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방산 빅딜 후 5년]만개 시작한 방산, 재계 '빅5' 노린다①2015년 테크윈·탈레스 인수 이후 재계 순위 15위→7위 '껑충'
박기수 기자공개 2020-09-17 08:58:56
[편집자주]
한화그룹의 창업이념은 사업보국(事業報國)이다. 기업을 통해 국가사회에 보은한다는 의미다. 6·25 전쟁 후 나라를 다시 일으켜야 한다는 김종희 창업주의 정신이었다. 김승연 회장의 의지로 이뤄진 삼성과의 빅딜 이후, 한화는 국내 방산 부문의 압도적 선두주자가 됐다. 한화에서 조용히 꽃핀 방산 사업의 현주소를 더벨이 짚어봤다.
이 기사는 2020년 09월 15일 08시1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방산 사업은 특성상 정부 부처와의 호흡이 중요하다. 민간 기업이 새로운 무기 체계를 생산해내려면 정부의 허가가 있어야 한다. 무기나 전투 장비를 수출하는 것도 혼자서 결정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이런 상황에 방위사업청 등 기관과 방산기업은 줄곧 '갑·을 관계'로 비춰진다. 쉽게 말해 민간 기업이 정부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일반 제조업을 영위하는 기업들보다 눈치 볼 곳이 더 많은 방산업을 두고 '진입 장벽이 높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방산업계 관계자는 "최근 방산업계에서 제기되는 이슈 중 하나는 방사청 등 정부기관과의 갑을관계를 타파하는 것"이라면서 "기본적으로 사업권을 따야 하는 주체(기업)와 사업권을 주고 개발 및 수출 등을 허가하는 주체(정부)가 명확하기 때문에 민간 기업 입장에서는 정부 기관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었다"고 말한다.

현재 한화그룹은 방산 부문의 국내 민간 기업 중 압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위상을 차지한게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방산 사업으로 꽃을 피울 수 있었던 한화그룹의 역사는 201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15년 이전까지만 해도 한화그룹에서 방산 관련 사업을 하는 곳은 지주사 격인 ㈜한화가 유일했다. 규모도 현재에 비하면 크지 않았다. 모태 사업인 화약 사업이 무기체계 사업과 관련이 깊었다. 이외 사업으로는 산업기계와 공작기계 제조, 항공기 부품 제조 등 기계사업에 깊이 관여하고 있었다.
당시 한화는 태양광 중심의 미래 먹거리 산업에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있었다. 독일 큐셀사를 인수하는 등 태양광 제조업에 보폭을 크게 넓히고 있었다. 이때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사진)이 청사진을 제시했다. 화학(태양광)과 함께 그룹의 두 축중 하나로 모태 사업인 방산 사업을 내세웠다. 한화 측의 선제안으로 시작된 삼성과의 빅 딜 스토리는 이미 재계의 유명한 이야기다.
결국 2015년 6월 말, 한화그룹은 ㈜한화를 통해 삼성테크윈 지분 32.4%과 삼성탈레스 지분 50%를 총 8232억원에 인수했다. 항공기 엔진·부품 등의 엔진사업과 에너지 장비, 자주포·탄약운반차 등의 방산 사업의 비약적인 확대는 물론 CCTV·저장장치 등의 시큐리티 사업과 칩마운터 등의 산업장비 부문까지 포트폴리오를 늘리는 순간이었다.
실제 삼성으로부터 들여온 방산 업체들은 한화그룹 밑에서 매년 몸집을 불려나갔다. 삼성과의 빅딜 이후 한화그룹은 방산 사업 부문의 효율화를 위해 대수술에 들어간다. 삼성테크윈의 사업 부문을 쪼개고 법인들 간 사업을 이합집산하며 체계적인 지배구조를 정립했다. 현재 삼성테크윈은 여러 차례 변신을 거쳐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거듭나 방산 부문의 지주사 역할을 맡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자산총계와 매출 추이를 보면 한화 방산의 성장세를 느낄 수 있다. 한화 편입 전인 2014년 말만 해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삼성테크윈)의 자산총계는 3조6017억원에 불과했다. 현재는 산하에 한화디펜스, 한화파워시스템, 한화정밀기계 등 계열사들을 보유하게 된 한화에어로의 자산총계는 10조원을 바라보고 있다(상반기 말 기준 9조7101억원).
매출 역시 연간 5조원을 돌파했다. 작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연결 매출은 5조2641억원이다. 삼성그룹 시절 막바지인 2014년과 비교하면 약 2배 성장했다. 당시 연간 매출은 2조6156억원에 불과했다.

빅딜은 재계에서 한화그룹의 위상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 매년 공정위가 발표하는 재계 순위와 자산총액의 추이만 살펴봐도 이를 실감할 수 있다.
방산 빅딜 이전인 2014년을 기준으로 발표한 한화그룹의 재계순위(2015년 발표)는 15위였다. 자산총액도 38조원에 그쳤다. 빅딜 이후 한화그룹은 8위로 무려 7단계를 껑충 뛰어올랐다. 자산총계 역시 단숨에 16조7000억원이 늘어나 50조원대 그룹으로 거듭났다.
이후 방산 사업의 성장은 한화그룹을 계속 성장시켰다. 올해 공정위가 발표한 한화그룹의 재계순위는 7위다. 자산총액도 약 72조원으로 6위 포스코와의 격차를 약 8조원으로 좁혔다. 김승연 회장의 5년 전 결단이 결과적으로 한화그룹을 국내 '빅5'까지 바라볼 수 있게끔 한 셈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SAMG엔터, 현대차와 대규모 유스 마케팅 '맞손'
- [지배구조 분석]율호 지분 또 매각한 이엔플러스, 경영권 행사 '계속'
- [Korean Paper]하나증권, 관세·탄핵 불확실성 속 데뷔전 나선다
- [원일티엔아이 IPO]수소 투자 드라이브, 후계자 입지 강화 계기될까
- [대한조선 IPO]조선업 슈퍼사이클 진입…실적 호조까지 더했다
- [Company & IB]파트너 새판짜는 LX하우시스, 은행계 '포용'
- [SK엔무브 IPO]아시아·미국 'NDR' 마무리…밸류 눈높이 '사전 점검'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서부T&D, 오너가3세 주축 시설관리 법인 출범
- [코스닥 CB 만기도래]200억 상환 앞둔 흥국에프엔비, 추가 조달 추진
- [2025 서울모빌리티쇼]'UAM 낙점' 삼보모터스, 종합 모빌리티 그룹 목표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Financial Index/한화그룹]방산·태양광 희비 '극명'…솔루션 ROE 악화 심화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잉여현금흐름 '20조' 육박…계열사 대부분 흑자
- [캐시플로 모니터]한화 3형제 가족회사 한화에너지, 가용 현금만 5000억
- [조선업 리포트]한화오션, 든든한 자금줄 산은 덕 현금흐름 '이상무'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순현금만 93조…차입 부담 버거운 호텔신라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영업익 본 궤도로…수익성 독보적 1위 삼바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重 매출성장 1위, 삼바·삼전도 반등…고민 깊은 SDI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한화에어로, 차입 조달했어도 부채비율 유럽과 '비슷'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오션 연결로 부채비율 낮췄는데…유증이 최선이었나
- [Financial Index/삼성그룹]1년새 주가 어디가 올랐나…금융사·삼성重·삼바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