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릭스미스, 874억 CB 만기 전 취득 후 '소각' 보통주 전환 등 오버행 이슈 해소…CB 잔량 223억
최은수 기자공개 2021-01-13 18:10:02
이 기사는 2021년 01월 13일 18시0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헬릭스미스가 보유 현금과 차입을 활용해 874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에 대한 만기 전 취득에 나섰다. 헬릭스미스는 오버행 이슈를 해소하고 부채비율 하락 등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상환을 마친 사채를 소각할 계획을 밝혔다.13일 헬릭스미스는 장 마감 후 공시를 통해 각각 2018년 9월과 2020년 2월에 발행했던 2·3회차 전환사채(CB) 중 일부를 만기 전 취득 후 소각할 계획을 밝혔다. 헬릭스미스가 최초 발행한 2회차 및 3회차 CB의 총 규모는 발행가액 기준으로 1097억원이다. 이 중 874억원을 소각할 예정으로 헬릭스미스가 보유한 2·3회차 CB 잔액은 223억원이 된다.
헬릭스미스는 각각 보유 현금 684억원과 우호 투자자에게 190억원을 차입해 CB 취득 자금을 마련했다. 190억원을 차입해 준 투자자는 공개되지 않았다.
헬릭스미스는 작년 9월 유상증자를 결정한 이후 주가 부진을 겪었다. 그간 발행했던 CB 물량도 주가 하락의 영향을 받아 수 차례 전환가액 조정(리픽싱)을 거쳤다. 발행 규모가 전체 CB 물량의 4분의 3 이상을 차지하는 3회차 물량을 기준으로 볼 때 전환가액은 최초(4만7523원) 대비 80% 수준인 3만9916원으로 조정됐다.
헬릭스미스가 발행한 CB는 리픽싱을 거치면서 전환 가능 주식 수도 늘어났다. 전환이 이뤄질 경우 발행될 신주 수는 3회차 CB만 200만여 주로 전체 발행주식의 5.8%에 달한다. 올 들어 꾸준히 오버행 이슈가 제기된 배경이다. 3회차 해당 물량은 내달 21일부터 전환권 행사가 가능했었다.
헬릭스미스가 이번에 일부 상환한 2회차 물량은 2019년 8월부터 전환이 가능한 상태였다. 다만 발행가액과 주가와 괴리가 커 전환된 물량은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헬릭스미스는 이번 CB 만기 전 취득 후 소각으로 재무구조 개선도 기대하고 있다. CB의 경우 재무제표 상 부채로 계상되는 만큼 대표적 재무건전성 지표로 꼽히는 부채비율에 영향을 준다. 헬릭스미스의 2020년 3분기 말 기준 부채비율은 124%, 차입금의존도는 43.6%였다.
헬릭스미스 관계자는 "오버행 이슈를 해소하고 주주 지분 희석을 방지하면서 재무 리스크도 해소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최은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FO Change]고정석 SK가스 신재생에너지실장, 케미칼 재무총괄로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전문성 기업경영·재무 집중… 한층 두터운 BSM 필요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후보는 누가 '천거'할까 사추위·경영진 막강한 입김
- [ROE 분석]농협금융, 반등했지만 '여전히 은행계지주 바닥권'
- [이슈 & 보드]롯데지주, 바이오로직스 또 베팅 '관세폭풍 두렵잖다'
- [Board Change]'전무 승진' 김성완 애경케미칼 CFO, 사내이사 연임
- 롯데의 '억울함'을 풀어줄 바이오로직스
- [ROE 분석]하나금융, 창사 최대 수익 성과...향후 계획은
- [ROE 분석]우리금융, '팬데믹 후 유일한 두자릿수'…2024년도 '톱'
- [ROE 분석]KB금융, 4대 지주 유일 '3년 연속 상승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