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센도, 2호 블라인드펀드 소진 임박 드라이파우더 10%가량 남아, 3호 조성 순항
김경태 기자공개 2021-09-13 07:57:45
이 기사는 2021년 09월 10일 15시0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이하 크레센도)가 약 3년 전 조성한 2호 블라인드펀드의 100% 소진을 눈앞에 두고 있다. 현재 3호 블라인드펀드 펀드레이징이 순항하고 있어 조만간 잔여 자금을 활용한 투자를 마무리할 방침이다.10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크레센도가 2018년초 4500억원 규모로 결성한 2호 펀드의 드라이파우더(미소진 금액)는 약 10% 수준이다. 현재 2호 펀드를 활용한 1~2건의 투자를 준비 중이며 오늘 10월에서 11월경 집행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크레센도 사정에 밝은 관계자는 "기존처럼 국내 중소·중견기업 중 해당 분야의 1위사인 히든 챔피언을 발굴해 경영시스템을 선진화하는 등 사업역량 강화를 통해 '글로벌 챔피언'으로 육성하는 일관된 투자 전략을 실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크레센도는 글로벌 전자결제업체인 페이팔(PayPal)의 창업자이자 실리콘밸리 투자자인 피터 틸이 출자해 설립한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다. 2012년 이기두 대표와 손잡고 한국에 법인을 세우며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설립 직후 740억원 규모의 1호 블라인드 펀드를 만들었다. 1호 펀드를 통해 한미반도체, 모델솔루션, 서진시스템, 윈스, 솔루에타, 상신전자 등 하이테크 기술 기반 제조기업에 투자했다. 내부수익률(IRR)은 25%를 웃돌 정도로 성과를 거뒀다.
그 후 2018년초 2호 펀드를 만들었다. 당시 국민연금, 교직원공제회,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 등 유수의 연기금·공제회 외에 일부 투자기관도 자금을 댔다. 피터 틸도 일정 금액을 출자했다. 이 펀드를 통해 큐익스프레스, 아이텍스트, 엔씨켐 등 강소기업에 대한 투자를 이어갔다.

크레센도가 2호 펀드를 활용한 투자를 조만간 마무리 지으려는 데는 3호 펀드 조성이 순항하고 있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다. 크레센도는 블라인드 펀드 외에도 100억원대에서 최대 1000억원대까지 다양한 프로젝트 펀드도 조성했지만, 기본적으로 하나의 펀드만 활용해 투자하는 원펀드(One-fund)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크레센도는 올 들어 진행된 출자기관 뷰티 콘테스트에서 가장 두각을 드러낸 운용사 중 하나로 꼽힌다. 한국산업은행, 국민연금, 교직원공제회, 사학연금 등의 위탁사로 선정됐다. 참여 후 결과를 기다리는 곳으로는 우정사업본부(우본), 노란우산공제(중소기업중앙회) 등이 있다.
투자업계에 따르면 크레센도의 3호 펀드 조성 금액은 애초 5000억원 정도를 예상했다. 하지만 다수의 '큰 손'에 러브콜을 받으면서 이를 넘어선 규모가 될 수도 있다고 관측한다.
앞선 관계자는 "2호 펀드에 출자했던 기관들 대부분이 3호 펀드에도 출자자로 이름을 올릴 예정으로 이전보다 금액을 증액한 유한책임사원(LP)들이 많다"며 "국내 뿐 아니라 해외의 연기금도 참여할 예정으로 알려졌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