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강한기업]포스코인터내셔널, 최고 실적 갈아치우나지난해 사고 여파 손실분 올해 만회, 비수기-성수기 간극 좁아질듯
박기수 기자공개 2019-04-29 14:51:13
이 기사는 2019년 04월 29일 07:00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캐시카우인 미얀마 가스전 사업이 완벽한 모습으로 돌아왔다. 미얀마 가스전 사업은 지난해 사고 여파로 사업이 중단되며 영업이익 창출에 일부 어려움을 겪었다. 다만 사업 중단으로 발생한 손실분을 보전받을 수 있는 계약 덕분에 올해 '2보 전진'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은 한해 기준 역대 최고급 실적(전사 기준) 경신도 기대하는 분위기다.미얀마 가스전은 포스코인터 전체 영업이익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대표적인 '캐시카우'다. 지난해도 전체 영업이익의 52% 가량을 미얀마 가스전 사업이 책임졌다. 주목할 점은 지난해 미얀마 가스전 사고로 몇 달 동안 사업이 중단된 상태에서도 견조한 실적을 뽑아냈다는 점이다. 심지어 한 해 실적으로 놓고 봤을 때 포스코인터는 지난해 매출·영업이익에서 최대 실적을 냈다.
미얀마 가스전이 정상화하면서 올해 다시 한번 최대 실적을 갈아치울 가능성도 커졌다. 이미 포스코대우는 올해 1분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창출했다. 올해 1분기 포스코인터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6조1849억원, 1644억원이다.
1644억원 중 미얀마 가스전이 창출한 영업이익은 1028억원에 달한다. 비중으로 따지면 62.5%다. 사고 여파로 애를 먹었던 지난해의 상황을 딛고 캐시카우로의 복귀에 성공한 모습이다.
|
업계에서 바라보는 미얀마 가스전 사업의 올해 전망도 밝다. 통상 비수기인 하절기에 영업이익이 떨어지는 미얀마 가스전 사업이지만 올해는 성수기와 비수기의 영업이익 차이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그 배경은 지난해 발생했던 가스전 사고와 연관이 있다.
포스코인터는 미얀마 가스전 사업을 통해 인근 국가에 가스를 공급한다. 지난해 7월 발생한 사고는 정확히 말해 미얀마 가스전이 아닌 미얀마 가스전과 연결된 중국 내 가스관에서 발생한 건이다.
포스코인터는 중국 국영가스공사(CNUOC)와 30년 계약을 체결하며 '의무인수계약(Take or Pay)' 조항을 함께 체결했다. 이 조항 덕분에 포스코인터는 사고로 인한 손해분을 중국 정부로부터 보전받을 수 있게 됐다. 그 수혜를 올해 받는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사고로 창출하지 못한 영업이익분이 올해 1분기를 거쳐 하절기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라면서 "성수기와 비수기의 간극이 좁아지는 셈"이라고 분석했다.
포스코인터는 최근 진행한 콘퍼런스 콜에서도 "3월 중국내 가스관 정기점검이 있었으나 전년 미공급물량을 포함해 계약물량 대비 114%를 공급했다"라면서 "의무인수계약 상 물량 해소를 위해 올해 미얀마 가스 구매량을 증대시킬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는 미얀마 가스전 사고 여파가 있었지만 해외 법인들의 분전으로 사상 최고급 실적을 냈다"라면서 "올해는 이와 같은 상황에 미얀마 가스전까지 정상화해 최고 실적을 다시 한번 경신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덕산하이메탈, 방산기업 인수 '산자부 승인' 획득
- [이사회 모니터/SK네트웍스]준법지원인의 지속가능경영 '멀티 플레이' 눈길
- [이사회 모니터/SK네트웍스]'서울대·관료·교수' 편중된 사외이사진
- '관리종목 위험' 엔에스엔, 만성적자 대책 내놓나
- '펫푸드' 아크, 65억 규모 시리즈A 클로징
- 엔지스테크널러지, 고정밀 맵 서비스 연내 상용화
- JKL파트너스, 팬오션 지분 블록딜로 전량 처분
- [2021 정책형 뉴딜펀드]아주IB투자, '국민연금 펀드' 매칭 전략 통했다
- SK바이오사이언스, '국민연금' 6개월 확약 걸었다
- '전기차 호황' 세원, 지난해 사상 최대 순이익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LGES·SK이노 배터리 분쟁]ITC 최종 판결에도 팽팽한 평행선, 합의는 멀었다?
- LG "n조원" vs SK "말도 안된다"…양사 리스크는
- 롯데케미칼, 거버넌스 대폭 개편…ESG경영 힘 받는다
- 한화 김동관 사장, 한화에어로 '홀로서기' 경영 시험대
- [ESG Global Sight]GS그룹 친환경협의체 출범, 글로벌 시선 뒤바뀔까
- 'G' 없는 ESG 전략
- [ESG Global Sight]현대重그룹 ESG 행보, 글로벌 성적표 반전 이뤄낼까
- [두산그룹 구조조정]지게차 매각 검토하는 ㈜두산, 밥캣 매각 선제 조치일까
- [ESG Global Sight]롯데케미칼, 문제는 지분구조가 아닌 '지배구조'
- 한화시스템 '보유' 택했던 한화 3세, 신의 한 수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