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짠물 수수료' 롯데케미칼, 업계 최하위권 수준 [IB 수수료 점검]4년째 13bp 지급, 비용절감 경영기조 반영 관측도
이지혜 기자공개 2020-07-21 12:40:43
이 기사는 2020년 07월 17일 14시3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롯데케미칼이 올해도 ‘짠물 수수료’ 행보를 이어간다. 인수 수수료는 증권사 IB에 대한 예우의 척도로 여겨진다. 롯데케미칼은 공모채 수요예측 제도가 도입된 이래 해마다 업계 최하위권 수준의 수수료를 지급했다. 비용 절감을 강조하는 롯데그룹의 기조가 반영됐다는 의견도 나온다.롯데케미칼이 제56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를 발행하면서 인수수수료율로 발행가액의 13bp를 책정했다. 대표주관수수료는 2bp다. 증액되지 않을 경우 인수수수료는 2억6000만원, 대표주관수수료는 4000만원이다.

롯데케미칼의 인수 수수료율은 업계에서도 최하위권에 든다. 올 들어 가장 적은 인수 수수료율을 적용한 기업은 세 곳이다. 한일홀딩스와 한국서부발전, HK이노엔 등이다. 한일홀딩스와 한국서부발전은 각각 10bp, HK이노엔은 14bp를 지급했다. 롯데케미칼은 HK이노엔을 제치고 가장 적은 인수수수료율을 적용한 발행사 '넘버 3' 안에 들었다.
더벨플러스에 따르면 올 들어 현재까지 공모채를 발행한 기업은 모두 138곳으로 이들이 적용한 평균 인수 수수료율은 21.23bp다. 롯데케미칼이 제시한 인수 수수료율은 업계 평균의 절반을 조금 넘는다. 투자은행업계 관계자는 "과거에 비하면 이 역시 많이 오른 것"이라며 "비용절감을 강조하는 롯데그룹의 경영기조가 인수수수료에도 드러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나마도 올해 인수 수수료는 오른 것이다. 롯데케미칼은 2012년 수요예측 제도가 도입된 이후 2013년 처음으로 공모채를 발행했다. 당시에는 인수 수수료로 20bp, 대표주관 수수료율로 5bp를 지급했다. 그러나 2014년부터 2015년까지는 인수 수수료율을 업계 평균의 반토막에도 못 미치게 낮췄다. 당시 인수 수수료율은 9bp로 2014년에는 대표주관 수수료조차 지급하지 않았다. 2017년에 들어서야 인수 수수료율로 13bp, 대표주관 수수료로 2bp를 지급했다.
인수 수수료율은 증권사 IB에 대한 예우의 척도이면서 관계를 우호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윤활제 역할을 한다고 업계는 바라본다. 롯데케미칼의 인수 수수료율을 놓고 볼멘소리가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투자은행업계 관계자는 “신용등급이 높아 흥행에 자신감을 보이다 보니 인수 수수료를 낮게 지급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어느 기업이나 위기를 맞기 마련이며 이전부터 쌓아왔던 신뢰관계가 위기를 넘기는 힘이 되는 점을 고려하면 아쉬운 지점"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테크 전략의 핵심 하이브IM, 적자에도 '5000억 밸류'
- [이사회 분석]하이브, '대기업 리스크 대응' 사외이사진 재편
- [상호관세 후폭풍]쇼크에도 K팝 엔터주는 '웃었다'
- [탈한한령 훈풍 부는 콘텐츠기업들]잠잠한 듯했는데…JYP엔터의 중국 굴기 '반격 노린다'
- 엔터4사 주총, 말의 온도와 숫자의 무게
- [이사회 모니터/SOOP]‘비욘드 코리아’ 달성 목표, 글로벌 인사 전진배치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하이브 이재상 "어도어 사태, 멀티 레이블 튜닝 중 진통"
- [이사회 분석]NEW, 유제천 사장 포함 5인 재신임 ‘안정 택했다’
- [K-팬덤 플랫폼, 뉴 패러다임]카카오엔터, '베리즈'로 K컬처 통합 팬덤 플랫폼 야심
- [Company Watch]NEW, 2년 연속 적자…승부는 올해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