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 '개국공신' 스톡옵션 잭팟…'2기 키맨'도 예약 김신규·윤석준 '273억·226억' 실현 가능, 박지원·이진형 수익률 50% 육박
최필우 기자공개 2021-06-29 08:02:48
이 기사는 2021년 06월 28일 11시3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시절부터 회사를 이끈 하이브 임원들이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했다. 두 임원이 취득한 주식의 가치만 500억원에 달한다. 사명 변경 후 '2기 체제'를 책임져야 하는 임직원들도 50%에 육박하는 수익률을 기록하며 잭팟을 예고했다.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윤석준 하이브 글로벌 CEO, 김신규 CAMO는 각각 7만2000주, 8만8000주에 해당하는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했다. 지난 25일 종가 31만4000원을 기준으로 하면 각각 226억원, 273억원에 달하는 주식을 확보했다.
이들은 방시혁 하이브 의장과 함께 회사 초창기를 이끈 주역들이다. 윤 CEO는 사업본부장으로 비즈니스를 책임졌고 김 CAMO는 매니지먼트를 총괄했다. 하이브는 개국공신을 우대하는 여타 엔터사들과 달리 철저히 성과주의에 입각해 임직원 처우를 정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있다. 창업 이후 많은 임직원들이 회사를 떠났으나 두 임원은 스톡옵션 행사로 결실을 맺었다.

하이브가 임직원에게 처음으로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한 건 2016년 11월 30일이다. 윤 CEO는 12만주, 김 CAMO는 8만8000주, 이름이 공개되지 않은 직원 1인은 12만8000주를 부여 받았다. 행사가격은 1063원이다.
당시 주식매수선택권은 철저히 방탄소년단(BTS) 육성 성과에 따라 주어졌다. 2016년 11월 BTS는 미국 '빌보드 핫 100' 최상위 곡을 수시로 배출하는 현 수준의 위상을 갖고 있진 않았다. 다만 앨범차트인 '빌보드 200'에 세번이나 이름을 올렸고 영국 UK차트에 K-POP 그룹 사상 처음으로 진입하는 등 글로벌 아티스트로 입지를 다지던 시기였다.
하이브는 BTS가 전성기에 접어들 시기로 내다봤던 2019년 1월 1일~2023년 12월 31일에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했다. 하이브의 전망대로 주가는 최근 연일 신고가를 갱신하고 있다.
주식매수선택권은 BTS 이후의 성장 동력을 마련해야 하는 2기 체제 키맨들에게도 주어졌다. 올해 3월 10일 박지원 HQ CEO가 1만5000주를, 직원 16인이 7만6500주를 부여 받았다. 행사가격은 21만1708원이다.
지난해 5월 합류한 박 CEO는 넥슨코리아 대표를 역임하는 등 IT와 경영 분야에 특화된 인물이다. 하이브를 엔터사에서 플랫폼 기업으로 변신시키는 중책을 맡고 있다. 지난 1월 팬 커뮤니티 플랫폼 '위버스(Weverse)'를 운영하는 자회사 위버스컴퍼니가 네이버 투자를 유치하면서 1조원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 공로를 인정받아 주식매수선택권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월 30일에는 이진형 COO가 주식매수선택권 7500주를 부여 받았다. 2016년 12만주를 받았던 윤 CEO는 이때 1만5000주를 추가적으로 받았다. 행사가격은 22만5353원이다.
올해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임원들의 수익률은 39.3~48.3% 수준이다. 다만 행사기간이 2023년 3월 30일부터 시작되는 만큼 수익 실현을 장담하긴 이르다. 가시화 되고 있는 BTS 입대 이후에도 회사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거래소, 3시간 심사 끝에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확정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정상혁 행장 역점 사업 'RM One Team' 평가항목 신설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신규 유치 고객 '주거래 확대' 방점 찍었다
- [상호관세 후폭풍]RWA 조이는 금융지주, 비은행 반등 멀어지나
- [상호관세 후폭풍]금융지주, '환율 급등' 밸류업 프로그램 영향은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신설' 내부통제위, 감사위와 위원 중첩 못피했다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각양각색' 의장 선임 키워드, '여성·연장자·선임자' 중시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동남아 3대 법인 '엇갈린 희비' 출자 전략 영향은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해외 법인장 인사 '성과주의 도입' 효과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신한카자흐, 2년 연속 '퀀텀점프' 성장 지속가능성 입증
- [thebell note]김기홍 JB금융 회장 '연봉킹 등극' 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