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과 집중' 미원상사, 61년 글로벌 화학社 '우뚝' [진격의 중견그룹]①기초→첨단정밀 분야로 확대, 김정돈 회장 일가 중심 지주회사 전환 中
신상윤 기자공개 2020-04-10 08:12:15
[편집자주]
중견기업은 대한민국 산업의 척추다. 중소·벤처기업과 대기업을 잇는 허리이자 기업 성장의 표본이다. 중견기업의 경쟁력이 국가 산업의 혁신성과 성장성을 가늠하는 척도로 평가받는 이유다. 대외 불확실성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산업 생태계의 핵심 동력으로서 그 역할을 묵묵히 수행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 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중견기업들을 면밀히 살펴보고, 각 그룹사들의 지속 가능성과 미래 성장 전략을 점검하고자 한다.
이 기사는 2020년 04월 07일 07시5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미원상사그룹은 화학산업에 뿌리내린 지 60년을 넘겨 올해 '환갑'을 맞았다. 가정용 합성세제와 샴푸 등 생활용품에 사용되는 기초 화학제품을 시작으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등 첨단부품용 정밀화학제품까지 산업 전반에 미원상사그룹의 기술이 녹아있다. 국내 화학산업의 발전과 궤를 같이한 미원상사그룹은 잘할 수 있는 분야를 찾아 노력을 집중하는 일명 '선택과 집중' 경영전략을 통해 글로벌 화학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자본금 2000만환. 1959년 11월 창업주 고(故) 김진박 회장이 미원상사를 설립하는 데 투입한 자본금이다. 현재 가치로 200만원가량의 이 자본금은 올해 61주년을 맞아 5개 유가증권 상장사 등 20여개 계열사를 거느린 미원상사그룹의 종잣돈이 됐다. 창업주의 뒤를 이어 오너가 2세 김정돈 회장은 제품 고도화와 지배구조 다지기를 통해 사세 확장에 나섰다.

본격적인 성장 발판은 인천공장을 경기 안산 반월공장으로 이전하면서 마련했다. 1982년 준공한 반월공장은 생산 능력 확대와 다양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이 됐다. 특히 주력 제품인 계면활성제 생산은 국내 전방산업에 미원상사의 존재감을 알리기에 충분했다. 여기에 부설 연구소를 설립해 기초 화학제품의 품질 개선과 감광제 등 고부가가치 첨단정밀 화학제품 생산 등에 집중했다.
제품군이 확대된 미원상사는 각 사업부를 개별 법인으로 독립시켰다. 2009년 특수화학사업부가 미원스페셜티케미칼로 인적분할했다. 이어 2011년 기능화학사업부는 미원화학으로 독립 법인화했다. 미원스페셜티케미칼은 국내외 그룹사가 확대되면서 지주회사 전환 수단으로도 활용됐다. 미원스페셜티케미칼은 2017년 지주회사인 존속회사 미원홀딩스와 사업부문 신설회사 미원스페셜티케미칼로 각각 분할됐다.
사세 확장엔 인수합병(M&A)도 한몫했다. 1993년 타이어 내구성을 높이는 화학소재 전문기업 태광정밀화학을 인수했다. 2012년에는 계면활성제 부문 경쟁사인 동남합성을 인수하며 사업 역량을 확대했다. 지난해(연결기준) 5개 상장계열사의 매출액도 단순 합산기준 1조원을 넘는 수준이다.
최근에는 인수를 공식화하지 않았지만 미원상사그룹의 핵심 임원이었던 양종상 전 대표이사가 코스닥 상장사 잉크테크 각자 대표이사로 취임하기도 했다. 그는 적대적 M&A 논란이 일었던 동납합성 인수 당시 선봉장 역할을 맡았다. 미원상사의 김 회장은 최근 잉크테크 전환사채(CB)와 지분 등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미원상사그룹은 미원홀딩스를 중심으로 지주회사 전환도 추진하고 있다. 지주회사 전환은 계열사 간 지분 관계가 명확하게 정리되지 않아 미완의 상태다. 지배구조 최상단에 김 회장 등 오너일가가 있다. 김 회장 등 오너일가는 가족을 비롯해 계열회사를 동원해 직간접적으로 각 상장사의 지분 50% 이상을 보유하며 지배력을 구축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 지주회사 전환은 오너 3세 승계와 맞물려 가속도가 붙을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자본시장 내 미원상사그룹은 안정적인 투자처로 손꼽힌다. 특히 미원상사를 비롯해 주요 상장 계열사들은 분기 배당을 하며 투자자들과 수익을 공유하는 주주친화정책을 펴고 있다는 평가다. 다만 5개 상장사 대부분 오너일가가 지분 50%을 보유해 유통 주식 수가 적은 만큼 배당수익이 김 회장 등 오너일가의 주요 수입원이란 점도 이면 중 하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배터리솔루션즈 "IPO 계획 변함없다"
- 다나와 "그래픽카드 거래액 증가…신제품 출시 효과"
- 메리츠증권 PBS 진출 사력…NH증권 키맨 영입 '불발'
- VIP운용 조창현 매니저, '올시즌 2호' 4년만에 내놨다
- [2025 주총 행동주의 리포트]머스트의 조용한 '구조 개입'…침묵이 아닌 설계
- 한국증권, 채권형 중심 가판대 재정비
- 알토스벤처스, 크림 구주 인수 검토…1조보다 낮은 밸류
- 한화증권, 해외 라인업 강화 스탠스 '고수'
- [연금시장에 분 RA 바람]금융사도 일임 경쟁 참전…관건은 은행권 확보
- [택스센터를 움직이는 사람들]"고객만족 최우선시, 시나리오별 절세 노하우 제공"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대우건설, 해외 토목 현장 관리에 달렸다
- [디벨로퍼 프로젝트 리포트]넥스플랜, '에테르노 압구정' 옆 '효성빌라' 추가 취득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SK에코플랜트, 하이닉스발 수주 효과 '기대감'
- [디벨로퍼 리포트]엠디엠그룹, '서리풀·해운대' 앞두고 숨 고르기
- [이사회 분석]동신건설, 베일에 가린 오너3세 대표로 등장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삼성물산 건설부문, 수익성 견인한 공사비 협상력
- [디벨로퍼 리포트]빌더스개발원, 첫 매출 '이천 부발역 에피트' 촉진 관건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현대건설, 발주처 증액 협상 난이도 높아졌다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2세 경영 안착 속 후계구도 '안갯속'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사업 다각화 성과 수익성 개선 효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