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건설, 강동리조트개발 PF 연대보증 현실화? 시행사 케이디개발 재무여력 한계...6년간 자금지원 243억원
이명관 기자공개 2018-03-21 08:35:37
이 기사는 2018년 03월 19일 17시1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강동리조트개발 사업이 장기간 재개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롯데건설로 대규모 보증채무 부담이 전이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사업 시행사인 케이디개발의 재무여력이 한계에 달했기 때문이다.2007년 시작된 강동리조트개발 사업이 중단된 것은 2009년이다. 사업성이 낮았던 탓이다. 이후로도 수익성에 대한 제고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사업은 표류 중이다. 문제는 사업 중단상태가 10여년간 지속되면서 해당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조성된 1100억원 규모의 보증채무가 롯데건설로 전이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이다.
케이디개발은 지난 2009년 강동리조트개발 사업을 위해 1100억원 규모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조성했는데, 시공을 맡았던 롯데건설이 책임준공과 더불어 PF에 대한 연대보증까지 제공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차주인 케이디개발이 이자를 부담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며 "현재 분양률을 높이기 위해 설계변경을 진행 중이지만, 침체된 울산지역 경기 침체 여파로 분양이 순조롭게 이뤄지기 어려운 상태"라고 지적했다.
케이디개발의 재무상태는 이미 망가질대로 망가진 상태다. 2016년 기준 케이디개발이 변제해야 할 차입금 총계는 1343억원이다. 보유 중인 현금성자산은 4억원대에 불과하다. 계속된 이자비 부담으로 자본금은 잠식된 지 오래다. 2016년 기준 자본총계는 마이너스(-) 507억원이다.
케이디개발은 이미 수년 전부터 자력으로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자체 수익성 사업이 전혀 없었던 탓이다. 강동리조트개발 사업 외에 다른 개발 사업이 없었던 케이디개발 입장에선 당연한 수순이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롯데건설은 2012년부터 케이디개발에 대한 자금 지원에 나섰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롯데건설이 케이디개발에 무이자로 빌려준 자금은 243억원 규모다. 롯데건설이 이미 6년 전부터 이자납부 여력을 상실한 케이디개발을 대신해 이자비용을 감당해온 셈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연대보증인인 롯데건설이 이미 수년 전부터 PF에 대한 부담을 떠안은 것이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2017년 9월말 기준 강동리조트개발 사업을 비롯해 롯데건설의 PF 지급보증 규모는 7421억원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이명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디앤오운용, 첫 딜 '상암 드림타워' 끝내 무산
- '이지스운용' 1대주주 지분 매각, 경영권 딜로 진화?
- 더제이운용, 채널 다양화 기조…아이엠증권 '눈길'
- [Product Tracker]NH프리미어블루 강추한 알테오젠 '쾌조의 스타트'
- 키움투자운용, 삼성운용 출신 '마케터' 영입한다
- 수수료 전쟁 ETF, 결국 당국 '중재'나서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단기채 '100% 변제'의 진실, 핵심은 기간
- 유안타증권, 해외상품 전문가 '100명' 육성한다
- 미래에셋운용, '고위험 ETF' 수수료 인하 검토 배경은
- 글로벌 최초 패시브형 상품…'노후' 솔루션 대안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