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다 합병하는 아이엠택시, 500억 투자유치 나선 배경은 합병법인 운영자금 확보 목적, 합병 후 아이엠택시 주도 경영 유력
감병근 기자공개 2023-02-06 08:22:34
이 기사는 2023년 02월 03일 07:37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아이엠(IM)택시를 운영하는 진모빌리티가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투자유치 작업을 진행 중이다. 타다 운영사 브이씨엔씨(VCNC)와 합병 이후에도 사업 확장세를 이어가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3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진모빌리티는 삼정KPMG를 주관사로 선정하고 투자유치 마케팅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투자유치 규모는 500억원 수준으로 복수의 전략적투자자(SI) 및 재무적투자자(FI)와 협의 중인 상황으로 전해진다.

이번 딜에 밝은 한 관계자는 “진모빌리티가 VCNC와 합병 이후 운영자금 마련을 위해 투자유치를 진행하고 있다”며 “택시 면허를 계속 매입하면서 시장 점유율을 늘려야 하는 사업 구조 때문에 운영자금이 계속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번 투자유치는 신규 합병법인의 주요 주주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상당한 관심을 끌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진모빌리티와 VCNC 합병법인은 카카오모빌리티에 이어 국내 2위 모빌리티 플랫폼 사업자로 상당한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진모빌리티와 VCNC는 합병비율 등 합병과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을 공개하지는 않고 있다. 다만 이번 투자유치를 진모빌리티가 주도하면서 합병법인 최대주주도 진모빌리티 기존 오너 측이 맡게 될 것이 확실시된다.
이는 1년여 전 진모빌리티와 VCNC가 인정받은 기업가치를 고려해봐도 어느 정도 예견된 결과다. 진모빌리티는 작년 초 진행된 시리즈A 투자에서 2300억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VCNC는 2021년 말 비바리퍼블리카가 쏘카로부터 지분 60%를 매입할 당시 기업가지 1000억원을 적용받았다.
두 업체가 사업 확대 등을 지속 추진해왔지만 1년 사이에 2배가 넘는 기업가치 격차에 큰 변화가 있지는 않았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에 합병 과정에서도 진모빌리티 지분이 VCNC 지분 대비 상당히 높은 가치를 지니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편 진모빌리티 측은 이번 투자유치 및 합병과 관련해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진모빌리티 관계자는 “VCNC와 합병을 조율 중인 것 외에는 밝힐 수 있는 사안이 없다”며 “투자유치와 관련해서도 확인해줄 수 있는 내용이 없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FI손에 달린 IPO 빅딜]LG CNS 공정가치, 맥쿼리 엑시트 '마지노선'은 넘었다
- [증권사 IB, 유상증자 비즈니스 전략]'후발주자' KB증권, 급성장 비결은 '맞춤형 전략'
- 파인트리파트너스, 'STX중공업·캐스코 매각 재개' 내주 결정
- 한앤코, 케이카 LTV테스트 간신히 모면 '긴장감 지속'
- 동화일렉트로라이트 1200억 프리IPO, DB·JB·LX운용 참여
- '잇단 실패 불구 재신임' 골드만삭스, 한앤코 믿음 보답하나
- [미코그룹 길 잃은 크로스보더 딜]전선규 회장, 미국 상장 '트리니티 바이오테크' 손놨다
- [IB 풍향계]대형 스팩 보유한 증권사, 합병 안될까 '조마조마'
- [IPO 모니터]국내 첫 '민간 기상기업' 케이웨더, 코스닥 상장 나섰다
- 대신증권, HD현대 딜 잇달아 수임…DCM 존재감 부각
감병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파인트리파트너스, 'STX중공업·캐스코 매각 재개' 내주 결정
- 물류 스타트업 '로지스팟', 의약품 전문 고려택배 인수 추진
- IMM컨소시엄, 현대LNG해운 다시 판다 '3파전 구도'
- 4파전 뚫은 아이젠PE, 전기차 부품업체 '린노알미늄' 투자자 낙점
- [GP 블라인드펀드 줌인]IMM크레딧, 5300억 규모 KBE펀드 소진 속도
- [LP Radar]틀 바뀐 산업은행 출자사업, 대형 PE도 '눈독'
- '5년만의 엑시트' 맥쿼리 컨소, SK쉴더스 투자 성적표는
- 파인트리파트너스, STX중공업·캐스코 매각 절차 중단
- 스텔라인베, 'SK온' 650억 단독 투자 진행
- '개척자' IMM인베, 부동산 투자로 멀티에셋 전략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