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쏘시오홀딩스, 가야산샘물 전격 인수 기존 먹는샘물 제품 '마신다'와 시너지 기대
이민호 기자공개 2018-10-22 04:59:58
이 기사는 2018년 10월 19일 14시3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동아쏘시오홀딩스가 먹는샘물 제조업체 가야산샘물을 전격 인수했다. 계열사로 음료사업을 하는 동아오츠카가 있긴 하지만, 포카리스웨트, 오로나민C 등 기존 청량음료 제품군 위주다. 이번에 가야산샘물을 인수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열위한 생수 부문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됐다.19일 인수·합병(M&A) 업계에 따르면 동아쏘시오홀딩스는 국내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케이엘앤파트너스로부터 가야산샘물 지분 100%를 인수했다. 인수 가격은 220억~230억 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한국투자증권이 매각 자문을 맡아 수행했다.
|
2002년 설립된 가야산샘물은 먹는샘물 '가야산 천년수'를 제조 판매하는 업체다. 설립 이후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제품을 생산해 풀무원과 롯데칠성음료 등에 납품하다 2009년부터 '가야산샘물'이라는 자가 브랜드를 내놓기 시작했다. 2016년 11월 70억 원에 케이엘앤파트너스에 인수된 직후에는 하이얏트샘물에서 가야산샘물로 사명을 변경했다.
가야산샘물은 낙동강 유역 3개 취수정에서 하루 959톤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시간당 0.5리터 제품 3만6000개와 2리터 제품 1만2000개를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페트(PET) 공병을 자체 제작할 수 있는 설비도 갖추고 있다. 0.5리터, 2리터, 18.9리터의 가야산 천년수를 주요 제품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전국 편의점과 대형마트 등에 납품 중이다. 가야산샘물의 2017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50억 원과 7억 원 수준이다.
동아쏘시오홀딩스는 가야산샘물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동아오츠카를 통해 판매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먹는샘물 브랜드 '마신다'와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2010년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0.5리터와 2리터짜리 제품을 발매하기 시작한 동아오츠카는 2014년 동아쏘시오홀딩스를 통해 동부팜가야의 생수 생산라인을 63억 원에 인수하며 직접 생산에 나섰다.
동아쏘시오의 이번 가야산샘물 인수는 국내 먹는샘물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과 갈수록 치열해지는 제조업체들의 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초석으로 풀이된다.
시장조사기관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국내 먹는샘물 시장규모는 판매액 기준 2015년 6408억 원, 2016년 7403억 원, 2017년 7810억 원으로 꾸준히 성장해 2020년 1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7년 기준 브랜드별 점유율을 보면 제주개발공사의 제주삼다수(광동제약과 LG생활건강이 각각 소매와 도매 판권 보유)가 41.5%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고, 롯데칠성음료의 아이시스(10.0%), 농심 백산수(7.5%), 해태에이치티비 강원평창수(4.5%)가 뒤따르고 있다.
최근 선두그룹에 속한 제조업체들은 용량 다변화와 신규 생산라인 확충을 비롯해 마케팅 및 연구개발(R&D) 확대에 나서면서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동아오츠카도 이에 대응하기 위해 몸집을 불리는 전략을 취한 것으로 해석된다.
먹는샘물 제품이 확대되면 '포카리스웨트'에 대한 높은 매출 의존도도 일부 완화할 수 있을 전망이다. 2017년 기준으로 포카리스웨트 매출액(1440억 원)이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이 넘는다. 2015년 출시 이후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는 '오로나민C'도 2017년 매출액은 340억 원 수준이다. 이외에도 동아오츠카가 기존에 보유한 탄탄한 유통망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동아오츠카는 1978년 설립돼 1987년 일본 오츠카제약의 자본 참여에 따라 내외국인 합작법인으로 출범했다. 오츠카제약과 동아쏘시오홀딩스의 지분율은 각각 50.00%와 49.99%다. 2017년 매출액은 2804억 원으로 전년 대비 7.0% 늘었고, 영업이익은 135억 원으로 같은 기간 9.5% 줄었다. 주요 제품으로는 포카리스웨트, 오로나민C, 오란씨, 데미소다 등이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이민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조선업 리포트]고선가 수주 늘린 HD현대삼호, 돋보인 수익성
- [조선업 리포트]HD현대미포 사내이사, '지주사' 재무부문장이 겸직
- [조선업 리포트]HD현대미포, 차입여력 키워주는 유형자산
- [조선업 리포트]'선수금 유입' HD현대미포, 순차입폭 줄인 비결
- [조선업 리포트]'흑자전환' HD현대미포, 배경에 수주 호조
- [조선업 리포트]'이사회 경영' HD현대중공업, 사외이사 중심 위원회 구성
- [2025 theBoard Forum]"본질적 기능 '업무감독' 강화, 이사회 진화 열쇠"
- [조선업 리포트]HD현대중공업, 4조 부동산으로 조달여력 확보
- [조선업 리포트]선수금 덕 본 HD현대중공업, '순현금' 상태 전환
- [조선업 리포트]HD현대중공업, 수익성 끌어올린 '건조선가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