경찰 한샘 역은 손석구가 맡았다. <악마판사>, <사이코지만 괜찮아> 등에 출연한 배우 박규영이 조연으로 합류했고 이밖에도 황정민, 이성민, 박성웅, 이희준 등이 특별 출현하기로 했다.

제작의 경우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 영화사 월광이 공동으로 맡았다. 월광은 윤종빈 감독이 직접 설립한 제작사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2019년 인수해 2021년 종속회사로 편입했으며 현재 월광 지분 81%를 보유하고 있다. 2022년 매출은 51억원 수준이다. 전년(326억원)보다 약 84%줄었다.
드라마제작은 대개 제작비에 마진을 붙여서 파는 형태로 이뤄진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역시 <나인 퍼즐>을 디즈니플러스에 넘기고 '리쿱율'에 따라 제작비의 일정 비율을 작품기획 수익으로 받는다. 매각을 통해 마진과 함께 제작비를 회수하면 끝이기 때문에 안정적이지만 추가적 수익을 얻을 여지는 제한적이다.
다만 흥행 성적에 따라 0~5% 수준의 인센티브가 추가될 수는 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 월광은 기획, 개발 등 참여비율에 따라 디즈니플러스에서 받은 제작비를 나눠 가져갈 전망이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최근 직접 제작한 작품을 보면 넷플릭스 <경성크리처> 시즌 1, tvN <무인도의 디바>, 예능 <좀비버스> 등이 있고 이밖에도 <경성크리처 > 시즌 2, <악연>, <은중과 상연> 등이 공개를 앞뒀다. 전부 넷플릭스 시리즈로, 디즈니플러스와 손잡는 것은 <최악의 악> 이후 <나인 퍼즐>이 처음이다. 주로 종속회사와 공동제작하고 있다.
디즈니플러스 <레이스>의 경우 종속회사인 바람픽쳐스가 제작했으나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직접 제작에 참여하진 않았고, <무빙>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웹툰이 원작이지만 제작과는 관련이 없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고진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자비용 분석]이마트 삼킨 이자비용, 5000억이 전부일까
- [레버리지&커버리지 분석]IPO자금 들어온 엠앤씨솔루션…보유현금 왜 줄었나
- [재무전략 분석]'긴축 모드' LG헬로비전, 1000억대 추가 손상 배경은
- [상장사 배당 10년]포스코홀딩스, 18년 전으로 돌아온 배당규모 사정은
- [the 강한기업]'고생 끝에 낙' 오는 DN오토모티브
- [유동성 풍향계]'승승장구' 올리브영, 6000억대 사옥 인수 체력은
- 삼성전자의 주주환원은 현명할까
- [CFO는 지금]순항하는 삼천리, 순현금 4000억대 회복
- [상장사 배당 10년]정의선 회장, 취임 후 현대차그룹서 '5200억' 받았다
- [CFO는 지금]'임시 자본잠식' 효성화학…관건은 현금흐름 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