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 SK이노 사장 "SK루브리 상장 아직 검토 안해" 2019 SK 신년회 참석…작년 '3수' 실패 후 시기상조 판단
박기수 기자공개 2019-01-03 14:33:39
이 기사는 2019년 01월 02일 17시2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준 SK이노베이션 사장(사진)이 SK이노베이션의 100% 자회사인 SK루브리컨츠의 기업공개(IPO) 재도전 가능성을 배제했다. 지난해 '3수' 실패 이후 시장의 신뢰를 재확보했다고 보기에는 시기상조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
2017년 SK루브리컨츠는 상장 재도전 계획을 공식적으로 밝혔던 바 있다. 2013년과 2015년 상장에 실패한 후 세 번째 상장 계획 발표였다.
루브리컨츠 상장을 통해 SK이노베이션은 1조원 가량의 자금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확보한 자금으로 미래 먹거리 산업인 배터리 사업 등의 투자 재원을 마련하겠다는 복안이었다.
다만 수요예측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결과물을 받자 결국 IPO 작업을 중단했다. 기관투자가들을 비롯한 시장 관계자들은 모두 공모가 밴드(10만1000원~12만 2000원) 하단 밑에서 가격을 적어냈고, 만족할 만한 수요도 모으지 못했다.
4분기 적자를 볼 것으로 예측되는 정유업계의 전반적인 분위기도 상장 배제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시장은 정유업체들이 4분기 대규모 재고평가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해 11월·12월 유가가 폭락한 탓이다. 지난해 12월 말에 집계된 유가가 10월 초 고점 대비 40% 이상 하락하기도 했다. SK이노베이션의 경우 4000억원 이상의 재고평가 손실이 예상되고 있다.
한편 올해는 '대어급'으로 불리는 회사들이 IPO 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업계는 예측하고 있다. 지난해 상장 예정이었던 현대오일뱅크와 카카오게임즈 등이 회계감리 리스크에서 벗어나 다시 상장 작업에 나설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기 때문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삼성 준감위, 이재용 소통 지속 '정치적 독립 초점'
- 대표 떠난 SK쉴더스, 임현수 CFO '대행 체제' 출범
- [Company Watch]양산 매출 늦어지는 에이직랜드, 1분기 '4.2억' 불과
- [Company Watch]카카오페이, 계획된 적자 전략 마쳤다 '이익 쌓기 집중'
- '빚류업'을 향한 시선
- 밸류업에도 메타인지가 필요하다
- 롱런 사외이사의 빈자리
- [저평가 시그널: PBR 0.3]‘소비침체 여파’ 유통3사 일제히 하락, 반등 모멘텀은
- [재무전략 분석]포스코퓨처엠과 한화에어로 유증이 다른 이유
- [감액배당 리포트]메가스터디 손주은 회장, 세금 부담 없이 '50억'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재무전략 분석]포스코퓨처엠과 한화에어로 유증이 다른 이유
- [Financial Index/생명보험]가중부실자산비율 평균 0.19%, 하나생명 가장 높아
- [CFO & Credit]이현규 LG CNS 상무, 'AA0' 도약 조력자 역할 '충실'
- [Financial Index/생명보험]농협생명, '압도적' K-ICS…한화·KDB '아슬아슬'
- 현금 쌓고 확장하는 CATL, LG엔솔과 정반대 행보
- [더본코리아 재무 분석]백종원식 가맹 사업 중심 사업 모델의 '명암'
- [더본코리아 재무 분석]'2000억 현금 창고'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 [조선업 리포트]한화엔진, HSD 시절보다 높아진 이사회 전문성
- [유동성 풍향계]'유심 해킹 사태' SK텔레콤, 재무 완충력은
- [조선업 리포트]한화엔진, 한화의 '한 수'…적중한 인수 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