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 美 기업 투자 300억 '허공으로' 파산 `푸후` 투자금 중 267억 손상차손 인식
이 기사는 2016년 02월 18일 11시0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G디스플레이가 미국의 교육용 콘텐츠 솔루션 업체 푸후(Fuhu)의 투자금을 날릴 위기에 처했다. 푸후의 경영 여건이 악화되면서 투자금 회수가 어렵다고 결론지었다.
|
18일 LG디스플레이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말에 푸후의 주식에 대해 장부가액과 회수가능가액의 차이 267억 원을 손상차손으로 인식하고 금융비용으로 분류했다. LG디스플레이 관계자는 "투자주식의 회수가능성이 불확실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앞서 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7월 푸후의 지분율 10%에 해당하는 보통주 50만 주와 우선주 101만 주를 302억 원에 취득했다. 또 푸후의 이사 1인을 선임할 권리를 확보해 관계기업으로 분류했다.
당시 LG디스플레이는 향후 교육용 시장 확대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LG디스플레이는 향후 전자칠판,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를 활용한 스마트러닝(smart learning) 시대가 열릴 것으로 전망하고 푸후와의 협업을 노렸다.
푸후는 2007년 일본계 미국인 롭 후지오카(Robb Fujioka)와 중국계인 존 후이(John Hui), 스티브 후이(Steve Hui) 형제가 함께 설립했다. 주력상품은 아동용 태블릿 나비(Nabi)로 2014년에는 포브스(forbes)의 '가장 주목할 만한 기업' 조사에서 1위를 차지할 정도로 성장성을 인정받았다. 따라서 LG디스플레이는 교육용 시장에서 동반 성장이 가능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하지만 투자를 하자마자 LG디스플레이의 예상은 완전히 빗나갔다. 그 동안 푸후는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품은 폭스콘을 통해 생산해왔는데, 지난해 9월부터 폭스콘과 갈등을 겪었다. 푸후는 폭스콘과 결제문제를 놓고 의견 충돌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폭스콘은 지난해 10월부터는 협상을 중단했다.
이에 따라 푸후는 연말 쇼핑시즌에 맞춰 물량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했다. 결국 푸후는 지난해 12월 보유현금과 재고가 바닥나면서 파산선고를 받았다. LG디스플레이는 "푸후가 자본잠식에 빠지는 등 상황이 악화됐고, 결국 청산했다"면서 "손실을 이미 반영했기 때문에 앞으로 추가적인 손실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