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건설, 실적선방 최대공신은 '이마트 일감 지원' [건설리포트]이마트·신세계 등 점포 공사 전담, 매출 의존도 79%
고설봉 기자공개 2016-02-01 08:35:00
이 기사는 2016년 01월 29일 14시2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세계건설이 2015년 호실적을 달성했다. 최대주주인 이마트와 특수관계회사인 신세계로부터 건축 공사를 수주하며 외형이 성장했다.신세계건설은 2015년 잠정 실적을 집계한 결과 매출 1조 856억 원, 영업이익 419억 원, 순이익 160억 원을 각각 달성했다고 지난 28일 공시했다. 2014년대비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각각 29.95, 69.5%, 409.3%씩 증가했다.
|
신세계건설은 2015년 매출이 대거 늘어나며 안정적인 실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대주주인 이마트의 일감 몰아주기가 매출 확대의 1등 공신이다. 더불어 특수관계기업인 신세계도 대거 일감을 몰아줬다.
신세계건설은 이마트의 신규 점포 개설 공사는 물론 신세계그룹이 적극적으로 추진중인 대형복합쇼핑몰 공사를 바탕으로 매출이 급격히 불어났다. 신세계건설은 2015년 기준 이마트 및 복합쇼핑몰 공사 등 총 1조 4706억 원 어치 그룹 내 일감을 확보해 공사를 진행해 왔다. 이는 신세계건설 전체 수주잔고 1조 9004억 원 중 77.38%에 달하는 물량이다.
신세계건설 연간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이마트와 신세계 관련 공사 비중 역시 수주잔고와 비례한다. 2015년 3분기 신세계건설이 이마트 및 신세계로부터 거둬들인 매출은 전체 매출의 약 79.03%다. 신세계건설은 매출액의 46.75%와 32.28%를 각각 이마트와 신세계로부터 거둬들였다. 이 비율은 2015년 연간 매출 비중과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
신세계건설의 2015년 최대 매출처는 하남유니온스퀘어 공사다. 국내 최대 복합쇼핑몰인 하남유니온스퀘어 공사는 백화점 공사 등을 포함해 총 5605억 원에 달하는 초대형 공사다. 이어 동대구역복합센타도 총 공사비 3318억 원으로 신세계건설 매출에 많은 부분을 담당했다. 두 공사는 오는 9월과 12월 각각 완공 예정으로 올해도 신세계건설의 매출 확대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에도 신세계건설의 매출 확대는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신세계그룹이 추진하고 있는 고양 삼송, 대전 사이언스콤플렉스, 광주 신세계 등 복합쇼핑몰 건설 공사가 계속해서 발주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실제 신세계건설은 지난해 말 고양 삼송 복합쇼핑몰 공사를 수주했다. 발주 금액만 무려 2000억 원이 넘어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공사비 증액 논의도 이뤄지고 있다. 이외 신세계건설은 지난해 10월 시흥 프리미엄 아울렛(990억 원) 등 그룹 일감을 연이어 수주했다.
더불어 신세계건설은 베트남에도 진출하며 해외 사업 확대를 준비중이다. 신세계건설은 2015년 이마트 베트남 현지법인인 이마트베트남유한회사로부터 수익이 인식되고 있다. 공사 초기 단계로 앞으로 매출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thebell desk]한화그룹이 잃어가는 것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첫 관문' 넘었다…두번째 과제 '계열분리'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미국발 리스크 해소한 기아, 남은 숙제 '멕시코공장'
- 폴라리스쉬핑, 메리츠 차입금 조기상환...이자 300억 절감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현대차, 울산공장 생산·수출 '재조정' 불가피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승계비율 ‘1대 0.5대 0.5’ 분쟁 막을 '안전장치'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무관세·친환경차’ 미국 시장 '톱3' 노린다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메타플랜트 준공 '관세전쟁' 승기 굳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