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라인 지분법이익 덕에 부채비율 급락 3개월 만에 106%→35.7%, 경영통합으로 회계처리 변경
원충희 기자공개 2021-05-04 12:11:30
이 기사는 2021년 05월 03일 15시3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네이버가 100% 웃돌던 부채비율을 단번에 35%대로 낮췄다. 일본 계열사 라인-Z홀딩스 경영통합 관련 지분평가이익 15조원이 반영되면서 자본 규모가 급증한 덕분이다.네이버의 지난해 말 부채총계는 8조7591억원, 자본총계는 8조2551억원으로 부채비율은 106%를 기록했다. 3년 전만 해도 부채비율은 50%대였으나 빚이 수년째 꾸준히 늘어 작년 말 자본규모를 넘어섰다.
네이버는 그간 인수합병(M&A)과 투자는 물론 라인과 소프트뱅크 자회사 Z홀딩스(야후재팬 모회사) 간의 경영통합 등으로 막대한 자금을 차입하면서 부채가 급증해왔다. 2017년 말 2조7140억원에 불과했던 부채총액은 지난해 말 8조원 후반대로 늘었다.

하지만 올 3월 말 기준 네이버의 부채비율은 35.7%로 석 달 만에 급격히 떨어졌다. 부채규모가 전년 말 대비 7613억원 줄었으나 더 큰 원인은 자본에 있다. 자본총계가 1분기 만에 2.7배 늘어난 22조4331억원에 달했다.
네이버는 1년여 전부터 소프트뱅크와 손잡고 라인-Z홀딩스의 비즈니스 통합을 추진, 올 초에 마무리 지었다. 네이버가 지분 70% 이상을 소유한 라인은 그간 종속기업으로 분류됐다가 통합을 계기로 소프트뱅크와 지분 50대 50의 공동투자기업으로 바뀌었다. 회계처리도 연결재무제표에서 지분법손익으로 변경됐다.
이 과정에서 라인 지분의 공정가치가 재평가됨에 따라 지분법이익 14조9000억원이 당기순이익에 반영됐다. 그로 인해 네이버의 올 1분기 당기순익은 15조3145억원으로 작년 한해 수준(3841억원)의 40배 가량이나 뛰었다.
순익의 대부분은 이익잉여금으로 반영됐다. 덕분에 네이버의 이익잉여금은 석 달 만에 6조6548억원에서 21조8995억원으로 폭증한다. 자기자본 항목 중 하나인 이익잉여금의 증가는 전체 자본규모 증가로 이어졌다. 부채총계 대비 자본총계로 계산되는 부채비율이 급락한 결정적인 이유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10명 중 4명은 겸직…사외이사 인력풀 확대 필요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사외이사 주 연령은 50~60대, 남성이 76% 이상
- [CAPEX 톺아보기]삼성전자, 반도체 줄고 디스플레이 2배 급증
- [캐시플로 모니터]삼성전자, 하만 회사채 만기 도래 '늘어난 환차손'
- [R&D회계 톺아보기]"결국은 기술" 연구개발비 30조 돌파한 삼성전자
-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의 오너십
- [Board Change]CJ대한통운, 해외건설협회 전·현직 회장 '배턴 터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메리츠금융, 대손충당금 부담은 어느 정도
- [Board Change]넷마블 이사회 떠난 '친한파' 텐센트 피아오얀리
- [Board Change]카카오, CFO 이사회 합류…다시 세워지는 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