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인더스트리

[Red & Blue]개인 투심 몰린 HB솔루션, 실적 개선 기대감3개월새 시총 2500억 증가…수주잔고 2분기부터 매출 반영

서하나 기자공개 2024-06-11 08:55:56

[편집자주]

"10월은 주식에 투자하기 유난히 위험한 달이죠. 그밖에도 7월, 1월, 9월, 4월, 11월, 5월, 3월, 6월, 12월, 8월, 그리고 2월이 있겠군요." 마크 트웨인의 저서 '푸든헤드 윌슨(Puddnhead Wilson)'에 이런 농담이 나온다. 여기에는 예측하기 어렵고 변덕스러우며 때론 의심쩍은 법칙에 따라 움직이는 주가의 특성이 그대로 담겨있다. 상승 또는 하락. 단편적으로만 바라보면 주식시장은 50%의 비교적 단순한 확률게임이다. 하지만 주가는 기업의 호재와 악재, 재무적 사정, 지배구조, 거시경제, 시장의 수급이 모두 반영된 데이터의 총합체다. 주식의 흐름에 담긴 배경, 그 암호를 더벨이 풀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6월 03일 14:17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How It Is Now

HB솔루션 주가가 최근 3개월간 2배 이상 상승해 눈길을 끕니다. 지난 3월 4일까지만 해도 3880원에 머물렀는데 지난달 23일 7940원까지 올랐습니다. 이에 따라 3880원 기준 약 2837억원이던 시총 역시 약 5805억원까지 치솟았고 이날 주가 기준 시총은 5300억원 수준을 보입니다.

투자자별 거래량으로 보면 개인 투자자의 매수세가 뚜렷했습니다. 최근 20거래일 동안 외국인 투자자들은 총 9만6964주를 매도하면서 0.24%였던 보유율을 제로로 낮췄습니다. 기관투자가 역시 같은 기간 총 7만8659주를 판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기간 거래량은 총 1억620만7720주로 개인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매수행렬이 이어졌음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기간을 최근 1년으로 넓혀보면 아직 52주 최고가에 도달하지는 못했습니다. HB솔루션은 지난 1월 23일 단 며칠 만에 주가가 급등을 거듭하면서 52주 최고가인 8000원 기록을 썼습니다. 직전 거래일 200만주에서 300만주 사이를 오갔던 거래량 역시 23일 2949만575주로 폭발적인 수준을 보였습니다.


◇Industry & Event

HB솔루션은 2001년 엘이티로 설립돼 2020년 6월 코스닥에 상장한 디스플레이 장비 제조사입니다. 본사는 충청남도 아산시에 위치해 있고 2021년 7월 경쟁력 강화를 위해 디스플레이 전공정 및 반도체 측정 검사장비 전문기업 케이맥을 흡수합병하며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습니다. 주력 제품으론 △챔버 3종 검사장비, 원장 검사기 등 전공정 장비 △후공정, 잉크젯 장비 등이 있습니다.

HB솔루션은 국내 최초로 GM 인스펙션을 개발해 고객사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는 장비를 개발 및 양산하고 있습니다. GM 인스펙션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액정을 주입한 뒤 중력에 따라 액정의 얼룩 여부를 검사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특히 집중하고 있는 ELB(Edge Light Blocking) 장비를 포함해 후공정 장비에 적용되는 도포 기술입니다. 지난해 ELB 장비 매출은 전체 매출에서 약 78%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컸습니다.

한 가지 호재는 HB솔루션의 반도체 장비산업 신규 진출입니다. HB솔루션은 오랜 기간 연구에 매진해 온 초정밀 반도체 계측 장비인 '나노 마이스'(Nano-MEIS)를 통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반도체 장비산업에 진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HB솔루션은 1월 삼성디스플레이 베트남(SDV)과 약 210억원 규모의 장비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전체 매출액 대비 약 11.2%에 해당하며 계약 기간은 1월 17일부터 10월까지입니다.

계측 기술은 최근 기술이 고도화되고 장비 대수가 늘면서 반도체 수율과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필수 단계로 꼽힙니다. 반도체 소자 설계가 더 작은 노드에 접근하는 등 공정이 복잡해지면서 제조 수율을 높이기 위한 난이도는 점점 올라가고 있습니다. 공정 단계별 최적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선 신속하고 정확한 계측 기술이 필요합니다.

HB솔루션이 개발하고 있는 장비는 중에너지 이온을 활용해 반도체 산화막의 조성·두께를 비파괴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산화막의 두께, 나노박막, 양자점, 3차원 나노소재 등을 분석할 수 있어 향후 HB솔루션의 주력 아이템이 될 것이란 시장의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Market View

디스플레이 장비 산업은 전·후방산업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만큼 경기 변동에 민감한 편입니다. 국내 주요 디스플레이 제조사들이 지난해부터 수급 조절에 나서면서 점진적으로 시장 규모가 축소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더욱이 중국에서 디스플레이 장비에 대규모 투자와 연구개발 등으로 맹추격하고 있어 최근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의 상황이 그리 밝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최근 이렇다 할 이슈가 없었는데 개인 투자자들이 유독 HB솔루션에 열광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HB솔루션의 실적 기대감이 투자자들을 결집시킨 것으로 풀이됩니다. 디스플레이 장비를 제조하는 HB솔루션은 지난해 기대를 밑도는 실적을 거뒀지만, 차근차근 채워둔 수주 잔고가 올해 2분기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보이면서 올해 지난해보다 한층 밝은 실적을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Keyman & Comments

HB솔루션은 이재원 대표이사가 이끌고 있습니다. 이 대표는 연세대 대학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보이스웨어에서 2년간 대표이사로 근무한 뒤 2022년부터 HB테크놀러지와 케이맥에서 대표이사 사장을 역임했습니다. 2021년 7월 공동 대표이사로 선임됐던 이흥근 대표이사가 2022년 9월 물러나며 현재 단독 대표이사로 경영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권진성 상무(CFO)도 재무 전략을 총괄하는 키맨 중 한 사람입니다. 코스닥 상장사 엘이티 출신으로 HB솔루션에 재직한 지 딱 5년 만인 이달 1일 이사에서 상무로 승진했습니다. HB솔루션에 합류하기 전 이네트를 거쳐 HB테크놀러지에서 이사 등을 지냈습니다. 권 상무 담당 업무는 경영기획 부문장으로 김근태 최고운영책임자(COO) 사장과 함께 HB솔루션 살림을 도맡고 있습니다.

HB솔루션 기획팀 고위 관계자는 "최근 주가 급등에 특별한 이유는 없지만 굳이 따지자면 2분기를 기점으로 한 실적 기대감이 아닐까 싶다"며 "장비업에 속하다보니 분기별 실적이 크게 의미있진 않고 출하 시점에 따라 매출이 결정되는 구조"라고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지난해 실적이 저조했고 1분기 실적은 평이했는데 최근 850억원 정도로 추산되는 디스플레이 사업 수주잔고가 2분기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며 "수주 잔고가 잇달아 매출로 실현되면서 올해 전반적인 실적은 지난해보다 훨씬 좋을 것으로 예상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HB솔루션은 지난해 매출 약 962억원을 기록해 직전연도 약 1876억원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줄었습니다. 이 기간 영업이익도 약 271억원에서 68억원으로 줄었습니다. 다만 순이익은 436억원에서 약 756억원으로 오히려 늘어났습니다. 올해 1분기 매출은 약 117억원, 영업손실 약 7억원, 당기순이익 약 220억원 등을 기록했습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더벨 서비스 문의

02-724-4102

유료 서비스 안내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이진우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김용관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