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덴트, 본업 부진에도 빗썸 덕에 호실적 빗썸코리아 3Q 누적 순이익 6000억 추정…비덴트 지분법이익 누적 1100억
성상우 기자공개 2021-11-17 08:26:11
이 기사는 2021년 11월 16일 15:18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비덴트가 관계사인 빗썸코리아 덕분에 3분기째 호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본업인 방송장비 사업에서 이익을 거의 내지 못하는 상황에서 지분법이익으로만 수천억원대의 순이익을 챙기고 있다. 지분법이익 규모로 추정하면 빗썸코리아는 올해 3분기까지 누적 6000억원 수준의 순이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16일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비덴트는 지난 3분기 매출 31억9700만원, 영업이익 5억6700만원을 기록했다.
눈여겨 볼 점은 영업이익이 수억원 수준임에도 순이익은 약 423억원을 거뒀다는 점이다. 이번 분기에 관계기업 손익에 대한 지분법이익을 505억원 인식한 덕분이다.
비덴트의 올해 분기별 재무제표를 보면 이같은 패턴이 반복되고 있다. 올해 1분기부터 매분기 비덴트의 영업이익은 적자이거나 3억~5억원 수준에 그쳤다. 그럼에도 수백억 규모의 지분법을 인식하면서 1분기 973억원, 2분기 402억원의 순이익을 각각 기록했다.
지분법이익을 인식하는 대상은 비덴트가 단일 최대주주로 있는 빗썸홀딩스와 2대주주로 있는 빗썸코리아다. 비덴트는 지난해말 기준 빗썸코리아 지분 10.28%와 그 모회사인 빗썸홀딩스 지분(34.22%)을 보유 중이다. 빗썸홀딩스가 빗썸코리아 지분 73.98%를 갖고 있다.

비덴트의 본업인 방송장비 사업은 더 이상 성장을 기대할 수 없게 된 상태다. 자체 사업만으론 수년째 적자 또는 수억원 규모의 이익밖에 내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비덴트는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마이너스(-) 60억~12억원 수준의 연간 영업이익을 냈다.
빗썸 지분법이익이 없었다면 그동안 수백억원 규모의 누적 적자를 쌓았을 공산이 크다. 시장 태동기에 비덴트를 통해 가상자산 거래소 경영권을 확보하려했던 김재욱 전 대표의 지분 투자가 결과적으로 신의 한수가 된 셈이다.
비덴트는 올해 3분기까지 빗썸홀딩스로부터 1467억원, 빗썸코리아로부터 595억원의 지분법이익을 가져왔다. 빗썸홀딩스는 자체 사업을 하지 않는 지주회사로, 그 이익 역시 대부분 자회사 빗썸코리아를 통한 지분법이익이다. 비덴트가 인식하는 전체 지분법이익의 원천이 빗썸코리아의 가상자산거래소 사업인 셈이다.
지분법이익 규모와 지분율 등을 고려해 추정한 빗썸코리아의 3분기 누적 순이익은 약 5800억원이다. 시장 회복기였던 지난해 연간 순이익 1400억원의 4배를 상회하는 수치다.
다만 수년간 양강체제를 형성해왔던 업비트와의 격차는 올해 들어 다소 벌어졌다.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는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만 1조5000억원을 훌쩍 넘는 순이익을 거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키움인베스트먼트를 움직이는 사람들]'일당백 지원' 안살림 팔방미인 최희윤 차장
- '꽃놀이패 증자' 나노신소재, 해외 생산기지 키운다
- 'LS니꼬 4700억 베팅' JKL·VL인베, 안전장치는 'IPO 확약'
- 이랜드건설, RCPS로 600억 자본 확충 추진
- PI첨단소재 역전홈런 노리는 롯데, 오너3세에 힘 싣나
- EY한영, '전략재무자문본부' 8명 파트너 승진한다
- [Company Watch]'AI 검사설비' 트윔, 현금화 속도 내는 배경은
- 변협 '나의 변호사' 한방의 데자뷰 되나
- '8세대 FMM 개발' 오럼머티리얼, 200억 유치 성공
- [thebell interview]진영우 FNCT 대표 "폐 섬유증 치료 게임 체인저 목표"
성상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건설리포트]화성산업, 경영권 분쟁 마치고 실적도 '순항'
- 이종원 체제 화성산업, 숙부와 계열분리 '순항'
- [중견건설사 재무점검]코오롱글로벌, 호실적 덕에 재무구조 개선도 '속도'
- 호반건설과 네이버·카카오의 '평행이론'
- [비상장건설사 밸류 분석]호반건설, IPO 골든타임 놓치고도 '느긋'…M&A 먼저
- 코오롱글로벌, 그룹 후계자 이규호 힘 싣기 속도
- [비상장건설사 밸류 분석]IPO 니즈 적은 한화건설, 자취 감춘 '상장 시나리오'
- [비상장건설사 밸류 분석]'대어급' 롯데건설, 적정가치 2조? 현대엔지 따르면 '6조'
- [비상장건설사 밸류 분석]한화건설, 5년간 장부가 고정…조단위 '몸값' 가능할까
- [건설리포트]코오롱글로벌, 원가관리 성공 덕 이익률 '반등'