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인력배치 트렌드]롯데건설, 가파른 주택 증가세…디벨로퍼 강화 전략5년 새 주택 직원 2배 늘어…해외 사업 확대 위한 ‘이례적’ 플랜트 직원 증가도
이정완 기자공개 2021-07-26 14:25:16
[편집자주]
국내 대형 건설사는 종합 건설사로서 주택, 플랜트, 토목 사업을 모두 펼치고 있다. 하지만 시대에 따라 주목 받는 사업이 변해왔다. 한 때는 플랜트 사업 강자였던 곳이 주택 사업으로 눈을 돌리는 식이다. 여러 사업을 벌이는 특성상 부문별로 얼마나 많은 인력을 배치하는지 파악하면 건설사가 현재 집중하고 있는 사업에 대해 알 수 있다. 건설사 인력 배치 트렌드가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 더벨이 살펴봤다.
이 기사는 2021년 07월 23일 14시4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5년 전과 비교해 롯데건설 연 매출은 약 1조원 늘었다. 1조원 증가를 이끈 사업이 바로 주택 사업이다. 외형이 확대된 만큼 직원 수도 크게 늘었다. 2010년대 중반 500여명이던 주택 부문 직원 수는 현재 1000명을 넘어선 지 오래다. 롯데건설은 종합 디벨로퍼 전략을 강화하기 위해 주택 부문을 키우고 있다.1분기 말 기준 롯데건설의 주택 부문 직원 비중은 35%에 달한다. 직원 수는 1140명이다. 주택 부문 직원 비중이 원래부터 높았던 것은 아니다. 롯데건설이 부문별 직원 수를 공시하기 시작한 2015년 말 주택 부문 직원 수는 519명으로 전 직원의 24% 비중이었다. 이듬해 900명대 중반으로 증가한 주택 부문 직원 수는 최근 수년 동안 1000명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롯데건설 측에선 전반적인 외형 성장으로 인해 주택뿐만 아니라 인력 규모가 커졌다는 설명이다. 2015년 매출 4조1282억원, 영업이익 1595억원에서 지난해 매출 5조979억원, 영업이익 3570억원으로 5년 사이 매출은 23%, 영업이익은 124% 늘었다.
부문별로 실적을 쪼개보면 단연 주택 부문이 돋보인다. 2015년 1조4787억원이던 주택 부문 매출은 지난해 2조5636억원을 기록했다. 2015년에서 2020년까지 회사 전체 매출이 9697억원 늘었는데 같은 기간 주택 부문 매출이 1조849억원 늘었으니 주택 부문이 홀로 실적을 견인한 셈이다.
주택 사업의 대표적인 성과가 도시정비사업이다. 롯데건설은 2013년 도시정비사업 수주액 1조원 돌파 후 지난해까지 매년 1조원이 넘는 재건축·재개발 수주를 이어오고 있다. 도시정비사업은 대형 건설사끼리 치열한 영업 경쟁이 펼쳐지는 분야인 만큼 인력 측면에서도 조직 규모를 키운 것으로 풀이된다.
이 덕에 롯데건설은 지난해 도시정비사업에서 2조6326억원을 수주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보이기도 했다. 공사비 9300억원 규모 서울 은평구 갈현1구역 재개발 시공사로 선정된 것이 수주고에 크게 기여했다. 올해도 상반기까지 9000억원 가량을 수주하며 연간 1조원 돌파가 유력하다. 최근 공사비 4000억원 규모의 서울 서대문 북가좌6구역에서 수주전을 펼치고 있다.
주택 부문은 자체 개발사업에도 적극 나서며 수익성 개선을 노린다. 단순히 도급 공사를 넘어 직접 사업을 발굴해 기획, 금융 조달, 건설 등 전 과정에 참여하는 개발사업에 힘을 싣고 있다. 하석주 롯데건설 대표도 종합 디벨로퍼 역량 고도화를 올해 목표로 제시한 바 있다.
롯데건설은 대규모 복합 개발로 이 시장을 공략 중이다. 2019년 서울주택도시공사와 서울 강서구마곡 마이스(MICE) 복합단지 개발 계약을 맺은 롯데건설은 이 곳에 컨벤션센터와 호텔, 업무·판매시설 등이 결합된 서울 최대 규모 마이스 복합단지 '르웨스트'를 조성한다. 상반기 착공해 2024년 준공 예정이다.
르웨스트 대지면적은 8만2724㎡로 상암동 월드컵경기장의 9배 수준이며 연면적은 약 82만㎡로 삼성동 코엑스의 약 2배 규모다. 사업비만 해도 3조원이 넘는다. 롯데건설은 다음 달 생활형 숙박시설 롯데캐슬 르웨스트를 분양하며 본격적인 매출 실현에 나설 계획이다.

주택 사업과 디벨로퍼 사업 강화는 국내 대형 건설사 사업 전략과 일맥상통하지만 롯데건설은 이례적으로 플랜트 직원을 늘리기도 했다. 롯데건설 플랜트 부문 직원 수는 2015년 416명에서 2019년 600명을 돌파한 후 꾸준히 600명대 초반을 유지하고 있다. 다른 대형 건설사가 플랜트 인력을 대거 줄이고 있는 것과 상반된 행보다.
롯데건설은 플랜트 사업을 통해 해외 매출을 키우고자 직원을 늘렸다. 현재 롯데건설이 짓고 있는 인도네시아 Riau GFPP Project 플랜트 공사(도급액 2117억원)를 제외하고는 1000억원 이상 플랜트 공사를 찾기 힘들다. 1분기 롯데건설 해외 플랜트 공사 매출 비중은 1% 수준이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해외 사업 확대를 위해 플랜트 직원을 늘린 만큼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면 곧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이정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Korean Paper]코레일, 관세 전쟁 속 한국물 복귀전 나선다
- [에스엔시스 IPO]예심 청구전 이사회 완비…실적 발표후 '속전속결'
- [에스엔시스 IPO]삼성그룹 자회사로 봐야할까…지배구조 소명 계획
- [에스엔시스 IPO]삼성중공업서 독립후 8년…상장 도전 나섰다
- 환경업 매각 나선 SK에코플랜트, 부채비율 의식했나
- [Korean Paper]외화채 고심 커진 SK온, 국책은행 문 두드릴까
- [판 바뀐 종투사 제도]우물 안 개구리 피하자…해외 투자에 '인센티브'
- [Deal Story]세아제강, 3년물 회사채 흥행 이어갔다
- [키스트론 IPO]사외이사 진용 구축…이사회선 3년 전 상장 논의
- [Korean Paper]관세 충격에…신한은행 결국 한국물 발행 미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