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사업자 리포트]가상자산 버블 속 생존경쟁 나선 토종코인①업비트 솎아내기 시작…투자자 신뢰·시장투명성 제고 '성장통'
원충희 기자공개 2021-06-21 08:01:26
[편집자주]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자산 열풍이 전 세계를 휩쓸면서 국내에서도 코인 산업의 생태계가 조성되고 있다. 문제는 국내 당국이 가상자산 공개(ICO)를 유사수신 행위로 간주함에 따라 해외를 통한 우회상장이나 거래소 공개(IEO) 등을 통해 일명 ‘잡코인’이 대거 거래소에 입성, 난립하고 있다는 점이다. 옥석 가리기가 중요해진 시점에서 더벨은 차별화를 추구하는 국내 코인사업자들을 면면을 살펴봤다.
이 기사는 2021년 06월 16일 08시3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1위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알트코인(비트코인을 제외한 대안적 가상자산) 솎아내기를 본격화하면서 토종코인(김치코인) 사업자들도 생존경쟁에 나섰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메이저 코인에 묻혀서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자신들의 사업현황 공개와 투명성, 투자자 보호조치를 내세우면서 투심 잡기에 안간힘을 쏟는 중이다.다만 제도권 진입을 앞둔 거래소들의 옥석 가리기 여파로 진정성을 가진 토종코인들까지 무차별적 제거 및 상장폐지에 휘말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반대로 코인버블 속 투자자 보호와 시장 안정을 위한 성장통이란 반론도 거세다.
◇제도권 입성 앞두고 중소코인 구조조정 개시
업비트는 지난 11일 △마로(MARO) △페이코인(PCI) △옵져버(OBSR) △솔브케어(SOLVE) △퀴즈톡(QTCON)을 원화마켓 페어에서 18일 12시부터 제거한다고 알렸다. 사유는 원화마켓 페어 유지를 위한 내부기준 미달이다.
다만 비트코인 거래시장(BTC마켓 페어)은 영향이 없다. 업비트에서 원화로 이들 코인을 매도·매수하진 못하나 비트코인으로 사고 팔 수는 있다는 뜻이다. 해당 코인사업을 하는 한 관계자는 "원화유동성에 문제가 생겨 코인 유통에 차질을 빚은 것은 사실"이라며 "일부 사업자는 소송 등 강경대응을 생각하기도 하지만 이외 사업자들은 다른 거래소를 찾아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동시에 25개 코인을 유의 종목으로 지정했다. 사유는 코인사업을 주관하는 프로젝트 팀 역량과 정보 공개 및 커뮤니케이션, 기술적 역량, 글로벌 유동성을 종합적으로 감안한 내부 평가기준 미달이다.
업비트의 선제적 행보를 두고 가상자산 거래소들의 옥석 가리기가 시작됐다고 보는 시각이 많다. 거래소가 정부의 등록제(특금법) 안으로 들어가는 시점에서 거래를 중단시키거나 유의종목으로 올렸기 때문이다.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마로와 페이코인은 업비트의 운영사 두나무와 투자 등으로 엮여 이해상충 이슈가 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타이밍이 이렇다보니 업계에서는 미리 자정하는 차원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중소코인들의 난립으로 거품이 끼면서 일부 정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최근 시장 내에서 공감대가 커지고 있다. 2011년 정부는 ICO(Initial Coin Offering)를 유사수신으로 간주해 전면 금지했지만 법으로 명문화한 것은 아니다.
그러다보니 사업자들은 발행사와 프로젝트팀을 해외에 두고 코인을 발행, 국내 거래소에 공개하는 IEO(Initial Exchange Offering) 등을 통해 여러 코인들이 대거 거래소에 입성하기 시작했다. 주로 싱가포르와 스위스 등 국내보다 ICO 규제가 덜한 곳에 페이퍼컴퍼니 등을 세워 가상자산을 발행하고 운영 등의 업무는 국내업체가 담당한다. 이런 이유로 발행사와 운영사는 계열사인 경우가 허다하다.
거래소도 코인 난립에 일조했다. 신규 코인 상장이 수익에 도움이 되는 탓이다. 해외시장과 비교시 국내시장에 토종코인이 월등히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업비트에서 거래되는 코인이 100여개가 넘는 반면 미국 코인베이스가 60여개, 유럽 비트스탬프 20~30개, 일본 비트플라이어가 10여개 남짓한 수준이다.
◇토종코인 사업자들, 투심잡기·신뢰성 제고 관건
하지만 이 같은 칼바람에 대한 우려도 크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시장 안정과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제초작업이 필요한 전제는 공감하나 그 과정에서 진정성을 가진 업체도 타격을 받는 것이 걱정된다"며 "해외에서도 가상자산 규제가 별로 없는 상황에서 우리만 깐깐한 기준을 적용할 경우 코인과 연동된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를 발목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토종코인 사업자들도 대비에 나섰다. 업비트의 솎아내기가 본격화되자 10여 곳의 사업자들이 잇따라 입장문을 내고 투자자 설득에 나섰다. 추가 상폐를 걱정하는 투자자들이 많은 터라 고객의 대거 이탈을 막기 위한 조치다.
근본적인 대책은 결국은 코인시장과 사업자의 투명성 확대로 귀결된다. P2P대출, 간편결제, 모빌리티 등 각종 신사업 분야에서 초반에는 여러 사업자가 난립하다 제도가 정착하는 과정에 대규모 구조조정이 이뤄졌다. 성장통이란 반응이 나오는 이유다.
가상자산 거래소 관계자는 "토종코인 사업자들 중에서 벌집계좌 등을 활용한 과도한 마켓메이킹, 불투명한 경영체제, 도덕적 해이 이슈가 있는 곳들이 적지 않아 자정이 필수"라며 "거래소의 일방적인 솎아내기도 문제 있으나 제도화 과정에서 대규모 구조조정을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SK스퀘어의 새판짜기]'스퀘어 임원' 이헌 대표, 티빙과 합병 완수 미션
- [i-point]폴라리스AI-식스팹, 국내 엣지컴퓨팅 시장 공략 협력
- [온코크로스 AI 신약 사업화 전략]대표급 'BD' 추대 의미, '사업화' 중심 의사결정 올인
- 기아, 전기차 목표 '내리고' 하이브리드 '올리고'
- 한화·LG, 한전과 영등포 데이터센터 구축 '맞손'
- [thebell note]찜찜했던 한진칼 주총
- [캐시플로 모니터]한일시멘트, FCF 순유입 전환…환경투자 '지속'
- [i-point]에스넷시스템, 시스코 주최 세미나 참여
- [Company Watch]회생 딛고 올라선 원일티엔아이, 10년간 알짜 이익
- [Company Watch]지란지교시큐리티, 순손실 배경 'SSR' 영업권 손상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지배구조 분석/엔씨소프트]김택진, 지분 희석 보완책 '백기사'
- [지배구조 분석/네이버]지분에 기대지 않는 창업자 이해진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10명 중 4명은 겸직…사외이사 인력풀 확대 필요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사외이사 주 연령은 50~60대, 남성이 76% 이상
- [CAPEX 톺아보기]삼성전자, 반도체 줄고 디스플레이 2배 급증
- [캐시플로 모니터]삼성전자, 하만 회사채 만기 도래 '늘어난 환차손'
- [R&D회계 톺아보기]"결국은 기술" 연구개발비 30조 돌파한 삼성전자
-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의 오너십
- [Board Change]CJ대한통운, 해외건설협회 전·현직 회장 '배턴 터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메리츠금융, 대손충당금 부담은 어느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