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 이차전지사는 지금]김준섭 피엔티 대표, 지분율 12년 만에 37% → 14%③도미누스인베스트 RCPS 전환청구권 행사에 '희석'
박완준 기자공개 2024-08-13 10:10:31
[편집자주]
글로벌 이차전지 산업은 '캐즘'이라는 단어와 직결된다. 지층 속 단절된 공간이 마치 새로운 첨단 제품이 나올 때의 시장 확산 모습과 비슷하다고 해 붙여진 말이다. 고금리 기조에 따른 경제 성장 부진과 중국발 공급 과잉 등으로 대기업마저 적자의 늪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이번 위기를 단순 사이클에 따른 불황이 아닌 산업의 대격변 차원에서 살펴봐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같은 환경에 놓인 중견 이차전지사들은 어떤 길을 가고 있을까. 더벨은 중견 이차전지사의 경영 현황과 사업 전략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8월 09일 17:12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37.37% → 14.42%'. 피엔티가 코스닥 상장을 한 2012년부터 올해까지 김준섭 대표이사의 지분율 변화다. 투자자들의 잇따른 전환청구권 행사에 최대주주인 김 대표의 지분이 희석되며 지분율이 낮아져 경영권 방어 수단이 취약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피엔티는 엔지니어 출신인 김 대표가 2003년 자본금 15억원으로 설립한 곳이다. 1990년부터 기계회사인 서통테크놀로지에서 롤투롤 공정과 장비 노하우를 쌓고, 창업에 나섰다. 이후 그는 대표이사직에 올라 현재까지 경영 일선을 지키고 있다. 지배구조는 창업주인 김 대표를 중심으로 구축하고 있다.
눈에 띄는 부분은 김 대표의 지분율이 계속 떨어지고 있는 부분이다. 피엔티는 2012년 7월 코스닥에 입성했다. 김 대표는 상장 직후 피엔티의 지분율 37.37%를 보유했다. 하지만 2013년 32.34%, 2018년 22.09%까지 감소했다. 특수관계인으로 제갈환 피엔티 상무, 이주헌 피엔티 전무가 있지만 이들이 보유한 지분율은 1% 이하다.
지분율 하락은 투자자들의 잇따른 전환청구권 행사 때문이다. 피엔티는 2014년 4월과 2017년 5월 각각 100억원씩 총 200억원 규모로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발행했다. 투자자들은 2017년 말부터 5차례에 걸쳐 전환청구권을 행사했다. 이 기간 주식으로 전환된 물량은 약 121만7348주 규모에 이른다.
김 대표는 이 시기 지배력 방어를 위해 매도청구권(콜옵션)을 행사했다. 2018년 4월 권면총액 7억원 규모 2회차 피엔티 전환사채(CB)를 인수했다. 자기자금 2억원과 주식담보대출로 만든 8억원을 인수자금으로 썼고, 즉각 CB를 주식으로 전환해 지분율 0.85%를 늘렸다.
김 대표의 지분율은 올해도 하락했다. 사모펀드에 우선주로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RCPS) 일부가 보통주로 전환되며, 전체 주식수가 늘어나 김 대표의 지분율이 낮아졌다. 앞서 피엔티는 지난해 4월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방식의 RCPS 발행으로 사모펀드 도미누스인베스트먼트에 지분 7.7%(298만1809주)를 지급한 바 있다.
도미누스인베스트먼트는 올 6월 보유 중인 우선주 30% 이상인 89만4543주를 보통주로 전환해 지난달 29만8781주를 장내 매도했다. 이에 도미누스인베스트먼트의 보유 주식은 총 268만3028주로, 올 1분기 기준 지분율 7%대를 유지 중이다.
김 대표의 지분율은 올 1분기 말 기준 14.42%(317만주)까지 떨어졌다. 2대주주로 이름을 올리고 있는 도미누스인베스트먼트와 지분율 차이가 7.4%(48만6927주)에 불과하다. 이는 전날 종가(5만4600원) 기준 지분 가치는 272억원 수준이다. 통상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의 합산 지분이 20~30% 정도일 시 경영권이 안정적이라고 평가한다.
피엔티 관계자는 "도미누스인베스트먼트는 단순 투자사로 판단하고 있다"며 "김 대표의 낮아진 지분을 감안해 지분 추가 매입과 신주 발행 등 다양한 전략을 다각도로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피엔티 주가는 지난 6월 8만원 대에서 이달 5만원 대로 떨어졌다. 올 1분기 매출 2045억원, 영업이익 381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96.4%, 120.2% 성장한 것과 반대된 모습이다. 이 기간 동안 피엔티의 시가총액은 약 1조원 감소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라데팡스 '4자연합' 공식화…"주주권 적극 행사하겠다"
- 금양인터내셔날, 엠 샤푸티에 지공다스 아티스트 레이블 출시
- [i-point]클로잇-홈넘버메타, 보안택배 SaaS 솔루션 구축
- NPS 2000억 벤처출자 'DSC·LB·아주IB·IMM' 낙점
- [Company Watch]'차입금 출자 전환' 황영규 대표, 알체라 최대주주 등극
- 두산 분할합병, 국내외 자문사 '찬성' 권고…배경은
- 금리 욕심 과했나...ABL생명 후순위채 '주문 제로'
- [Market Watch]'급락하는' 새내기주, '재현되는' WCP 풋백옵션 공포
- 현대차증권 첫 공모 유증에 그룹 계열사 '전폭 지원'
- IPO 시장 냉각, BBB급 회사채 발행시점 '고심'
박완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유동성 풍향계]코스모신소재, 늘어난 순차입금 '원재료 확보 차원'
- 롯데정밀, 위기 타개책 인사…새 대표이사로 정승원 부사장
- [LG엔솔 밸류업 점검]기업가치 반등 열쇠는 '현금흐름 회복'
- 문 열린 '4세 경영'…젊어진 '칼텍스·건설·리테일'
- [LG엔솔 밸류업 점검]'배당보다 투자 우선'…밸류업 공시에도 주가 제자리
- [SK그룹 인사 풍향계]체계 갖춘 대관 조직, 역량 강화까지 나설까
- [LG그룹 인사 풍향계]LG엔솔, 임원 승진 역대 최소…김동명 대표, '유임 성공'
- [Red & Blue]재무지표로 '위기설' 반박한 롯데케미칼, 저점 매수 기회될까
- [SK그룹 인사 풍향계]최창원 체제 첫 정기인사, '위기 속 혁신' 이뤄낼까
- [더벨 경영전략 포럼 2024]"관세보복 첫 표적은 삼성 진출한 베트남 유력…리스크 재점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